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스페셜
"
유전자
"(으)로 총 1,617건 검색되었습니다.
언제 어디서든 비대면 연구협업 가능한 플랫폼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20.09.03
통한 개방형 연구를 활성화해 연구 효율성 및 수월성 제고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유전자
및 세포치료 실용화 분야 버추얼랩장을 맡은 김정훈 서울대 의대 교수는 “첨단의료 소재의 특성상 모든 임상실험 진행 과정에 의학적 자문이 연계되는 전문가 협업이 필요하다”며 “버추얼랩을 ... ...
[백신 업데이트]노바백스 '단백질 합성' 백신 후보, 임상 1상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9.03
발표했다. NVX-CoV2373은 재조합 단백질 방식의 백신 후보물질이다. 재조합 단백질 백신은
유전자
재조합 방법으로 유전물질로부터 항원 단백질을 생산한 뒤 이를 나노입자 형태로 체내에 투입하는 백신이다. NVX-CoV2373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체 세포에 침투할 때 사용하는 바이러스 표면 단백질인 ... ...
"신천지대구교회·청도대남병원 집단감염 중국 우한에서 들어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밀라노로 여행을 한 후 확진된 중국인 부부에게서 확인된 후 GISAID에 등록된 바이러스
유전자
와 일치한 것이다. 이 부부는 이탈리아의 첫 코로나19 확진자이기도 하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중국 우한이 대구와 청도대남병원 집단감염의 발원지일 가능성이 있다고 지목했다. ※ 본 기사는 이달 2일 ... ...
지속 기간 논란 코로나19 항체, 4개월까지는 유지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등 방역 조치를 결정할 때 집단 검사를 통한 감염 동향 감시가 필수인데, 항체조사는
유전자
증폭검사를 대체할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세포에는 왜 액체방울이 존재할까?
2020.09.01
보면 세포질로 빠져나와 섬유를 형성하고 있다. 루게릭병 환자들 대다수는 TDR-43
유전자
에 돌연변이가 존재한다. 돌연변이로 아미노산이 바뀌면 TDR-43 단백질의 성격이 바뀔 수 있다. 그 결과 상분리 직후에는 단백질과 RNA이 상호작용을 하며 액체방울을 유지하지만 오래지 않아 단백질이 RNA를 ... ...
[백신 업데이트] 임상 3상 진입 백신 8종에 中·러 후보물질도 공식 포함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후보물질을 개발 중이다. 바이러스의 단백질 일부를 만들어 항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전자
를 준비한 뒤 안정적이며 인체에 무해한 다른 바이러스에 끼워 넣어 체내에 주입하는 전달체(벡터) 방식이다. 캔시노는 인간형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하고 가말레야 연구소는 5형 아데노바이러스와 26형 ... ...
공기에 떠다니는 바이러스 빠르게 측정하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시간이 오래 걸리는 대신 정확도가 높은 바이러스 정량 검사법인
유전자
증폭검사(qPCR) 수준으로 정확도도 높았다. 장 교수는 “더 많은 공기를 뽑아들이는 농축장치 후속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며 “비슷한 구조와 크기를 지니고 외피를 가진 코로나바이러스에도 사용이 ... ...
잊을 만하면 제기되는 '변종 코로나' 등장...과학계 "아직 단정 일러"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이달 26일 정례 브리핑에서 “국내 지역 감염 코로나19 환자 685명의 바이러스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감염 환자의 77% 이상이 GH형의 바이러스”라고 밝혔다. GR형까지 포함할 경우 국내 감염 80%가 넓은 의미의 G 유형에 속한다. 26일 중앙방역대책본부가 공개한 국내에서 지역 감염된 코로나19 ... ...
어린이들 '숨은 전파자' 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30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 무증상 환자는 확진 판정을 받은 이후에도 바이러스
유전자
(RNA)가 평균 14.1일간 검출됐다. 무증상 환자 중 5분의 1은 3주가 지나도 바이러스를 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와 후두 등 기도의 윗부분인 상기도에 증상이 있는 아이들은 18.7일간 바이러스가 검출됐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전립선 줄기세포의 분화능력 어떻게 조절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8.30
여러 종류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이 멈추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선 조직에 종양
유전자
가 발현되는 등 조직에 손상을 입거나 염증이 생기면 줄기세포는 다시금 분화 능력을 되찾는다. 관강세포와 기저세포로 발달하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건강할 상태의 특정 메커니즘이 줄기세포의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