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구
설비
장비
기계
설치
기기
시스템
스페셜
"
장치
"(으)로 총 989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로운 길을 연 기초과학
KOITA
l
2013.10.22
어려웠다. 1831년, 패러데이가 빅토리아 여왕을 알현했을 때 여왕의 질문도 “당신의 전기
장치
들은 대체 왜 필요한 것입니까?”였다. 물론 전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하여 초보적인 전신기가 발명되고 독자적인 산업군으로 발전할 조짐을 보이지만 ‘전기를 흘려보내면 코일이 금속을 끌어당긴다’는 ... ...
공감하고 싶으면 앨리스 먼로를 읽으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3.10.14
못한 것일까. 저자들은 논문에서 “문학소설은 음운적, 문법적, 의미적으로 참신한
장치
를 써서 독자들에게 낯선 경험을 선사한다”며 “독자의 예상을 뒤엎고 독자의 사고방식에 도전하는 문학소설의 힘이 독자들 역시 작가처럼 창조적으로 만들어준다”고 설명했다. 반면 대중소설은 ... ...
“자동으로 시각을 알리는 정밀한 물시계를 제작하여라!”
동아사이언스
l
2013.10.10
기술인 중국의 물시계
장치
와 이슬람의 자동기계
장치
를 뛰어넘는 매우 정밀한 자동시계
장치
다. 거기에 삼국시대부터 발명되어 사용되던 물시계의 노하우까지 더해졌으니 자격루야말로 15세기 가장 돋보이는 기술 혁신 제품이라 할 것이다. ※ 가볼 만한 곳 덕수궁 : 중종시대 제작된 자격루의 ... ...
과학에서 스토리텔링은 독?
동아사이언스
l
2013.10.07
각오로 책을 펼쳤는데 읽다보니 좀 이상하다. ‘이야기를 만들어 정신을 포맷하는
장치
’라는 책의 부제에서 감을 잡았어야 했는데, 그렇다! 이 책은 스토리텔링에 대한 비판서였던 것이다. 앞의 문구는 이 책에서 인용한 걸 또 인용한 건데, 스토리텔링의 부정적인 측면을 잘 보여주고 있다. 아무튼 ... ...
어려움 속에서 빛나는 창조적 아이디어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9.23
공연도 없다. 다만 자유롭게 생활하는 동물들과 이를 좀 더 가깝게 관람할 수 있는
장치
가 있을 뿐이다. 아사히야마 동물원의 창조적인 아이디어와 끈끈한 팀워크는 세계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새로운 개념의 동물원으로 재탄생 시킨 것이다. 경영혁신상 수상 1994년부터 시작된 이들의 ... ...
서번트 증후군, 놀라운 기억력의 비밀은…
동아사이언스
l
2013.09.16
피카소가 그린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초상' -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제공 이런
장치
가 아니더라도 좌뇌가 평소 우뇌의 서번트 능력을 얼마나 억압하고 있는가를 누구나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인지심리학자인 베티 에드워즈 미국 LA 캘리포니아대 명예교수는 1989년 출간해 100만 부가 ... ...
무인로봇을 심해로 보낸 까닭은?
KISTI
l
2013.09.12
바다 밖에서도 미내로의 위치를 확인하고 조종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것쯤은 위성항법
장치
(GPS)로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지만 바다 속이라는 환경 때문에 불가능하다. 심해저라는 공간에서 빛과 전파는 모두 바닷물에 흡수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미내로는 빛이나 전파 대신 고래의 소통 ... ...
시간과 공간의 관념을 바꾸어 놓은 무선통신
KOITA
l
2013.09.10
일대 사건이었다. 그러나 정작 세간의 관심을 끈 것은 전자기파의 존재 자체보다는 검출
장치
였다. 전자기파가 공기 중을 직진하여 퍼져나가고 이를 검출기로 확인할 수 있다면 전자기파를 펄스처럼 발송하여 모르스부호를 전할 수도 있을 것이었다. 전자기파 자체가 전류를 유도할 수 있으니 ... ...
무인로봇을 심해로 보낸 까닭은?
KISTI
l
2013.09.10
바다 밖에서도 미내로의 위치를 확인하고 조종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것쯤은 위성항법
장치
(GPS)로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지만 바다 속이라는 환경 때문에 불가능하다. 심해저라는 공간에서 빛과 전파는 모두 바닷물에 흡수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미내로는 빛이나 전파 대신 고래의 소통 ... ...
우주기술, 일반 산업에서 활용도 높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03
우주 핵심기술 개발 신규과제는 △위성체 분야의 ‘QM급 PCM(Phase Change Material) 열제어
장치
개발’, △발사체 분야의 ‘액체추진기관 성능설계를 위한 1차원/MET(Model Evaluation Test) 시뮬레이터 개발’, △탑재체 분야의 ‘위성영상자료 전송용 X밴드 변조기 개발’ 등 3개 과제이다. 특히 위성영상자료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