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끌채
픽
스페셜
"
채
"(으)로 총 950건 검색되었습니다.
[실험]몽글몽글~ 저절로 부푸는 풍선 만들기
KISTI
l
2013.05.30
첨가해야 사이다가 완성된다. 하지만 사이다나 콜라 등의 탄산음료는 뚜껑을 열어둔
채
오래 방치하면 톡 쏘는 맛이 사라진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탄산음료 속 이산화탄소는 물에 잘 녹는 성질을 갖는다. 특히 압력이 높고 온도가 낮을수록 물에 잘 녹기 때문에 탄산음료를 컵에 따른 후 실온이나 ... ...
먹이 찾아 어슬렁~ 야생 백두산호랑이 中훈춘서 영상 촬영
동아사이언스
l
2013.05.27
마취제 - [단독] MB 벌써 회고록?… 측근들과 집필준비 돌입 - [화보] ‘끈팬티’만 입은
채
…슈퍼모델 섀넌 드 리마 해변 휴가 포착 [☞모바일서비스 바로가기][☞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정크 DNA’는 정말 쓰레기통에 버려야 할 개념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5.22
그 빈도가 훨씬 희박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사람은 32억 염기쌍에 유전자가 2만1000개가
채
안 돼 2만7000여개인 애기장대보다도 적다. 그런데 이런저런 논문들을 읽다보니 벼의 경우는 게놈크기가 4억 염기쌍이고 밀의 경우는 170억 염기쌍이라는 걸 알게 됐다. 반면 유전자 개수는 애기장대보다 약간 ... ...
자연에게서 배운 인간의 수강 이력
KOITA
l
2013.05.14
서구인들에게도 자연을 인간의 지식으로 정복하겠다는 생각은 그 수명이 고작 300년을
채
넘지 않는다. 유럽만 해도 근대까지 자연은 삶과 문명, 기술로부터 동떨어진 존재가 아니었던 것이다. 유럽 문명의 모태나 다름없는 그리스 신화만 해도 자연을 인간의 스승으로 보는 관점이 여기저기서 ... ...
우주 과학을 탄생시킨 사상 최대의 기술이전
KOITA
l
2013.05.06
나치 당원인데다 친위대의 일원이었던 폰 브라운은 과거 경력이 불문에 붙여진
채
미국으로 탈출할 수 있었다. 폰 브라운은 나치 이력을 덮어주는 위험한 행동 이상의 가치가 있었다. 종전 후 V2 로켓 공장을 조사한 미군은 독일의 로켓기술이 미국보다 적어도 25년은 앞서 있다고 보고했을 만큼 폰 ... ...
창과 방패의 대결...컴퓨터 보안의 역사
KOITA
l
2013.05.03
문제의 원인을 아예 없애버리면 어떨까? 암호체계의 가장 큰 문제점은 키를 중간에 가로
채
어 이를 이용하여 암호화를 무효화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것 아닌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방법이 바로 OTP(One Time Password)다. OTP는 이름 그대로 일회용 비밀번호다. 암호가 필요할 때마다 그때그때 다른 ... ...
해외 해양생물자원의 개발
KIMST
l
2013.05.03
절지동 물, 산호류, 해양식물 등 해양생물분류학 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하고 있다. 그리고
채
집된 해외 생물자원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들의 기초적 인 생리활성 검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였다. 또한 주요 생물 종의 경우 화학분석을 진행하여 주요 ... ...
역사와 문화가 공존하는 보배섬 '진도'
KIMST
l
2013.05.03
과정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전통한옥체험시 설이다. 안
채
, 사랑
채
, 행랑
채
, 곳간
채
등 8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야외에는 홍주를 주제로 만들어진 다양한 조소 작품들이 있는 공원도 함께 마련되어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지난 태풍 의 여파 탓에 내부 곳곳이 파손되어 현재 복구 작업이 한창이다. ... ...
우리나라 신기술 개발 기업 지원제도의 특징
KOITA
l
2013.04.30
현행의 중소 관계법들은 중소기업의 실태와 발전추이 등에 대한 명백한 분석이 결여된
채
만들었기 때문에 현실과 괴리를 보이고 있는 규정들이 적지 않다. 또한 중소기업정책의 변화와 정책적 필요에 따라 법률이 제정된 관계로 각법률들이 체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못하고 서로 중복 및 상충된 ... ...
“의료현장 요구 연구로 이어가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숙명여대 생명과학부 조대호 교수와 11년째 함께 연구하고 있는 것. 아이디어를 공유한
채
숙명여대에선 기초 연구를, 방 교수팀은 동물실험과 임상시험을 맡는 식이다. “언론만 보면 마치 암이 곧 정복될 것처럼 보여요. 봇물처럼 쏟아져 나오는 암관련 연구들이 하나같이 암정복을 외치고 있기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