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삶의 지혜 듬뿍 담긴 주방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부은 냄비를 불에 올려 놓았다. 조금이라도 빨리 끓이려면 어떻게 해 야 할까. 방법은
바로
냄비의 뚜껑을 덮어놓는 것. 가열이 계속되면 용기 속에 들어있는 수 면 위쪽의 수증기 분자는 점점 늘어난다. 수증기 분자는 많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뚜껑을 덮는다는 것은 수증기를 도망가지 못하게 ... ...
97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 윌리엄 필립스 박사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것일까. 이에 대해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어려울 뿐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 그는
바로
한국원자력연구소와 제원호(서울대 물리학과)교수의 초청으로 우리나라를 방문(11월1-7일)한 윌리엄 필립스 박사(50). 원자포획 설명한 떠있는 팽이필립스 박사는 원자를 냉각해 원자의 속도를 감속시키는 ... ...
중세대학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어땠을까. 한 설명에 따르면 유럽에서 매춘이 사회적으로 용인되기 시작한 시기가
바로
대학이 설립되던 때와 일치한다고 한다. 실제로 많은 사창가들이 대학 가까이에 형성됐으며, 주고객은 대학생이었다. 일반적인 여성과의 결혼은 금지하는 대신 사창가 출입은 허용한 사회 분위기가 흥미롭다 ... ...
케플러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기울였지만 속으로는 어머니를 상당히 싫어한 듯하다. 마녀재판이 열리던 1619년은
바로
케플러가 제3법칙(행성이 태양을 도는데 걸리는 시간, 즉 공전주기의 제곱은 행성의 평균거리의 세제곱에 비례)을 발표한 해였다. 과학 연구에 몰두하던 시기에 마녀로 몰린 어머니를 구하는 일이 그렇게 달갑게 ... ...
슈뢰딩거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1914년 모교인 비엔나 대학의 사강사 자리를 잡으면서 학자로서 첫발을 내딛었다.
바로
이때 그는 한 여인 때문에 학자의 길을 포기하려 했다.슈뢰딩거는 어릴 때부터 가까이 지낸 8살 연하의 소녀와 사랑에 빠져 결혼할 생각을 가졌다. 그러나 여자 집안에서 강하게 반대했다. 그녀는 당시 몇 안되는 ... ...
젓갈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미역 등 해초를 먹고 해산물과 장을 섞어 토기에 끓이는 찌개를 일상 음식으로 먹는 것이
바로
원시토기시대부터 내려온 음식문화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우리나라의 젓갈은 각별한 의미가 있다.농경시대 이전부터 한반도를 중심으로 동북아에서 자리잡은 발효문화가 기원전 1천년경 한자가 ... ...
속시원하게 뻥 뚫어주는 인터넷 고속 서비스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이색 홈페이지를 만들었다. 유행에 민간함 1318세대를 위해 만든 패션정보 사이트가
바로
그것. 스마트 홈페이지(www.skfashion.co.kr/smart)에서는 유행 포인트를 반영한 교복을 보여준다. 현재는 "여자는 날씬한 S라인, 남자는 늘씬한 T라인"이라나! 또 1318세대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곳이 ... ...
탄소로 만들어진 꿈의 신소재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끝끼리 연결시킬 전도체를 찾는다면 원하는 회로를 자유자재로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바로
KAIST 화학과의 무기화학실험실을 이끌고 있는 박준택 교수가 몰두하고 있는 분야다.박교수의 실험 재료는 나노튜브 대신 이보다 손쉽게 구할 수 있는 풀러렌 분자(${C}_{60}$)다. 1985년 세 명의 과학자가 ... ...
미국, 이론 물리학의 중심이 되다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됐다. 일찍부터 두각을 드러낸 슈윙거 역시 21세에 컬럼비아 대학에서 학위를 받은 뒤 곧
바로
오펜하이머 밑에서 연구했 으며, 1945년부터는 하버드 대학에서 가르치기 시작했다. 오히려 영국 태생인 다이슨이 케임브리 지 대학을 졸업한 후 1947년에 이론물리학을 연구하러 미국으로 건너왔다. ... ...
눈 오는 날 강아지는 왜 행복할까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소리라고 했으니 참으로 절묘한 표현이다. 그런데 가만히 따져보면, 그 소리의 정체는
바로
눈의 결정구조에 숨어있다.눈 결정의 크기는 보통 2mm 정도로 돋보기로 보면 쉽게 관찰할 수 있다. 눈 모양 하면 흔히 가지가 여섯 난 별모양을 연상하지만, 눈에는 이러한 정규육화형 외에도 바늘모양, ... ...
이전
939
940
941
942
943
944
945
946
9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