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235건 검색되었습니다.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서로 간에 변환이 일어난다는 것. 이를 진동(oscillation)이라고 부르는데, 1998년 처음
발견
됐다. 이는 매우 중요한 특성으로 뉴트리노가 질량을 갖고 있어야 뉴트리노 사이에 변환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질량이 없다면 빛의 속도로 움직인다는 말이고, 그러면 상대성이론에 따라 시간이 ... ...
[표심의 과학, 6.4 지방선거] 첫인상 좋아야 표심도 얻는다?
2014.06.03
반응하는 뇌 부위인 편도체의 활동을 뇌 전두엽의 활동으로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전두엽은 이성적인 판단을 내리는 부분인데, 첫인상으로 생기는 무의식적 편견과 이에 따르는 행동을 이성적인 판단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뜻이다. 과학자들은 계속해서 첫인상이 만들어지는 ... ...
알츠하이머병-파킨슨병, 치료 단초 찾았다
과학동아
l
2014.06.02
있는 ‘페닐알라닌 잔기’라는 특정 부위와 결합해 안정한 복합체를 만든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페닐알라닌 잔기는 단백질끼리 뭉쳐 덩어리를 만드는데 핵심 역할을 하는 부위로, 쿠커비투릴과 같이 있으면 단백질이 뭉치는 현상을 방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단백질끼리 서로 뭉쳐지는 ... ...
올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는…
과학동아
l
2014.05.30
아직 논란이 많다”면서 “지난해 노벨상을 받은 힉스 입자 연구팀도 힉스 입자가
발견
된 뒤에야 수상했다”고 말했다. 현재 톰슨로이터의 데이터베이스(DB)에 등록된 논문은 약 4000만 건. 펜들버리 컨설턴트는 “이 가운데 피인용 횟수 1000회를 넘긴 논문은 1만2000건 정도에 불과하다”면서 ... ...
스티븐 호킹 “월드컵 우승팀 베팅한다면 단연코 브라질에 걸겠다”
동아일보
l
2014.05.30
선수들을 더 자신감 있게 만들고 공격적이며 지배적인 인식을 하도록 만든다는 점을
발견
했다”면서 붉은색의 장점을 강조했다. 또 페널티킥을 성공시키려면 볼 속도가 관건이라며 최소한 세 발자국을 달려가 킥을 하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잉글랜드 팀의 승리 공식을 얘기하면서도 호킹 박사는 ... ...
“과학이 사회와 호흡하도록 과학계 문화를 바꿔야죠”
과학동아
l
2014.05.30
‘오래사라(Oresara)’라는 이름을 붙여 학계에 발표했다. 식물이 빛에 반응하는 유전자를
발견
하고는 ‘빛(bit)’이라고 이름 짓기도 했다. 정상의 자리에 섰지만 정체를 우려하는 마음에 남 단장은 새로운 도전을 시작했다. 20년 넘게 몸담았던 포스텍을 떠나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에서 ... ...
‘서자(庶子)’ 위성의 환골탈태기
과학동아
l
2014.05.30
생명체가 탄생하기 더 좋은 조건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예가 갈릴레이가
발견
한 목성의 4대 위성 가운데 하나인 ‘유로파’다. 유로파는 암석으로 된 지각 위에 지구의 2배가 넘는 풍부한 물이 있다. 액체 상태의 물은 체내에서 생체물질을 이동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생명 ... ...
축구장 만한 가속기에서 힉스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05.28
인해 가속된 전자들이다. - NERSC 제공 2012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가 힉스 입자를
발견
할 수 있었던 데에는 거대강입자가속기(LHC)가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둘레가 27km인 거대한 가속기에서 어마어마한 힘을 가해 양성자끼리 빛에 가까운 속도로 충돌시켜 얻어낸 결과다. LHC는 현재 ... ...
[채널A] 공포의 유독가스…1초에 5m 수직 상승
채널A
l
2014.05.28
종합터미널 화재로 질식사한 7명 가운데 5명은 발화점인 지하 1층이 아닌 지상 2층에서
발견
됐는데요. 뜨거운 유독가스가 에스컬레이터 공간을 타고 순식간에 위층으로 번졌기 때문입니다. 연기의 확산 경로를 이영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불이 났을 때 연기가 어떻게 확산되는지 알아보기 ... ...
고양이+소=인간 변종 로타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14.05.27
시료에서 검출한 로타바이러스가 사람에게선 거의
발견
되지 않고 고양이에게서 종종
발견
되는 G3P[9] 유전자형인 점에 주목하고 세포배양법을 이용해 11개의 RNA 유전체를 분석했다. 그 결과 이 환자의 로타바이러스는 고양이에게서 유래한 유전체 6개와 소에게서 유래한 유전체 5개가 재조합된 ... ...
이전
939
940
941
942
943
944
945
946
9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