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치레
족장
꾸미기
허위
체하기
호주
주인
d라이브러리
"
가장
"(으)로 총 17,30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 농업사 이끈 일석팔조 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농학 기술이다. 육종 발전 없이는 그 나라의 농업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 한국이 낳은
가장
위대한 육종학자 우장춘 박사의 서거 50주년을 맞이해 한반도에도 육종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자리 잡기를 간절히 바란다.박효근 교수는 서울대 농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네소타대에서 식물육종학으로 ... ...
일본 작가 카가야가 그린 밤하늘 판타지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운석 충돌 구덩이)도 놓치지 않았다. 지금 달의 뒷면을 작업하고 있다(웃음). 현재
가장
집중하고 있는 작품은? 최근에는 플라네타륨에서 상영하는 애니메이션을 제작하고 있다. 인기만화‘은하철도 999’의 원작인 소설가 미야자와 겐지의 ‘은하철도의 밤’을 그린 동명의 애니메이션은 2006년부터 ... ...
좀비PC앞세운 디도스 공격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03년 인터넷 대란에 이어서 이번 사태에 이르기까지 세계에서 사이버 공격에 따른 피해가
가장
큰 나라가 됐지만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며 “이번 사태는 우리가 자초한 측면이 있다”고 강조했다.최근 자신의 블로그에 이번 사태의 전모를 정리해 올린 안철수연구소 김홍선 대표의 ... ...
오늘부터 당신도 미팅의 제왕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크기를 조작한 남자들의 사진을 보여줬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눈동자가 큰 사진을
가장
매력적이라고 평가했다. 이 연구는 지난 1월‘성격과 개인차이’에 실렸다. “이는 배란기의 여성이 남성의 커진 눈동자를 남자가 자신에게 보이는 성적 관심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연구팀은 말했다. 단 ... ...
빛과 전자가 만나 광정보통신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처음으로 미국광학회의 이사직과 기획위원을 맡았다. 미국광학회는 전 세계에서
가장
큰 광학 분야 학회로 ‘옵틱스 익스프레스’와 ‘옵티컬 레터스’와 같은 광학 분야 전문지를 발간한다. 학술적으로 뛰어난 연구 성과가 있어야 발언권도 얻을 수 있는 미국 학회에서 이 단장이 기획위원을 맡은 ... ...
한국인 입맛 사로잡은 먹을거리 오징어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적의 시야에서 사라져버리는 능력도 있다. 평소에는 다리를 모아 앞으로 하고 몸통
가장
자리에 있는 지느러미를 이용해 조용히 헤엄치지만 급박한 상황에 처하면 몸속에 머금었던 물을 한꺼번에 내뿜어 그 반동으로 튀듯이 움직인다. 이 동작이 너무나 재빨라 천적의 눈에서 순간적으로 사라지는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원 궤적을 그리므로 연주시차는 0.04″이다. 별 B의 연주시 차는 약 3개월간 배경별에서
가장
멀어진 각이 0.01″이므로 연주시차는 .01″이다. 별까지의 거리는 연주시차에 반비례하므로 다음과 같은 식을 이용해 별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r(pc)= 1/p(″) 위의 식을 이용하면 별 A까지의 거리가 2 ... ...
“다윈과 진화과학의 지적 소나기에 흠뻑 젖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하느냐고 농담을 하며 인권은 유일하게 인간만이 누리는 혜택이라고 말하기도 했다.이날
가장
흥미로웠던 부분은 종교와 과학이 충돌하는 지점이었는데, 한 강연자가“그래서 창조론은 틀렸습니다”라고 강의를 끝내자, 많은 학생들이 질문 시간이 아닌데도 손을 들며 질문을 하려 했다. 그날 밤 ... ...
비버 선생의 건축 비법 건툴의 달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건 알지? 그런데 왜 육각형일까? 육각형이 원에 가까우면서도 공간의 낭비가
가장
적기 때문이야. 또한 벽의 두께가 0.1㎜밖에 되지 않는데도 아주 튼튼해서 벌집 자체보다 무려 30배나 무거운 양의 꿀을 저장할 수 있단다.멋을 아는 동물의 집설명을 듣고 나니 안심이 되는군요~! 이제 선생님께 제 ... ...
대한민국 육종학의 아버지 우장춘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없는 수박 모형은 의외로 2층 전시관 한 귀퉁이에 조그맣게 전시돼 있다. 우장춘 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것이 아닌가.“씨 없는 수박을 실제로 개발한 사람은 우 박사가 아니에요. 일본 육종학자 키하라 히토시 박사죠. 우 박사는 1953년 키하라 박사의 방식을 그대로 사용해 국내에서 씨 없는 수박을 ... ...
이전
940
941
942
943
944
945
946
947
9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