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글"(으)로 총 20,712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신비아파트 고스트볼X의 탄생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신비아파트로 이사 온 초등학교 5학년 구하리와 하리의 남동생 구두리는 독특한 꼬마 ‘신비’와 마주친다. 남매는 신비가 먹던 엿을 빼앗아 먹었는데, 그 뒤부터 귀신이 보였다. 알고 보니, 신비는 아파트의 수호신과도 같은 도깨비였다! 하리는 귀신을 그다지 무서워하지 않고, 귀신과 눈을 마주 ... ...
- [SW 기업 탐방] 같이 타면 빠르고 안전한 학원 버스 셔틀타요수학동아 l2017년 11호
- 학원 버스를 타는 사람은 매일 바뀐다. 누구는 학원을 그만 두고, 다른 누구는 새로 학원에 들어오며, 또 어떤 친구는 탑승 장소를 바꾼다. 이처럼 변화무쌍한 일정을 일일이 챙겨야 하는 학원은 수시로 실수를 저지르기 십상이다. 애꿎은 학생들은 버스에서 시간을 버릴 수 밖에 없다. 이런 상황을 ... ...
- Part 5. 플라스틱 발자국을 줄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바이오 플라스틱은 주로 옥수수나 사탕수수 같은 식물로 만들어진다.미세 플라스틱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서는 플라스틱 제품 사용량을 줄여야 해요. 플라스틱 제품은 아무리 재활용을 한다고 하더라도 한 번 쓰고 나면 쓰레기가 돼 버리거든요. 게다가 페트병의 경우 자연에서 분해되는 데만 450 ... ...
- Intro. 인공 심장이 뚝딱! 시금치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나는 시금초등학교에 다니는 신금지. 등교 전 아침을 꼭 챙겨먹는 건강 소녀지.그런데 오늘은 정말 밥 먹기 싫다…. 시금치 나물에 시금치 된장국까지….“으~, 시금치는 시시해서 먹기 싫은데….”“지금 누가 시금치가 시시하다고 했니?”▼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공 심장이 뚝딱! 시금 ... ...
- Part 3. 최첨단 시금치, 전자 기술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인공 광합성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그림시금치는 물에서 수소를 만드는 마술사?미세먼지를 포함해 각종 대기오염으로 지구가 병들어가는 요즘, 깨끗한 미래의 에너지원으로 수소가 주목받고 있어요. 그런데 수소 연료엔 한 가지 문제점이 있답니다.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수소를 만 ... ...
- [과학뉴스] 스스로 전기 생산하는 실 개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옷을 입고 호흡하는 것만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김선정 한양대 전기생체공학부 교수팀은 늘었다 줄거나, 회전할 때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실을 개발해 ‘사이언스’ 8월 25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를 꼬아 코일 형태의 ‘트위스트론’ 실을 만들었다. 이 ... ...
- [과학뉴스] 비만과 지방간 ‘유전적 치료제’ 탄생할까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국내 과학자들이 비만과 지방간을 유전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황성순 연세대 의대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RORα’ 핵수용체가 간에서 일어나는 지방 대사 과정을 방해한다는 연구 결과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월 31일자에 발표했다. 이 ... ...
- [과학뉴스] 초고지방식 먹은 쥐가 장수한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초고지방식단을 이용해 체중을 감량하는 ‘케토제닉 다이어트’가 쥐의 수명을 늘리고 건강에도 도움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케토제닉 다이어트는 탄수화물을 줄이고 지방의 양을 늘린 식이요법이다. 지방의 이용률이 높아지면 체내에 케톤체의 양이 늘어나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 ...
- [과학뉴스] ‘똥’으로 계절 변화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사람의 장내미생물에도 계절에 따른 주기가 있다는 사실이 최초로 밝혀졌다. 저스틴 소넨부르크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교수팀은 아프리카 탄자니아에서 수렵채집을 하며 사는 소수 민족인 하드자부족 188명의 대변을 채취해 장내 미생물을 분석한 결과를 ‘사이언스’ 8월 25일자에 발표했다. 대변 ... ...
- [과학뉴스] 습관 좌우하는 중간뉴런 첫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손톱을 물어뜯거나 식사 뒤 꼭 커피를 마시는 등의 습관을 결정하는 건 한 종류의 세포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니콜 카라코스 미국 듀크대 신경 생물학과 교수팀은 기억과 학습에 관여하는 뇌의 선조체 부위에서 습관 형성의 지휘자 역할을 하는 뉴런을 찾아냈다. 연구팀은 레버를 누르면 설 ... ...
이전9419429439449459469479489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