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science] 외계인이 탐낸 물 우주에는 넘쳐난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이들 혜성은 장차 행성이 태어났을 때 충돌하면서 물을 제공해줄 수 있다. 지구나 달 등에 있는 물이 혜성에서 기원했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결과다. 별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이렇게 수증기가 생기는 현상이 보편적이라면 우주에는 지구처럼 물이 많은 행성이 적지 않을 것이다.비록 항성간 여행은 ... ...
- [hot science] 작은 어항이 큰 불 낸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물질은 없는지, 파악하기 쉽진 않겠지만 대피할 수 있는 경로와 공간은 충분한지 등등. 그런데 일상적으로 생각하지도 못한 데서 불이 나는 경우가 있다.우선 가전제품 전원 코드를 꽂은 상태에서 가전기기 전원만 끄면 안전하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전원을 오프(off)시켰다고 전류가 ... ...
- 하늘에서 비처럼 눈이 온다면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의미를 가진다. 연인들은 첫눈이 오는 날 추억의 장소에서 만나고, 눈이 가득 쌓인 날 초등학교는 전교생이 운동장에서 놀기 마련이다. 눈싸움은 해도 비싸움은 못들어봤다.구름이 된 수증기가 눈이 되는 현상은 흔히 빙정설이라고 알려진 베르게론-핀다이젠 설로 설명한다. 1933년 T. 베르게론이 ... ...
- [현장취재] 톡톡! 개그수학콘서트 개그 더하기 수학은?수학동아 l2013년 01호
- 관객들의 반응이 아주 좋았어요. 앞으로도 수학을 활용한 개그를 많이 만들고 싶고, 초등학생들과 함께 하는 공연 기회도 자주 생겼으면 좋겠어요.수학도 개그처럼 즐겁다!개그콘서트 팀의 공연이 끝나자, 다시 박형주 교수가 무대에 올라 아이들의 궁금증을 해소해 주는 시간을 가졌다. 한껏 웃는 ... ...
- [통계이야기 ] 미래 인기 직업, 인구통계로 밝힌다!수학동아 l2013년 01호
- 필요합니다. 그러니 의사와 복지전문가가 촉망받을 겁니다. 또 노인과 젊은 사람 간의 갈등을 해결하는 관계전문가나, 은퇴 후 생활을 위한 자산전문가가 유망합니다. 이 직업은 2012년 10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발표한 2022년 각광을 받는 직업과도 일치합니다.이렇게 통계를 보고 앞으로 일어날 ... ...
- 크리스마스처럼 행복한 수학을 선물한다!수학동아 l2013년 01호
- 떠나는 ‘수학 여행’이다. 동아리원들은 담당 선생님과 함께 서울, 과천, 대구, 부산 등 다양한 도시에서 열리는 수학 체험 행사를 탐방하고 직접 참여하면서 견문을 넓힌다. 특히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열리는 수학문화축전은 1회 때부터 도우미로 참가하면서 다양한 수학 체험활동을 경험해 왔다 ... ...
- INTRO. NEO DNA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중심으로 바라보게 하는 관점의 전환을 일으켰다. 이제 질병과 생김새, 성격과 심리 등 우리 주변의 모든 것들을 유전자와 연관지어 설명하려는 시도가 낯설지 않다.이런 경향은 인간이 지닌 유전체 전체를 해독하려 한 인간게놈프로젝트로 정점에 달했다.하지만 정점에 달하면 모순도 커진다고 ... ...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과학동아 l2013년 01호
- RNA뿐만 아니라 자체 RNA마저 편집하고 있다.이것은 인간만이 겪는 장수나 스트레스 등이 원인일 수 있다.RNA 자체 변이에 관한 논쟁은 아직도 진행 중이다.확실한 메커니즘이 발견되거나, 혹은 실험이나 분석이 잘못됐다고 밝혀질 때까지 계속될 것이다.하지만 이런 논쟁을 통해 인간 유전체학은 ... ...
- 우주지도분쟁과학동아 l2013년 01호
- 이야기한다. 그러나 이건 화산이 놓여 있는 평원으로부터 쟀을 때의 높이다. 화성의 중력 등포텐셜면을 기준으로 재면 높이가 21km다. 무려 5km나 차이가 난다. 만약 지구에도 바다가 없다면 사람이 지금의 해저에 발을 딛고 다녔을 테니, 우리가 보는 산의 높이는 훨씬 더 높아졌을 것이다.마지막으로 ... ...
- 참수리가 찾아오는 한강 모래섬, 당정섬과학동아 l2013년 01호
- 관찰, 작성한 자료에 따르면 텃새 34종, 여름철새 39종, 겨울철새 61종, 나그네새 76종 등 우리나라에 기록된 조류 450종 중 210종이 당정섬 일대에서 관찰됐다. 황새나 먹황새, 혹고니, 재두루미, 노랑부리저어새와 같은 희귀 조류만 40여 종이 넘는다. 서 대표는 “모래가 퇴적될 정도로 물살이 약한 데다, ... ...
이전9439449459469479489499509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