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모두"(으)로 총 9,6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간 공장, 새해를 만들다!(1)어린이과학동아 l20071229
- 사태에 대비해 정반대의 연구도 하고 있습니다. 바로 시간의 흐름을 막거나 되돌리는 연구입니다.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다구요? 자~, 모두 조용히 하고 귀를 기울여 주세요. 그건 바로 타임머신이지요. 쉿! 다른 방의 일꾼들이 들으면 화를 낼지도 몰라요. 그들은 열심히 시간을 만들고 있는데, 애써 만든 시간을 되돌린다고 하면 어떤 기분이겠어요! 그 ...
- 형사 고제트의 크리스마스 과학 대소동(2)어린이과학동아 l20071213
- ~페이지에 소개되어 있습니다! 이벤트 하나! 거꾸로퍼즐 풀고 선물 타고! 설명에 맞는 단어를 거꾸로 써서 푸는 퍼즐입니다. 퍼즐을 모두 푼 뒤, 붉은 부분(□)에 들어가는 말이 나타내는 이름을 엽서에 써서 보내 주세요. 정답자 중 18명을 뽑아 정성껏 마련한 선물을 드립니다. 1. 두려움, 놀람, 충격 등의 이유로 잠시 정신을 잃는 것. 2. ...
- 꺄악~! 까마귀 자판기로 돈을 벌겠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71130
- 군은 이번이야말로 백만장자가 될 수 있다며 오히려 고글에게 여자 친구를 설득해 달라고 한다. “그 동안 내가 만든 발명품들이 모두 실패했다는 건 인정해요. 하지만 이번엔 다르다구요. 사람들이 깜짝 놀랄 만큼 성공할 자신이 있다니까요.” “그런데 왜 하필 까마귀죠? 까마귀가 무슨 돈이 있다고?” 언뜻 이해가 되지 않는 닥터고글은 까마귀 자판기에 ...
- 2020년 한국도 달에 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1130
- 아이들은 모유를 먹었지만 지능지수에 별 차이가 없었답니다. 지능지수는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유전자와 후천적으로 모유를 먹는 것 모두 관련돼 있는 셈이에요. [소제시작]난자 없이 배아줄기세포 만들었다[소제끝] 피부 세포를 ‘만능 세포’라 불리는 배아줄기세포로 만드는 데 성공했어요. 자신의 피부로 줄기세포를 만들면 소아당뇨 등 난치병을 거부반응 없이 ...
- 생물자원 전쟁_크리스마스트리를 지켜라!(2)어린이과학동아 l20071130
- 국립생물자원관 우리나라의 생물자원을 보존하고 관리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우리나라에 살고 있다고 알려진 3만 종의 생물 표본을 모두 확보하고 새로운 생물을 찾아 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국립유전자원센터 세계 최고 수준의 시설을 갖춘 종자은행이다. 현재 15만 종의 식물 씨앗을 보유하고 있으며 선진국을 따라잡기 위해 적극적으로 씨앗을 수집하고 ...
- 최고의 비행기를 뽑아라!(1)어린이과학동아 l20071114
- 맞는 무인비행기란다. 헬기와 비행기가 한 몸에 있어요 {BIMG_c13} 스마트무인기사업단 무인비행기는 한 몸에 헬기와 비행기의 장점을 모두 담았어. 활주로가 없어도 헬기처럼 수직으로 뜨고 내리고 비행기처럼 고속으로 날아가지. 기존 무인 헬기보다 두 배 빠른 시속 500㎞로 5시간 동안 난다구. 위성 이용해 방향 잡아요 {BIMG_c14} 비행 ...
- 최고의 비행기를 뽑아라!(2)어린이과학동아 l20071114
- 전투기로 주목받고 있어. 인공지능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양쪽 날개 아래 각각 2톤의 무기를 실을 수 있단다. F-35공군, 해군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통합 공격기야. F-22처럼 스텔스 기능을 가지고 있는 미래 최강의 전투기란다. 비행기 사상 처음으로 음성인식 기능이 있어 조종사의 말로 작동되는 꿈의 전투기야. [소제시작]쇼를 하라![소제끝 ...
- 어린이과학동아, 신기한 동물 친구들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071114
- ‘어린이과학동아’가 창간 3주년을 맞아 독자 33명을 에버랜드로 초대했어요. 짜릿한 놀이기구도 타고 예쁜 인형들이랑 신나게 놀았겠다구요? 오오~, 무슨 말씀! ‘어린이과학동아’ 독자들은 놀 때도 ‘과학 ... 헤어져야 할 시간. 모두들 오늘 만났던 동물 이야기에 꽃을 피웠지. 아! 그리고 하나 더! 아침에 처음 봤던 어색한 모습을 뒤로 한 채 ...
- [천기누설 날름 도사]'혀'씨의 고민을 해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071114
- 능력이 다르다? 맛을 느끼는 구조는 대부분 비슷해요. 하지만 입맛이란 맛을 느끼는 것뿐만 아니라 음식의 냄새, 색깔, 질감 등을 모두 고려해서 결정되기 때문에 맛이 다르게 느껴지는 거예요. 하지만 쓴맛은 조금 달라요. 쓴맛을 느끼는 정도의 차이는 분명하답니다.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인 이유가 크다고 해요. 의문 3) 어리광쟁이 ...
- 노벨상은 내 거야!어린이과학동아 l20071107
- [소제시작]노벨상이 만든 세상[소제끝] {BIMG_R14}올해 노벨상을 받은 과학자를 모두 만나 보았지만 아직도 노벨상을 받은 연구들은 모두 어려워 보이고 나와는 먼 존재인 것 같지? 지금부터 내가 하는 얘기를 들으면 깜짝 놀랄걸? 노벨상을 받은 연구들이 우리 세상을 얼마나 바꾸어 놓았는지 알게 된다면 말이야.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
이전9439449459469479489499509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