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내
내륙
오지
내국
d라이브러리
"
내지
"(으)로 총 1,20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우리나라의 위성개발 우리도 1993년엔 관측위성 띄운다
과학동아
l
199003
3단계 계획은(표1)과 같다.앞으로 10년 동안 세번의 과학위성을 발사할 예정이며 1999년
내지
2000년에는 발사체도 자체 개발하고 인공위성도 순수 우리 기술로 제작해 쏘아올릴 예정이다.통신위성 도입계획 공개돼야체신부에서 진행중인 통신위성 도입 계획은 '96년 도입 예정'이라는 사실외에는 별로 ... ...
상승하고 있는 지구온도 새 빙하기는 언제 오는가?
과학동아
l
199003
태양의 각도와 거리를 변화시킨다. 이중 최단주기는 지구의 자전동요로 인한 1만9천년
내지
2만3천년 간격의 주기다. 자전축 경사가 4만1천년 간격으로 약22도에서 25도까지 변동해 발생하는 주기가 두번째 요소. 가장 긴 순환은 지구의 공전궤도가 거의 완전한 원형에서부터 타원으로 길쭉해졌다가 ... ...
10년후엔 「한국형 중급항공기」개발
과학동아
l
199002
대단했다. 결국 우리는 차세대전투기종을 미국것으로 미리 확정함으로써 압력을 이겨
내지
못하고 예상보다 매우 낮은 수준에서 절충교역 비율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같은 미국 기종인 FA18이냐 아니면 F16이냐를 놓고 혼전을 벌일 때 주변에서는 절충교역비율에 크게 신경을 쓰지 못했다.FX의 ... ...
플라스틱이 전기를 통한다
과학동아
l
199002
양극으로 하고 리튬금속을 음극으로 해 만든 것이다. 일반건전지가 전압을 1.5V밖에
내지
못하는 데 비해 이것은 3V의 전압을 낸다. 또 사용한 재료가 모두 가벼워 단위 무게당 낼 수 있는 전기량이 일반 건전지보다 높다. 뿐만 아니라 충전시 효율이 90% 이상되고 충·방전회수가 1천번을 넘는다. 특히 ... ...
환경오염의 해결이란 큰짐 진 조경식 초대환경처장관
과학동아
l
199002
투자와 기술개발 또는 국내기술로는 어렵다면 해외기술도 입을 통해서라도 무공해산업
내지
저공해산업으로 전환해가야 한다는 것이다. 당장은 막대한 투자재원이 소요돼 기업들의 반발이 예상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부가가치를 높이고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계기가 되지 않겠느냐는 것. 다만 ... ...
㈜터보테크 장흥순
과학동아
l
199002
목표로 세워놓고 연구를 추진중에 있다.지난 해는 공작기계에 뛰어든 첫 해니 만큼 욕심
내지
않고 연구개발에 치중했다고 장사장은 들려준다. 작년 매출액은 3개월간 1억3천만원, 그러나 올해는 20억원어치를 팔 작정이다.현재 터보테크연구소에는 KAIST출신 9명을 포함해 11명이 포진해 있다. 회사의 ... ...
PARTⅢ 아피안에서 첨단도로까지
과학동아
l
199002
닦아 놓으면 외적이 쉽게 침입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도로를 절대 넓고 편하게
내지
못하게 했다. 또 그 당시의 상공업 천시풍조도 도로의 발달을 저해하는 주요 원인이 되었다.그러다가 해방이 되고 6·25동란을 거치면서 도로의 중요성이 점점 부각됐다. 이때부터 중요한 도로들이 속속 ... ...
해양
과학동아
l
199001
분야를 제외하고 해양광물자원 에너지자원 해양공간자원이용 등에서는 연구 초기단계
내지
기술도입단계로 선진국과는 상당한 기술격차가 있다.먼저 해양의 과학적 조사 및 탐사기술에 관해서 살펴보면 해양자원을 효율적으로 개발, 활용하고 보전하기 위해서는 해양과학적 기초연구를 통한 ... ...
PARTⅡ 조력발전
과학동아
l
199001
기술개발 여하에 따라 증대할 가능성이 크지만 현재의 상태에서 추산해보면 대략 수십년
내지
수백년 분에 지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물리적 제약 뿐 아니라 에너지원의 가격 앙등, 원자력의 사회적인 수용문제 등 사회·경제적인 제약도 고려되어야 한다.이와 같은 불투명한 에너지정세에 대처해 ... ...
PARTⅢ 지열발전
과학동아
l
199001
밀집되어 있다. '게이서'와 '임페리얼'계곡이 대표적인 지역개발지이며, 최근에는 중온
내지
저온지열수를 이용한 다목적 이용이 활발히 진행중이다. 일본의 경우 9기의 발전소에서 2백15MW의 발전량이 확보되어 있으며 새로운 지열자원의 탐사가 계속되고 있다. 필리핀은 최근 활동적인 지역개발을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