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컨설턴트
고문
d라이브러리
"
전문의
"(으)로 총 5,360건 검색되었습니다.
"멍멍 멍멍멍 멍멍 멍!" 내 마음 알겠니?
과학동아
l
201307
지난 3월 한 사람이 이웃집의 개를 전기톱으로 죽이는 사건이 벌어졌습니다. 맹견이 자신이 기르는 개를 공격하자 전기톱으로 공격해 죽였던 것입니다. 이에 ‘다급한 상황이라 어쩔 수 없었다’는 주장과 ‘아무리 그래도 너무 잔혹했다’는 주장이 대립하며 한동안 여론을 달궜습니다.혀를 끌끌 ... ...
보이지 않는 위험에서 살아남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7
산업현장이 위험하다? 올해들어 두 달 여만에 큰 안전사고가 일곱 건이나 일어났어. 화학물질은 우리 산업현장에서 꼭 필요하지만 독성이 강하거나 폭발하기 쉬운 물질도 있어 안전하게 다루지 않으면 무척 위험하다고. 어쩌면 좋을까? 그래! ‘살아남기 전문가’ 섭섭박사에게 도움을 청해 볼까? ... ...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 수학하는 동물들이 나타났다!
수학동아
l
201307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신기한 일만 찾아다니는 ‘세상에 이런 일이!’의 최 PD입니다. 제가 놀라운 이야기 하나 해 드릴까요?글쎄, 인간도 어려워하는 ‘수학’에 통달한 동물들이 있다고 합니다! 거짓말이라고요?저도 처음에는 못 믿었죠. 하지만 제가 누굽니까?직접 숲속과 바닷속, 그리고 북극 ... ...
류현진의 느린 체인지업에 왜 타자는 헛스윙할까
과학동아
l
201306
국가대표 에이스 류현진 투수가 메이저리그에 진출해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메이저리그에서 동양인 투수 최다승을 거둔 박찬호 선수가 강속구와 커브를 주무기로 했다면 류현진은 다양한 변화구를 절묘하게 제구하며 메이저리그 타자들을 요리하고 있다. ‘코리안 몬스터’라는 별명까지 얻 ... ...
막대기를 움직인 건 수맥인가 내 마음인가?
과학동아
l
201306
최근 들어 북한과 관계가 나빠졌습니다. 대한민국의 안위를 걱정하는 사람들도 늘어났습니다. 걱정스러워하는 건 이해가 됩니다. 그런데뉴스를 보다 보니 특이한 주장을 하는 사람도 있더라고요. 북한이 전쟁에 대비해 땅굴을 파고 있다는 이야기였습니다. 처음 듣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저도 어린 ... ...
숫자만 인지하는 뇌 부위 발견
수학동아
l
201306
숫자라는 상징을 이용해 수학적인 인지활동을 하는 것은 사람만이 가진 독특한 특징이다. 그런데 최근 미국 스탠포드대 연구팀이 사람의 뇌에서 숫자에만 반응하는 미세한 영역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스탠포드대 의대 조세프 파르비치 교수 연구팀은 수술을 위해 검사하고 있는 간질 환자들의 뇌 ... ...
새 학기 스타는 바로 나 굿 잠으로 훈남훈녀 되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6
3월 5일. 새 학기가 시작됐어. 학년이 올라간 만큼 반에서 주목받는 스타가 되고 싶었지만 첫날부터 늦잠을 자버렸지 뭐야. 어젯밤에 스마트폰으로 ‘동물팡’ 게임을 하다가 1시도 넘어서 잤거든. 겨우 지각을 면해서 책상에 앉아 있는데 이게 웬일? 우리 반 애들 모두가 퀭한 눈으로 칠판을 바라보 ... ...
과학전문기자가 와인 파티를 연다면?
과학동아
l
201306
아뿔싸. 또 ‘당했다.’ 소개글을 쓰려고 책을 펼쳐 들었다가 정신을 차리고 보니 시간이 한참 지나 있다. 업무는 뒷전이다. 밀린 일을 하려 허둥대며 컴퓨터 앞에 앉는다. 그리고 생각한다. 책읽기 좋아하는 걸로는 남에게 빠지지 않는 편인데, 이렇게 내용 자체가 재밌어서 정신을 빼앗기고 독서를 ... ...
플랫랜드와 4차원 도형
과학동아
l
201306
‘플랫랜드(Flatland, 1884년)’는 제목이 의미하듯 평평한(flat) 세계(land), 즉 2차원 평면세계를 다룬 소설이다. 1부는 플랫랜드에 살고 있는 평면도형 자체에 대한 설명, 그리고 평면도형의 생활과 제도를 기반으로 전개된다. 플랫랜드의 평면도형들은 인간과 마찬가지로 감정을 가지고 사고를 하며 사 ... ...
[6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306
막상 과학기사를 쓰려니 뭘 쓸지 도통 떠오르지 않는다는 학생이 많습니다. 물론 전문기자가 아니니 한계가 있긴 합니다. 하지만 조금만 눈을 돌려 보면 주변에는 온통 과학뉴스꺼리가 있답니다. 초이스에 뽑힌 추가연(서울 진선여고 2) 학생의 기사가 좋은 예입니다. 추가연 학생은 이미 보도된 사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