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수"(으)로 총 1,328건 검색되었습니다.
- 범인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온 게 확실해요. 양 손에 하나씩 들고 왔거든요.다잡아 : 관리인에게 원래 있던 찻잔의 개수를 확인해 보면 당신의 말이 사실인지 알 수 있겠죠. 그럼 피트 씨와 졸리 씨는 그 시각에 무엇을 하고 계셨나요?피트 : 졸리와 나는 점심 때 여기서 만나기로 하고 건너편 미술관에서 헤어졌습니다.다잡아 : ... ...
- 식물의 운명은 숫자에서 시작해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운명은 식물의 얼굴이라 할 수 있는 꽃에서 큰 차이를 나타냅니다. 쌍떡잎식물의 꽃잎개수는 4나 5의 배수예요. 4, 8장 또는 5, 10장처럼 말이죠. 그런데 외떡잎식물의 꽃잎은 3의 배수로 3, 6, 9장이랍니다.어~, 그럼 3과 4의 최소공배수인 12장의 꽃잎을 가진 식물은 쌍떡잎식물일까요? 외떡잎식물일까요? ... ...
- 나무그늘도 수학 실력수학동아 l2010년 05호
- 0°로 나누면 0.382가 되는데 황금비의 또 다른 형태랍니다.잎의 개수는 피보나치 수열잎의 개수에도 규칙이 있어요. 표에 나오는 분자와 분모의 수를 순서대로 나열하면 1, 1, 2, 3, 5, 8, 13, … 이 되거든요. 앞서 민들레 잎에서 보았던 피보나치 수열의 완벽한 형태죠. 잎은 이러한 각도와 규칙으로 날 때 ... ...
- 기호 3 탈출할 수 있는 미로와 없는 미로수학동아 l2010년 05호
- 곡선과 직선이 만나는 점의 개수가 홀수개지요? 놀랍게도 어느 점을 잡아도 만나는 점의 개수는 홀수 개예요. 저도 제 눈을 의심하고 계속해서 선을 그어 봤어요. 아무리 반복해도 홀수 개가 나오더군요. 그럼 이번엔 안과 안, 밖과 밖에 임의의 두 점을 잡아 직선을 그어 보세요. 만나는 점이 몇 ... ...
- 난제의 비밀을 찾아서#1 그 곳엔 항상 소수가 있다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수천 장의 종이가 있어야 겨우 쓸 수 있다.소수의 배열에 일정한 규칙이 있을지, 소수의 개수가 무한한지 등 소수와 얽힌 다양한 의문은 지금까지도 수학자들의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다.쌍둥이 소수 추측_소수에도 출생의 비밀이?소수 중에는 2만큼 차이 나는 쌍이 있다. 예를 들어, 3과 5, 5와 7, 11과 1 ... ...
- 지진도 폭풍처럼 몰아친다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입장이다. 수치상으로는 계속 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과거보다 관측소의 개수가 늘고 장비가 발달해 예전에 탐지되지 않던 작은 지진들이 기록으로 남은 영향이 크다는 것. 현재 전 세계에서 운영되는 지진관측소의 수는 약 8000개로 1931년 350개에서 20배 이상 증가했다. 또 지진 기록을 보면 ... ...
- 빅뱅 직후 우주에는 쿼크가 흘렀다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초입자 개수(정확히는 기묘쿼크의 개수)에 따라 원자핵의 기묘도(strangeness, 기묘쿼크 개수의 마이너스값)가 결정된다. 우리 주위 물질 대부분은 원자핵이 핵자(양성자와 중성자)로만 이뤄져 있으므로, 즉 초입자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기묘도가‘0’이다.최초의 초입자원자핵은 1952년 발견됐는데, ... ...
- 세계 최대 달 모자이크과학동아 l2010년 04호
- 한국천문연구원, 국립중앙과학관, 동아사이언스가 공동 주최한 제18회 천체사진공모전에서 서울 마포구의 오봉환 씨(51)가 영예의 대상을 거머쥐었다. 이번 공모전에는 일반 ...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열린다. 1* dpi : 영상의 해상도를 나타내는 단위. 영상 1인치당 들어가는 도트(점)의 개수 ... ...
- 의뢰 1 군사작전을 해도 될까요?수학동아 l2010년 04호
- 무언가를 숨기고 있어요. ✚평균에 감춰진 함정 평균은 자룟값을 모두 더한 뒤 자료의 개수로 나눈 값으로 월평균 기온, 평균점수와 같이 자료를 대표하는 값으로 많이 사용한다. 하지만 평균에는 엄청난 함정이 있다. 바로 자룟값 중 아주 큰 값이 있거나 작은 값이 있으면 자료를 대표하기에 ... ...
- 무한을 향한 도전수학동아 l2010년 04호
- 모든 자연수는 무한하다. 제곱수는 무한하다. 그리고 제곱수의 개수는 모든 자연수의 개수보다 작지도 않으며 크지도 않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같음, 많음, 적음과 같은 성질은 무한에선 적용되지 않으며, 단지 유한에서만 적용된다.무한에서의 크기 비교는 19세기 칸토어에 의해 해결된다. 칸토어는 ... ...
이전9091929394959697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