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거리"(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미술관] 시선을 모으는 원근법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서 있는 나무는 QP의 길이로, 뒤의 나무는 RP의 길이로 캔버스에 나타내면 실제와 같은 거리 차이를 표현할 수 있지요. 점 O처럼 물체의 연장선을 한곳으로 모았을 때 선과 선이 만나는 점을 ‘소실점’이라 합니다. 원근법을 이용한 회화에서는 이 소실점이 확연히 드러나지요. 소실점을 기준으로 ... ...
- [해외취재] 장이권 교수님과 야생 속으로 GO! 생생 대만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올라오는 깊이에 다다르자, 금세 푸른바다거북을 볼 수 있었지요. 팔을 뻗으면 닿을 듯한 거리에서 유유히 지나가는 푸른바다거북을 보고는 너무 놀라 입을 떡 벌리고 말았어요. 거북은 바닥의 수초들을 맛있게 먹는 것에 집중해 사람들이 다가가 촬영을 해도 경계하지 않았지요. 이런 거북의 모습은 ... ...
- [탄생 150주년] 알아두면 쓸모있는 신기한 주기율표 이야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인정받지 못했다. 특히 옥타브 법칙의 경우 3주기부터는 규칙이 어긋나 당시 학계의 웃음거리가 됐다. 멘델레예프는 1869년 3월 6일 러시아화학회에서 ‘원소의 구성 체계에 대한 제안’이라는 논문을 발표하면서 63개 원소를 담은 주기율표를 처음 공개했다. 하지만 학계는 여전히 주기율표에 냉담한 ... ...
- [중국유학일기] 中대학의 MT, 반 모임에서 '베프' 만들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모임을 진행할 때 파티룸을 빌린다. 우리 과의 반 모임은 학교에서 버스를 타고 20분 정도 거리에 있는 주택 형태의 파티룸에서 진행됐다. 파티룸에는 대개 노래방 기계가 설치돼 있고, 중국 고유의 전통놀이인 마작을 할 수 있는 테이블이나 당구대 등이 갖춰져 있다. 우리가 빌린 파티룸은 앞마당을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나는 어과동의 귀염둥이 과학마녀 일리! 지난 주말엔 내가 좋아하는 과학 실험을 잔뜩 했지. 실험을 하느라 방 안에만 콕 박힌 나를 보다 못한 푸푸가 동물이라도 만나 ... 통해 증명했어요. 이후 1895년 이탈리아 공학자 굴리엘모 마르코니가 전파를 사용하는 원거리 통신에 성공했답니다 ... ...
- 인공강우로 미세먼지 해소될까?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영향거리가 약 200km인데, 한반도 서쪽 태안반도와 가장 가까운 중국의 산둥반도까지의 거리가 약 320km이기 때문이다. 같은 이유로, 한 지역에서 인공강우 실험을 진행했다고 해서 주변 지역에 가뭄이나 홍수 같은 이상기후를 유발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 한편 빙정핵으로 사용되는 요오드화은이 ... ...
- 인류의 행성 이주 작전, 프록시마 b에 데려다 줄래?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인간이 프록시마 b까지 어떻게 이동하느냐 하는 것이다. 지구로부터 프록시마 b까지 거리는 4.24광년. km로 환산하면 약 40조1104억km에 이른다. 현재 추진 시스템을 사용할 경우 짧게는 1만9000년, 길게는 8만1000년까지 걸린다. 과학자들은 종종 불가능의 영역에 부딪힐 때 문학에서 아이디어를 얻곤 ... ...
- [미국유학일기] 국적은 달라도 K팝 댄스로 통한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신입생 행사에 같이 가곤 했다.하지만 모든 게 순탄했던 건 아니었다. 뻔하지 않은 대화 거리를 찾는 것이 쉽지 않았다. 나는 중·고등학교 시절 정말 유명한 팝송이 아니면 잘 듣지 않았고, 드라마보다는 오디션 프로그램을 더 좋아했기 때문에 미국 드라마(미드)도 거의 보지 않았다. 그래서 ... ...
- 수학 교과서는 거짓말쟁이? 진실 혹은 거짓수학동아 l2019년 04호
- 180°가 아니며, 평행한 두 직선은 만날 수도 있고 만나지 않을 수도 있고, 두 점 사이 최단 거리는 직선이 아닙니다. 심지어 선 2개로 ‘이각형’도 만들 수 있죠! 이런 초유의 거짓말 사태가 일어난 이유는 우리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거쳐 교육과정에서 배우는 기하학은 ‘유클리드 ... ...
- [과학뉴스] 체온 따라 열 조절하는 섬유 개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100만분의 1m) 파장의 적외선을 방출하다가 온도나 습도가 올라가면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10μm 이내 파장의 적외선을 방출하도록 전자기 결합이 바뀌는 것이다. 10μm 파장의 적외선은 우리 몸이 열을 방출하고 흡수하는 파장대다.실제 실험 결과, 연구팀은 이 섬유가 몸의 상대습도에 ... ...
이전9091929394959697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