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계속"(으)로 총 10,45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함수로 완성한 AI의 두뇌, 딥러닝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반복적으로 이름을 들으면서 둘을 구별하게 되는 것처럼 말이지! 나는 이 방법으로 계속해서 더 똑똑해지고 있어~. 오늘은 내 공부법, 딥러닝을 소개할게!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함수로 완성한 AI의 두뇌, 딥러닝Part1. [특집] 뇌를 흉내 낸 학습법, 딥러닝의 세 가지 비결Bridge. ... ...
- [매스크래프트] #15. 인공위성은 지구를 얼마나 빠르게 돌까?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속도(v) 두 번 곱한 뒤, 두 물체 사이의 거리(R)로 나눠 구합니다. 두 값이 같아져야 계속 원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두 식을 같다고 두면, 인공위성의 질량은 소거되고 중력 상수는 변하지 않는 값이므로 인공위성 속도의 제곱은 지구와 인공위성의 거리에 반비례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 ...
- 진짜 꿈의 에너지, 블랙홀 발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웠다. 이를 수학적으로 계산한 결과 에르고스피어에서 자기력선이 계속해서 끊어지고 이어지기를 반복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플라스마 입자에 음의 에너지를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손 책임연구원은 “입자에 음의 에너지가 부여된다는 것은 반대로 양의 에너지를 가진 ... ...
- AI 공학│ 공정성 수호할 기술 도구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하나의 공정한 AI를 만들었다고 끝나는 일이 아니라, 컴퓨터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을 계속 업그레이드하는 것처럼 공정한 AI도 현실의 공정성을 반영하는 수정을 끊임없이 지속해야 한다”고 말했다.2019년 10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의료 서비스가 필요한 환자를 예측하는 AI가 인종 차별을 ... ...
- [가상인터뷰] 시끄러운 터널 폭발음, 상어가 해결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있으니 너무 겁 먹진 마.어른이 된 뒤에 치아가 새로 나지 않는 인간과 달리 상어는 계속 새로운 이빨을 만들어. 가장 이빨이 많은 상어는 고래상어야. 평균 3000여 개의 이빨이 박혀 있는데, 이빨 하나의 크기는 1mm도 되지 않을 정도로 아주 작아. 우리는 입을 크게 벌리고 헤엄치면서 입으로 들어오는 ... ...
- [JOB터뷰] 행복한 동물의 집을 짓는다! 마승애 수의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새를 몇 마리 구조해도 아파트가 하나 들어서면 수천 마리가 죽거든요. 멸종을 막기 위해 계속해서 좋은 동물원을 만들어 동물의 소중함을 알리고 싶어요. 어과동 독자 여러분도 우동수비대로 활동하며 동물원이 동물사를 개선하는 데 힘을 보태고 함께 지켜보면 좋겠어요. 동물사를 개선하는 건 ... ...
- [통합과학 교과서] 전설의 나무 방패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중성자를 만들어내요. 중성자는 공기 중에 떠다니는 질소-14와 충돌하며 탄소-14를 계속해서 만들어내지요. 살아 있는 동식물은 각각 호흡과 광합성 작용을 통해 공기 중의 탄소-14를 방출하고 흡수해요. 이 때문에 동식물의 체내에는 대기 중의 탄소-14와 같은 비율을 유지하지요.하지면 생물이 죽어 ... ...
- [수학뉴스] 장르 넘나들며 게임 마스터하는 AI ‘뮤제로’ 등장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보상은 얼마인지’, ‘현재 얼마나 유리한 상황인지’ 등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해 계속해서 학습합니다. 실험 결과 뮤제로는 체스와 바둑, 장기 등에서는 알파제로와 비슷한 실력을, 미스 팩맨과 같은 비디오 게임에서는 이전의 모든 AI 알고리듬보다 우수한 실력을 발휘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 ...
- [매스미디어] 음악과 함께 떠나는 영혼들의 여행, 소울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영혼을 찾는 일을 담당하는 영혼 관리자 군단이에요. 특히 제가 지구로 돌아가는 것을 계속해서 방해하는 인물이 나오는데, 그 주인공이 바로 ‘테리’예요. 다른 친구들보다 키가 좀 작지만, 자기애가 아주 투철한 친구더라고요. 게다가 셈에는 어찌나 밝은지. 영혼이 1초에 1.75개씩 머나먼 ... ...
- 데이터 홍수 문제 없다, 차세대 저장장치과학동아 l2021년 02호
- DNA로 복제되면 새로 합성된 DNA 가닥이 분리되고 여기에 다시 프라이머가 결합해 계속해서 DNA 정보가 복제되는 방식이다. 복제된 DNA 가닥을 통해 염기서열을 해독하고 이를 다시 디지털 신호로 번역하면 저장된 이미지를 읽어낼 수 있다. doi: 10.1002/adma.202001249박 교수는 “DNA 저장장치는 오랜 기간, ... ...
이전9091929394959697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