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법
테크닉
기술
기량
작풍
연주법
솜씨
d라이브러리
"
기법
"(으)로 총 1,278건 검색되었습니다.
꿈을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vision)은 플라스마 디스플레이나 액정화면 등을 타일처럼 벽면 전체에 설치하는 새로운
기법
의 디스플레이다. 이것은 사무용 전자칠판에 이용되고, 빌딩의 벽을 가상공간으로 만들어 보다 쾌적한 업무환경을 만드는데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가정용으로는 집을 지을 때 벽면 전체를 ... ...
외계행성 찾는 새로운 방법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그들은 행성의 영상은 남겨두는 반면 밝은 별로부터 오는 빛은 제거하는 간섭무효화
기법
을 사용했다. 다중 거울 망원경을 사용해 하나의 거울로부터 온 밝은 별빛을 다른 하나에 의해 사라지게 하고, 별에 가까운 희미한 물체로부터 온 빛은 증폭할 수 있도록 거울을 조합하는 방법이다 ... ...
삭지도 않고 썩지도 않는 닥나무 한지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종이, 한지가 천년을 견뎌내는 이유는 무엇일까? 먼저 선조들이 발달시킨 독특한 제조
기법
을 들 수 있다. 전통 한지는 빛과 바람과 습기 같은 자연현상과 친화하는 성질이 있다. 그래서 빛을 그대로 비쳐주고 바람을 통해 주며 습도를 조절해 종이 자체가 신축운동을 한다.한지를 흔히 살아 있는 ... ...
PartⅢ. ④국산 사이버 가수들 미완의 가능성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일본의 교코 다테보다 춤동작이 뛰어나다는 것이 관련 업계의 평이다.제작진이 사용한
기법
은 무선으로 모션을 캡처하는 방식. 몸 곳곳에 센서를 부착한 무명의 댄서가 춤을 추면 적외선 카메라를 통해 각 동작이 컴퓨터 화면에 저장된다. 여기에 사이다의 모습을 입히면 자연스럽게 춤추는 가수 ... ...
4. 사이코드라마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앉히고, 치료팀 중 한사람이 보조자아로 무대에 나와서 주인공 역할을 대신했다(거울
기법
). 거절하지 못하는 주인공 역할을 보조자아가 대신하고 주인공은 그 장면을 구경했다. 연출가가 주인공에게 그 장면을 보고 느낌이 어떤지 물었다. 주인공은 “상사가 자신에게 일거리를 너무 많아 주는 것 ... ...
2. 기상예측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분석하거나, 시간적으로 외삽해 앞으로의 진행방향, 속도, 강도를 예측하는 실황예보
기법
이 최선이다. 이는 마치 스포츠 경기를 생중계하듯이 기상상황을 수시로 점검하고 분석하며 예보하는 것이다.예보담당자는 폭우 등의 악기상에 따른 비상근무에 들어가면 평소보다 2배 이상의 관측자료와 ... ...
PartⅡ. 가상 인간 실현하는 테크닉3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가능하다. 따라서 운동하는 모습이 다소 부자연스럽게 보인다. 하지만 시뮬레이션
기법
은 아예 초당 4m를 달리도록 입력 데이터를 바꾸면 되기 때문에 이런 부자연스러움이 사라진다.신체가 처한 특수한 상황들도 간단한 데이터 조작으로 쉽게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쪽 다리가 불편한 환자의 ... ...
단백질 구조 밝힌 생화학의 선구자들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최근에는 질병에 관련된 단백질의 구조를 바탕으로 이에 맞는 결합분자를 설계하는
기법
이 새로운 의약품 개발에 활용되고 있다.또 다른 예로 구조 변형을 통해 기능이 향상된 단백질을 설계하고 생산하는 단백질 공학에서 3차원 구조가 활용되고 있다. 발효 식품 또는 술 제조에 이용되는 산업용 ... ...
가상현실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것은 가상현실의 궁극적인 목표라고 할 수 있다.가상현실은 컴퓨터 그래픽과 시뮬레이션
기법
의 발전과 더불어 탄생한 첨단기술이다. 새로운 비행기를 개발했을 때 이를 시험비행하는 일은 매우 위험하다. 그래서 경험이 많은 테스트 파일럿이 시승에 참여한다. 하지만 가상현실을 이용하면 ... ...
Ⅰ. ①두뇌: 남자 좌우 뇌 차이 크다
과학동아
l
1998년 05호
못하고 있다.그러나 최근의 정밀한 해부학적 검사, 그리고 MRI(핵자기공명장치) 영상
기법
을 동원한 연구에 따르면 남녀의 뇌에는 적어도 한가지 차이가 있다는 사실이 점차 확실해지고 있다. ‘뇌량’(corpus callosum)이라는 구조의 후반부 크기가 여성이 더 크다는 사실이다.뇌량이란 좌우로 나뉜 뇌를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