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머지"(으)로 총 2,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류탄생 - 난쟁이 인류, ‘호빗’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맞붙었습니다.새로운 증거, 작은 손목 뼈머리가 결론이 안 나자, 다른 인류학자들은 나머지 특징에 주목했습니다. 도구 제작 여부도 그중 하나입니다. 침팬지나 갓난아기보다 작은 두뇌로 과연 돌도구를 만들 수 있었을까 의심한 것입니다. 플로레스에서 나온 돌 도구는 200만 년 전 아프리카의 ... ...
- [긴급진단] Part1_ 일본에서는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주변에서 흐르는 하루 약 1000t의 지하수 중 약 400t은 원자로 건물 지하 등에 유입되고 나머지 600t 가운데 약300t은 고농도의 오염수와 섞여 취수구로 흘러들어 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언제부터 그런 상태가 됐는지는 밝히지 않았지만 2011년 3월 사고직후부터일 가능성이 크다. 그 ... ...
- 마지막 한 방울 까지 소중히 해야 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13억㎦를 넘는다. 이 가운데 4분의 3이 바다와 빙산, 빙하같은 빙원, 하천에 포함돼 있으며 나머지 물은 공기 속의 수증기나 땅 속의 지하수 형태로 존재한다. 바다의 물은 수증기로 변하고, 수증기가 모인 구름에서 비가 내려 지하수로 고이며 지하수는 다시 바다로 흘러가는 순환이 매일 자연스럽게 ... ...
- 요리 속에 과학이 쏙, 문화가 쏙쏙! 내 짝의 도시락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차이가 있다. 우리나라의 된장은 100% 메주로 만드는 반면, 중국장은 메주를 반만 넣고 나머지 반은 삶은 콩을 넣는다. 된장은 한국 사람만 먹는 게 아니라고?한국과 중국 말고도 된장처럼 발효시킨 콩을 먹는 나라는 많다. 네팔에는 키네마가 있고, 일본에는 미소와 낫토, 인도네시아에는 템페, ... ...
- 수학 모르면 괴물? 프랑켄슈타인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상태가 ‘1’이고 그 이웃이 모두 ‘0’이라면, 이 세포는 다음 단계에서 ‘1’이 된다.➍ 나머지 경우는 모두 다음 단계에서 ‘0’이 된다.이 네 가지 규칙대로 세포가 움직이고, 초기 값을 ‘010’으로 주면 오른쪽과 같은 모양의 세포가 자동으로 생긴다. 여기서는 일부분만 보여 준 것으로, 이런 ... ...
- 공룡의 아버지를 쓰러뜨린 시조새의 깃털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땅에 떨어질 것이다.그러나 하늘을 나는 동물 중 깃털을 이용하는 것은 오직 새뿐이다. 나머지는 모두 얇은 막을 이용한다. 과거 익룡이 그랬고, 지금은 박쥐와 날다람쥐가 그렇다. 인간이 만든 글라이더도 비슷하다. 새는 깃털이라는 탁월한 비행 구조를 개발하면서 하늘을 나는 최고의 동물이 된 ... ...
- 암호문의 끝판왕은?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알파벳을 여러 개의 알파벳으로 바꾸는 ‘다중치환암호’가 사용됐다.먼저 KRYPTOS를 쓰고 나머지 17개의 알파벳을 순서대로 적어 ‘기본 배열’을 만들었다. 그 뒤, PALIMPSEST이라는 단어를 1행부터 10행까지 가장 왼쪽 칸에 쓰고 1행은 P에서 시작하고 2행은 A에서 시작하는 기본 배열을 적었다. 그리고 1 ... ...
- 배터리 닳는 속도가 LTE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개다. 그런데 코어 8개의 성능이 다 같지가 않다. 8개 중 4개는 고성능의 1.6GHz 쿼드코어를, 나머지 4개는 저전력 1.2GHz 쿼드코어를 구성한다.만약 사용자가 구동하는 프로그램(앱)이 빠른 연산이 필요 없다면 자동으로 저전력 쿼드코어만 이용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새 CPU가 구 기종의 CPU보다 70%까지 ... ...
- 동물행동학 - ‘도둑들’의 김혜수 능가하는 앵무새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수컷 앵무새가 가장 먼저 아무런 도움을 받지 않고 2시간에 걸쳐 자물쇠를 풀어냈다. 나머지 앵무새는 피핀이 자물쇠를 푸는 것을 본 뒤 똑같이 따라해 자물쇠를 풀었다.아우어슈페르크 박사는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인간과 도구를 사용하는 침팬지만이 이런 자물쇠를 풀 수 있다”며 “피핀은 ... ...
- 수학으로 다시 태어난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수학동아 l2013년 08호
- 깃발을 세 개까지 조합해서 000부터 999까지 숫자를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숫자에 나머지 알파벳과 자주 사용하는 단어를 대응시키고, 이를 책으로 만들어서 신호를 보내거나 해독할 때 썼다. 깃발이 일종의 암호가 된 것이다.예를 들어 ‘영국’은 253이라는 수를 나타내는 깃발의 조합으로 ... ...
이전9091929394959697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