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음악
가곡
성악
뮤직
가요
가창
노랫가락
d라이브러리
"
노래
"(으)로 총 1,01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조류보호협회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찾아 나선다. 온 가족이 함께 자연의 품에 안겨 맑은 공기를 마시고 아름다운 새들의
노래
소리를 들으며 그동안 쌓인 피로를 말끔히 씻어내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이 모임은 회원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스스로 새를 찾아보며 자연을 즐기는 것만으로 그치지는 않는다. 그보다는 오히려 회원이 아닌 ... ...
달관측 효과적으로 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로마신화에서는 다이아나 또는 루나로 등장 한다. 동양에는 '이태백이 놀던 달'이란
노래
가 있을 정도로 많은 전설이 전해져 내려 왔다.맨눈으로 달을 보면, 달은 어두운 부분들과 밝은 부분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옛사람들은 이러한 형태들 속에서 여러가지 모습을 보았다. ... ...
생태계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은 프로도 하기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그러나 이들은 나비를 봄으로써 시를 읊고
노래
할 수 있는 자극을 받는 것에 더욱 기쁨을 느낀다고 한다. 나비는 비록 인간에게 직접 도움을 주는 곤충은 아니나 인간의 정감을 풍부하게 해주기 때문이다.사진을 좋아하는 사람 가운데도 생태계에 대해 훤히 ... ...
탐조활동은 자연보호운동이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놓고 서울시와 공방을 벌여 이긴 것을 들 수 있다.소음이 심한 도심에서도 온갖 새들의
노래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곳이 있다. 대한조류협회(회장 송순창·54) 사무실이 그곳이다. 그러나 이 사무실 안의 새들은 그저 마냥 즐거워서 지저귀고 있는 게 아니다. 총상을 입었거나 농약 등에 중독돼 신음중인 ... ...
우리 식물 5백가지를 바르게 안다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가운데 아카시아를 꼽는다. "동구밖 과수원길 아카시아꽃 활짝 폈네. 하얀꽃~"이라는
노래
말처럼 아카시나무가 아카시아로 굳어져 가는데, 진짜 아카시아는 노란꽃이 피는 호주산 관목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식물원에서도 보기 힘든 아주 딴 식물이라는 것.그는 또 잘못 불리고 있는 식물 이름으로 ... ...
몽골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흥겹게 지낸다. 몽골인은 술 마시면서
노래
부르기를 즐긴다.
노래
는 말(馬)과 관련된
노래
를 특히 좋아한다.우리와 공통점이 많은 나라울란바토르 북서쪽에는 몽골에서 가장 큰 라마교 절인 간단사가 있다. 라마교는 티베트 불교의 일파다. 칭기즈칸의 손자 쿠빌라이 칸은 라마교에 심취해 국교로 ... ...
디스크를 잘 관리하려면…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기록이 일시적인데 비해 자기적 기록은 영구적이라는 것이다.예를 들어 우리가 어떤
노래
를 녹음 테이프에 담아 두었다면 이 녹음 테이프에는 특별한 조작을 가하지 않는 한 계속 그 소리가 저장된다. 이것은 자석을 그대로 내버려두면 계속 자석으로서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과 관련이 있다. ... ...
낮과 밤의 리듬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초키아스마핵은 시각을 갖지는 않지만 빛의 강도에 반응한다. 동틀녘 이전의 새들의
노래
소리는 밤중 어두움에 조그마한 변화를 기록하고 이 정보를 초키아스마핵으로 보내는 망막세포에 의해 자극받아 불리게 되는지도 모른다.시간생물학을 연구하는 학자들은 환자가 여러가지 약을 하루중 어느 ... ...
21세기를 체험하며 배운다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모니터를 통해 딸과 대화하고 있고, 그 옆에는 로봇개가 앙증맞게 앉아서 생일 축하
노래
를 부르고 있다.컴퓨터를 두들기며 간단한 명령으로 무인 트랙터를 움직이며 온도와 습도센서를 채용한 스프링클러가 스스로 작동하는 장면은 미래 농업의 한단면을 연상케 한다. 수중에 세워진 각종 연구소와 ... ...
아름다운 꽃을 찾아 나비를 따라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인간에게 직접 도움을 주는 곤충은 아니다. 그러나 인간은 나비를 봄으로써 시를 읊고
노래
할 수 있는 자극을 받는다. 이렇게 인간의 정감을 풍부하게 해주는 나비가 예전보다 보기가 힘들어졌다. 자연의 섭리에 어긋나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기 때문이다.주교수는 나비들이 멸종위기에 놓여 있는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