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점"(으)로 총 8,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오늘날 생명과학은 DNA에서 시작해 DNA에서 끝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DNA를 토대로 생명의 비밀을 밝히고 DNA를 토대로 질병의 원인을 찾는다. 하지만 인간이 인간의 DNA를 해독하기 시작한 건 불과 40년 전이고, 모든 염기서열을 읽어낸 건 20년도 채 안 된다. DNA 해독 기술이 매우 빠르게 발전해왔 ... ...
- 섭섭박사에게 도전장이 날아왔다! 코딩로봇 ‘지니봇’으로 한 판 승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섭섭박사님께 볼링 대결을 신청합니다!”웬 로봇을 주며 섭섭박사님께 도전장을 던진 사람은 다름 아닌 지니로봇 이은승 대표. 그리하여 펼쳐진 지니봇 vs 지니봇의 한 판 승부! 메이커 달인 섭섭박사님과 지니봇의 개발자 이은승 대표의 대결, 과연 그 결말은? 지니봇, 네 정체가 뭐니?“ ...
- [2회] 데파더의 데이터 레시피수학동아 l2020년 09호
- 대단한 데이터 맛집이 정말 많쥬? 데이터만 있으면 어떤 요리도 만들 수 있어유. 게다가 요리는 달라도 기본적인 요리 도구와 순서는 크게 다르지 않아서 여러분도 요리법만 잘 익히면 누구나 데이터 요리사가 될 수 있어유. 데이터 조리 도구, 이건 꼭 필요해!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분석해서 새 ... ...
- [매스크래프트] #9. 부산의 광안대교 현수교의 곡선은 현수선일까,포물선일까?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얼마 전 제주도에서 서울로 돌아오는 비행기에서 창밖으로 끝없이 늘어진 긴 다리를 보았습니다. 반짝이는 불빛과 함께 기나긴 다리를 보며 다음 휴가 땐 야경이 유명한 부산의 광안대교를 가봐야겠다고 다짐했죠! 그런데 광안대교를 이루는 곡선은 어떤 함수의 그래프일까요? ※ 편집자 주LOL, ...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여자)아이들과 연산의 순서수학동아 l2020년 09호
- 2019년 방영한 아이돌 경연 프로그램 ‘퀸덤’에서 (여자)아이들의 ‘LION’을 마주한 피터팍은 머리가 쭈뼛 서는 느낌을 받았다. “이게 나라다! 전소연 국가 세워!”를 외치며 주위 사람들에게 이제 걸그룹은 (여자)아이들의 시대라고 말하고 다녔다. 그런데 괄호가 들어간 독특한 그룹명 때문에 ... ...
- 논란 많은 러시아 백신 집중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오늘 아침 세계에서 처음으로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백신을 등록했다. 그것은 상당히 효율적으로 기능하며 지속적인 면역을 형성한다.”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8월 11일 원격 내각회의에서 이같이 밝히며 러시아가 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해 공식 승인했다고 발표했다. ... ...
- 벌도 사회적 거리두기 한다? 슬기로운 벌집 생활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복슬복슬한 털, 토실토실한 몸통을 한 꿀벌은 꽃 위에서 춤을 추며 동료들에게 위치를 알리는 똑똑한 곤충으로 알려져 있다. 말벌과 달리 먼저 건드리지만 않으면 공격하지 않을 만큼 온순하다. 그냥 두면 자기들끼리 알아서 잘 살 궁리를 하는 생명체인 셈이다. 가을이 되면 꿀벌은 벌집 가득 꿀을 ... ...
- [헷갈린 과학] 산딸기 vs 복분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Q 엄마와 함께 책을 보다가 산딸기를 발견했어요. 그런데 엄마께서는 산딸기가 아니라 복분자라고 하셨죠. 산딸기랑 복분자, 어떻게 구분하나요? / 손진아 (wlsdk0801) 산딸기산딸기와 복분자는 둘 다 장미과 산딸기속에 속하지만, 엄연히 다른 종의 식물 열매다. 산딸기속에는 산딸기(Rubus ... ...
- [통합과학 교과서] 체스판이 어긋난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명탐정 꿀록과 개코 조수의 취미는 (놀랍게도) 두뇌 계발을 위한 체스! 사건 의뢰가 없는 날이면 체스나 보드게임을 하면서 시간을 보내죠. 오늘은 동화마을 배 체스 대회 중계가 있는 날. 중계를 보러 유튜브를 켜는 순간, 휴대폰이 울리기 시작했어요. 체스 대회 심판인 앨리스가 건 전화였죠.“ ... ...
- 기후변화 비밀 품은 북극의 사계절을 보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역대급 폭염, 역대급 폭설과 같은 이상기후 해설의 끝머리에는 항상 ‘북극’이 붙는다. 북극은 ‘지구의 기후조절자’로 불릴 만큼 전지구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북극의 사계절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과학자들은 인공위성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또 우리나라 쇄빙연구선 ... ...
이전9091929394959697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