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아리
독
병
오직
유일
포트
다만
d라이브러리
"
단지
"(으)로 총 2,066건 검색되었습니다.
왕초보자 위한 마라톤 훈련법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많은 유익함을 주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선호한다. 이처럼 매일같이 달리다 보면
단지
조거(jogger)가 아니라 러너(runner)로서 마라톤 42.195km 풀코스를 완주하고 싶은 충동을 느끼게 된다.우선 신체 능력부터 점검해야물론 자신의 신체적 능력이 마라톤을 시작할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하게 ... ...
태양계는 우리은하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따라서 문제(1)의 정답은 ○가 되겠다.문제(2)도 논란의 여지가 많다. 이 문제는
단지
은하수는 한여름과 한겨울 자정 무렵 머리 꼭대기인 천정에 떠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봄과 가을 깊은 밤에는 은하수가 높이 뜨지 않는다. 이는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구의 ... ...
잃어버린 기억을 몸에 새기다 메멘토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짐작하기 힘든 고통일 것이다. 그러나 정신분석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기억상실증이
단지
뇌 손상에 의한 기능 장애가 아니라 자신이 평소 회피하고 싶은 기억이나 정신적인 충격을 방어하기 위해 일부러 잊으려고 노력한 결과라고 본다. ‘방어와 회피’라는 역동적 목적이 있는 능동적인 과정의 ... ...
착한 머슴이 된 별 토사공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했다. 덩치 큰 머슴은 덩치 작은 일꾼을 얕보고 덤벼들었다. 그러다가 작은 일꾼에게
단지
손목만 잡혔는데도 큰 머슴은 손목을 빼낼 수가 없었다. 물대기 힘겨룸은 덩치 작은 일꾼의 일방적인 승리로 끝났다. 그래서 논에 물도 수월하게 댈 수 있었다. 결국 미뤄오던 모내기도 제때에 끝낼 수 있었다 ... ...
2 활용 : ① 반도체개발 춘추전국시대 제패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선을 그린다. AFM을 마치 가정에서 많이 쓰는 프린터처럼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단지
종이 대신에 반도체 같은 고체표면에 인쇄를 할 뿐이다. 기존 프린터의 해상도가 1천4백40DPI 정도인데, 나노펜을 이용한 프린터의 해상도는 2백만DPI에 이른다.실제로 나노펜 프린터을 이용해 금 표면에 문장을 ... ...
왜 물리학자는 암흑 속으로 파고들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아량을 베풀어도 양성자나 중성자 같은 보통 입자들(바리온이라고 부른다)이 우주밀도의
단지
5%만을 차지한다.우주는 아직 우리가 모르는 무언가로 가득 차있는 셈이다. 우주를 이루는 물질의 기본입자인 쿼크를 밝힌 현대 물리학이 아직 우주의 대부분 질량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 ...
갈증에만 의존해 물 마시면 위험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않고 1시간 이내로 달리는 운동에서는 보통의 물과 스포츠음료의 효과 차이는 별로 없다.
단지
물에는 칼로리가 없을 뿐이다. 오히려 칼로리가 없는 물이 더 좋을 수 있다. 체중을 줄이려고 운동을 하는데 땀을 많이 흘리지 않은 상태라면 굳이 1백mL당 약 20-30kcal나 되는 스포츠음료를 많이 마실 ... ...
지금은 새로운 멸종 시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이 멸종의 굴레는 언젠가 우리 인류에게도 닥쳐올 것이다.
단지
인류의 멸망을 걱정하는 차원이 아니라, 현재 지구상에 살고 있는 모든 생물들도 우리와 똑같이 지구의 구성원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생물을 사랑하고, 그들과 함께 사는 방법을 찾기 위해서 노력해야 한다 ... ...
1 탄생 : 원자 주무르는 초소형 로봇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뿐이다. 그렇다면 전자현미경이 결코 모방할 수 없는 기능은 무엇일까.전자현미경은
단지
표면의 2차원 영상을 보여준다. 하지만 SPM은 탐침을 위와 아래, 앞과 뒤, 그리고 양옆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한번에 물체 표면의 3차원 정보를 알 수 있다. 또한 전자현미경의 경우 전자빔이 시료까지 ... ...
3 교육 : 차세대 나노주자 위한 소우주 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이 영상을 간직할 수 있도록 사진으로 인화해간다.하지만 아쉽게도 이 행사에서는
단지
생물학에서 사용하는 하나의 도구로 전자현미경을 강조한다. 그러나 어디에서도 전자현미경을 체험해볼 수 없기에 참여한 학생들은 소중한 경험으로 기억할 것이다.이 외에도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소가 올해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