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든것"(으)로 총 10,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글꼴에 세상을 담는 사람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글자의 선 하나하나에 세상 만물을 담는 사람들이 있다. ‘ㅎ’의 꼭지에는 장대한 하늘을, 양쪽 사선으로 곧게 뻗은 ‘ㅅ’에는 젊은이의 역동성을, ‘ㅏ’의 삐침엔 조선 말기 황제의 마음을 담는 식이다. 글꼴에 세상을 표현하고, 다시 세상에 글꼴을 내보내기까지의 과정을 세 명의 글꼴 개발자 ... ...
- 누리호 발사 카운트다운, 숨겨진 공로자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온전히 국내 기술로 만들어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10월 21일 상공을 가른다. 누리호가 무사히 발사되려면 3단으로 구성된 액체엔진과 발사대, 지상고정장치 등 수십 개의 시스템이 한 몸처럼 작동해야 한다. 한 치의 오차는 발사 실패나 폭발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 ...
- [과동프렌즈] 꿈을 찾는 새로운 시작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공부할수록 아직 이 세상에는 제가 모르는 지식과 분야가 많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지금은 다양한 경험을 하며 ‘내 가슴을 뛰게 하는 일은 무엇인가’를 알아가는 단계라고 생각해요.”양준혁(서울과학고 1학년) 군은 어린 시절을 회상하면 가족과 함께 산과 바다를 여행하며 자연을 관찰하던 ... ...
- [기획] 스케이트 보딩, 에너지를 창조하라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스케이트 보딩은 남녀 각각 스트리트와 파크를 치르며, 총 4개의 금메달이 걸려 있었습니다. 남자 스트리트의 호리고메 유토(22)를 제외하고 여자 스트리트의 니시야 모미지(13), 여자 파크의 요소즈미 사쿠라(19), 남자 파크의 키건 팔머(18) 등 이 종목을 석권한 금메달리스트 중 3명이 10대였습니다. ... ...
- [매스크래프트] #21. 에펠탑과 도쿄 타워는 닮은 도형?수학동아 l2021년 09호
- 2020 도쿄올림픽이 막을 내렸습니다. 코로나19로 이전 올림픽만큼 관심을 끌진 못했지만 한국 선수들의 열정은 그 어느 때보다도 뜨거웠습니다. 시원하게 10점을 쏘아댄 양궁부터 투혼으로 불태운 배구까지! 오늘은 도쿄올림픽을 추억하며 도쿄의 명소인 도쿄 타워를 만들어보겠습니다. ※ 편집자 ... ...
- [한페이지 뉴스] 돌도 씹어먹는 10대를 앞서는 건생후 12개월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인생에서 신진대사의 정점은 생각보다 훨씬 빨리 온다는 연구결과가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8월 12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126/science.abe5017미국 듀크대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생후 8일부터 95세 까지 6421명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에서 소모하는 평균 칼로리를 분석하는 대규모 연구를 했다. 기존에도 ... ...
- 플라스틱과의 공존을 꿈꾸는 젊은 기업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서동은 리플라 대표 │재활용 공장 사람들이 행복했으면 좋겠다는 꿈 ▲서동은 리플라 대표(왼쪽 7번째)는 고등학교 3학년 때부터 6년째 플라스틱 폐기물의 순도를 높이는 연구를 하고 있다. “여길 정말 보여드리고 싶었어요.”8월 5일 오후, 경기 수원 영통구의 연구실에서 서동은 리플라 대표 ... ...
- 서울 땅 3m 아래 조선의 금속 유물과 만나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원장님, 서울 공평동 현장에서 총통 여러 점이 발견됐습니다!”지난 6월 1일, 느지막한 오후에 전화 한 통이 울렸다. ‘국보급 발견’의 시작이었다. 총통은 시작에 불과했다. 총통 아래에선 다양한 모양의 금속 유물들이 나왔고, 금속 유물 옆에 붙어 있던 도기 항아리의 파편이 툭 떨어지며 작은 ... ...
- 인간다움을 위한 선택, 망각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망각은 주로 불편한 일로 묘사된다. 수험생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소중한 사람과의 기억을 없애는 훼방꾼으로 여겨진다. 인공지능에서의 망각은 성능을 떨어뜨리는 치명적인 오류가 되기도 한다.하지만 망각 없이 모든 것을 기억해야 하는 세상은 어떨까. 과거의 잘못이나 치욕스러운 기억을 평생 ... ...
- 윤리에 눈 뜬 AI, 망각에 손 내밀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인류는 조물주가 되기로 결심했고, 자신들을 닮은 인공지능(AI)을 만들어냈다. 그렇게 탄생한 AI는 인간의 전유물로 여겨지던 지능을 선물 받았고, 마치 인간처럼 생각하고 판단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AI는 우리가 의도한 범위를 넘어선 영역에서까지 인간을 닮아갔다. 바로 망각이다. 한때 AI의 망 ... ...
이전9091929394959697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