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체"(으)로 총 3,31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현미경, 혹은 어떤 다른 관측 도구로 볼 수 있는 실제 공간이 아니다. 양자역학에서는 물체의 위치와 속도를 함께 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둘 중 하나를 택해 운동을 기술한다. 양자 홀 효과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자의 운동을 ‘속도 공간’에서 이해하는 것이 좋다. 물리학 용어로는 속도 ... ...
- [Career] “세계의 바다를 가를 무인선박을 개발합니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그대로 어뢰를 공기방울로 감싸 물과의 마찰을 줄이는 연구입니다. 물속에서 움직이는 물체에는 속도의 제곱에 비례해서 마찰력이 작용합니다. 그래서 속도를 높이는 데 한계가 있죠. 공기방울은 마찰력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김다민 어떤 식으로 마찰을 줄여줄 수 있나요?김낙완 물과 접촉하는 ... ...
- [과학뉴스] 알아서 척척~ 학습하는 손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움직임을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거지요.실제로 손 로봇은 사람 손처럼 움직여 손 안의 물체를 돌리는 데 성공했답니다. 쿠마르 박사는 “로봇이 스스로 손을 다루는 법을 학습하면 더 다양한 동작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어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 과학 집단의 경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자석에 붙이면 양극 쪽에 가장 많이 달라붙어요. 재미있는 점은 자석은 떨어져 있는 물체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거예요. 이렇게 자석이 영향을 미치는 공간을 ‘자기장’이라고 하지요.자석의 자기장자기장은 좌우, 위아래 모든 방향으로 생긴다. 자기장 안으로 들어온 쇠붙이는 자성이 한 방향으로 ... ...
- [포커스 뉴스] 4세대 방사광가속기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세대에 서는 한 파장의 빛을 강력하게 내뿜어 좀 더 정밀하다. 약 2μm(100만분의 1m) 크기의 물체를 구분해낼 수 있다. 사람 머리카락 굵기의 40분의 1 수준이다.4세대 방사광가속기에서 나오는 빛은 바로 이전의 3세대보다도 1억 배나 밝고, 햇빛보다도 100경 배 밝다. 파장의 폭도 짧아서 나노미터 단위(10 ... ...
- Part 4. 동물의 삶이 궁금해? 직접 살아 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독특한 분야를 개척(?)했다. 연구 결과, 실제로 몸의 방향이 바뀌면 사람이 인식하는 물체의 크기와 거리가 변했다(시각연구, 2006, 46(23), 3961-76).물리학상동물들이 어떤 색상을 선호하는지 연구한 헝가리,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연구진에게 돌아갔다. 헝가리 에오츠보스대 물리학연구소 ... ...
-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때 그 물체를 중력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 올리려는 힘을 말한다. 이 때 부력의 크기는 물체의 부피에 해당하는 물의 무게에 해당한다. 즉, 고래는 자기 몸집에 비례하는만큼 위로 떠오르는 힘을 받는다는 뜻이다. 만약 흰긴수염고래를 물속에서 끌어내면 허파를 비롯해 몸 속 장기가 자기 몸무게에 ... ...
- [Tech & Fun] 로봇 의수의 혁신 ‘아이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가벼운 물체를 잡을 때는 너무 강하지 않게 적당한 선에서 멈추고, 가방 같이 무거운 물체를 잡을 땐 강하게 잡아 준다. 보통 전자의수를 달고 있는 사람이 악수를 청하면 손가락 뼈가 으스러질까 봐 걱정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런 일은 없을 것이다.2008년, 터치바이오닉스는 미국 회사 ... ...
- [Tech & Fun] 과학은 네트워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결과라는 예는 수없이 많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이자 기술자였던 헤론은 증기로 물체를 움직이는 기계를 발명했다. 혹자는 그가 더 운이 좋았다면 증기기관을 발명해 산업혁명을 이끌었을 수도 있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 시대에는 중요한 네트워크가 하나 빠져 있었다. 증기기관에 필요한 정밀한 ...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계획이다.뇌 주름을 모방하는 과학자도 있다. 뇌 주름의 물리학을 응용하면 커다란 물체를 작게 압축하거나, 반대로 납작한 것을 크게 부풀릴 수 있다. 또는 표면적을 넓혀 기존보다 효율적으로 물질이나 전기신호를 주고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약물을 전달하는 시스템이나 반도체 소자, ... ...
이전9091929394959697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