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과민
섬세
민감도
sensitive
센서티브
쎈서티브
쎈시티브
d라이브러리
"
민감
"(으)로 총 1,180건 검색되었습니다.
3. 생물학 교과서 다시 써야 심해생물 1천만종 넘는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데 중요한 암시를 제공한다고 말하고 있다."종의 다양성은 지구의 변화를 알려주는 가장
민감
한 지표 가운데 하나다. 다양성을 갖고 있으면서 우림이나 산호초와 같이 사라지고 있는 지역들은 지금 당장 연구할 필요가 있다. 현재 심해가 얼마나 위협받고 있는지 모를 일이며, 언젠가는 큰 변화가 ... ...
치아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있던 치아가 스케일링으로 치석이 제거되자 찬물이나 찬바람 같은 외부 자극을 더욱
민감
하게 느낄 뿐이다.이는 때가 많던 사람이 오랜만에 밀린 때를 벗기고 나면 피부가 일시적으로 외부자극에 저항력이 약해지는 것과 같은 현상이다. 그렇다고 때를 많이 묻혀서 피부를 보호할 수 없다. ... ...
사라진 황새 천수만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넓은 지역에서 황새 4마리를 발견하기 위해서는 운이 따라야 한다. 더구나 황새는 무척
민감
해서 주위에 인기척이 느껴지면 금새 날아가버린다. "황새꿈을 꿨다"는 이강운단장의 말에 희망을 걸 수 밖에 없었다.탐사팀은 4인승 자동차와 버스로 나눠 관찰을 시작했다. 오전 탐사지는 간월호(A지구). 차 ... ...
피부 인생의 계급장, 주름은 왜 생기나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입술을 보호한다.홍순에는 혈관이 많고 신경망이 잘 분포하고 있어 붉게 보이고 감각에
민감
하다. 입술에 털이 나지 않고 아무리 더워도 땀이 나지 않는 이유는 홍순에 모낭과 땀샘이 없기 때문이다. 기름샘의 분포도 불규칙해 겨울철에는 트기 쉽다.손바닥이나 발바닥은 각질층이 두텁고 치밀해 ... ...
4. 눈없이 보는 능력 초시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초대, 모스크바의 저명한 과학자들 앞에서 실험을 했다.과학자들은 그녀가 대단히
민감
한 피부감각을 가지고 있어 ‘손가락으로 본다’는 결론을 내렸다. 신문마다 이 결론을 대서특필로 다뤘고 그녀는 순식간에 저명인사가 됐다.심리학자 노보메이스키는 곧바로 흥미로운 새로운 연구에 몰입했다. ... ...
5백만의 인포테이너 삐삐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무선호출기도 반도체 칩을 사용하기 때문에 습기에 매우 약하다. 또한 충격에도
민감
하다. 화가 난다고 해서 물 속에 집어던진다거나 밟아버리면 새로 구입하거나 서비스센터에 가야 하므로 조심해서 사용하기 바란다 ... ...
3 노트북, 가격은 떨어지고 기능은 고급화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삼성전자나 LG전자 등에 불과하다.노트북은 특성상 CPU나 램 등의 부품 가격변화에 그다지
민감
하지 못한 상품이다. 데스크톱이나 조립PC의 경우와 다르게 노트북은 대부분 완제품으로 수입되기 때문에 부품이나 주변기기의 가격변화가 노트북의 가격 변동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또한 ... ...
6 MSN 출현, 전세계 PC통신업계 긴장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이같은 계획을 발표하자 기존PC통신업체들이 일제히 이용 요금을 내리는 등
민감
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외형상 MSN은 컴퓨서브나 프로디지 등 기존 컴퓨터통신망과 크게 다르지는 않지만 윈도95 구입자 모두를 잠재 고객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세계 최대의 컴퓨터통신망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 ... ...
1 촉감-인체 최대의 감각기관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수동적 접촉과 능동적 접촉의 두가지가 있다. 수동적 접촉보다 능동적 접촉에서 더울
민감
하며 0.01mm 두께를 인식할 수 있다. 능동적인 접촉에서는 보다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형상도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 접촉 후의 감각은 수동적인 접촉의 경우가 훨씬 오래가기 때문에 ... ...
3 색채-인간은 1천만가지 색을 인식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색, 버터는 노란색의 포장을 사용한다.우리가 느끼는 색채나 명암은 주변 환경에 따라
민감
하게 변화되며 색채 현상은 눈의 생리심리적 특성에 기인한다. 흔히 노인들이 화려하고 밝은 색상의 옷을 선호하는 것에 대해 나이들면 젊어지고 싶어 밝은 색을 좋아하게 되는 노인 심리 때문이라고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