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장
발전
발육
진보
진화
향상
생장
d라이브러리
"
발달
"(으)로 총 3,776건 검색되었습니다.
용감한 호랑이의 비결은 소화 유전자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호랑이는 단백질을 소화하는 유전자와 냄새를 맡는 유전자, 근육을
발달
시키는 유전자가
발달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극단적인 육식 습관과 사냥 습성이 유전자에서도 나타난 것이다. 한편 종의 안정적인 번식에 중요한 유전자의 다양성은 인공교배를 하는 백호보다도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호랑이가 ... ...
너를 위한 이야기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개인으로서의 개체성을 지키기 위해 이를 포기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문명을
발달
시켰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당신을 위한 이야기입니다.이 자료는 왜 들어와 있는 거지? 아무리 감별이 내 일이라지만, 이 정도는 자네 선에서 처리했어야지. 말도 안 되는 소리야. 생각해 보게. 이 여자 ... ...
인류탄생 - 난쟁이 인류, ‘호빗’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임신 3개월 이후의
발달
장애에는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뼈의 형태를 보면
발달
장애 여부와 상관없이 화석의 주인공이 인간인지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연구 결과, 플로레스인의 손목 뼈는 도구를 만들기 시작한 플라이오세(530만~260만 년 전)의 초기 인류와 비슷하다는 사실이 ... ...
내 생애 마지막 휴대폰 - 폰관리 피부관리보다 힘들다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지문방지 기능과 광택이 동시에 해결하기 힘든 목표인 건 맞지만 후가공처리 기술의
발달
로 대부분의 제조사가 예전에 비해 광택은 유지하면서도 상대적으로 지문이 덜 묻는 휴대전화 표면을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투명 차양의 재료”라고 설명했다. 금속과 차별화된 장점도 있다. 한흥남 ... ...
달토끼가 알아본 2020 대한민국 달탐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0호
탐사에 성공한 나라는 우주 기술이
발달
했다는 평가를 받았어요. 하지만 로봇 기술이
발달
한 지금은 유인 탐사의 필요성이거의 사라졌어요. 우주에서 사람 없이도 로봇으로 할 수 있는 일이 많아졌기 때문이죠. 그래서 요즘엔 반드시 사람이 해야 하는 임무가 없다면 대부분 무인우주선으로 ... ...
[독자탐방] 똑똑한 길을 만드는 교통신호체계의 비밀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지금처럼 도로교통 체계가 잘 정비되고 원활해진 것 같다. 앞으로 도로교통사업이 더
발달
하기를 기대해 본다.김선희 기자의 첨삭 포인트두 기자 모두 취재한 내용을 잘 정리했어요. 전도윤 기자는 취재 현장에서 순간순간 느낀 점을 적어서 생동감 넘치는 기사가 되었어요. 권도연 기자는 구체적인 ... ...
[해외취재] 융합수학의 달인들이 모였다!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유치한 이유는 이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싶어서다.엔스헤더는 원래 섬유산업이
발달
한 지역이었다. 하지만 값싸게 옷을 만들 수 있는 중국과 동남아시아 지역으로 공장이 이동하면서 도시가 침체에 빠졌다. 게다가 엎친 데 덮친 격으로 2000년에는 도시에 큰 불이 나서 23명이 목숨을 잃고 94 ... ...
요리 속에 과학이 쏙, 문화가 쏙쏙! 내 짝의 도시락을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러시아에도 김치찌개가 있다러시아에는 염장처럼 음식을 오랫동안 저장하는 방법이
발달
했다. 춥고 긴 겨울을 나기 위해 이런 저장 방법은 꼭 필요했던 것이다. 러시아 김치찌개인 보르쉬도 생채소를 오랫동안 보관하기 위해 생채소를 식초에 절인 것을 끓인 음식이다. 보통 사워크림을 뿌려 ... ...
Part 3. 신세계 : 뇌 너머의 뇌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뇌 부위를 자극한다. 아주 정밀한 뇌 기능 조절은 어렵다는 뜻이다. 만약 뇌지도가
발달
한다면 뇌 활동을 현재보다 더욱 정밀하게 관찰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 그에 맞춰 더욱 정밀한 자극을 줄 수 있는 미세 뇌자극장치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뇌공학자와 뇌과학자들은 그 시대가 곧 올 것이라 ... ...
[hot science] 동물이 보는 세상, 들쥐 소변이 형광색으로 빛나네?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벌과 나비는 곤충계의 ‘장인’이다.어두운 바다속 밝혀주는 ‘반사판ʼ바다는 시각이
발달
하기에 제약이 너무 많은 환경이다. 가시광선이 닿는 깊이는 수심 200m가 한계다. 게다가 파란 빛만 이 깊이까지 침투할 수 있어서 해양생물의 원추세포는 파란색(525nm)에만 반응한다. 따라서 물고기는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