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복
2배
두배크기
배가
d라이브러리
"
이중
"(으)로 총 1,762건 검색되었습니다.
색맹 병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검사지만 검사나 결과분석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이를 간략하게 만든
이중
15휴검사(Double-15 hue test)는 15개의 색폐를 이용하기 때문에 좀더 빠르게 검사할 수는 있으나 100휴검사에 비해 정확도가 떨어진다.그외 1907년 처음 고안된 아노말로스코프(anom-aloscope)법은 렌즈를 통해 피검자가 ... ...
제임스 왓슨의
이중
나선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세상을 떠났고 이로 인해 노벨상 후보에서 제외됐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
이중
나선’에서 왓슨은 프랭클린을 고집불통이고 비사교적인 성격불량자로 그리고 있다. 그러나 그 후 왓슨은 책 ‘후기’에서 프랭클린에 대한 자신의 선입견이 적절치 못했다고 말하면서 여성과학자로서의 과학에 ... ...
생명의 기원은 바다가 아닌 대기?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또한번 2차 코팅돼 살아있는 세포의 막과 같은
이중
층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
이중
층은 그동안 설명하기 어려웠던 박테리아의 중요한 특성”이라고 턱은 말했다. 이 물방울의 크기는 0.1-5μm(1μm=${10}^{-6}m)로 박테리아 크기와 같다. 이보다 작으면 합쳐지고 크면 바다로 떨어지기 때문.물론 반론이 ... ...
투명음료 광고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발표한 '음료의 안정성 실태조사'에 따르면,조사대상 42종 음료의 ph분포는 2.4-6.2이다.
이중
90.5%가 pH 5.5 미만이며 평균적으로는 pH 3.5다.종류별로 pH가 가장 낮은 것은 콜라류이고,가장 높은 것은 식혜음료다.놀라운 점은 알카리성 음료라고 선전하는 스포츠음료의 pH가 3.0으로 비교적 강한 산성이라는 ... ...
현상공모 유전자 개수를 맞춰라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함께 DNA
이중
나선 구조를 밝혀 노벨상을 수상한 제임스 왓슨의 사인이 들어있는 ‘
이중
나선’이라는 책을 받는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람 유전자 개수는 8만-10만개로 추산되고 있지만 참석자들이 제시한 수는 3만에서 15만에 이르기까지 다양했다. 인간 유전자가 예상보다 훨씬 적다는 주장은 ... ...
1. 인간 유전자는 몇개인가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종류를 이용해 유전자 수를 추산했다. 에서 회색 나선은 전체 유전자를 의미한다.
이중
붉은 나선으로 표시된 첫째 세트(n1)는 해독이 완료된 21번 또는 22번 염색체의 유전자나 그 외 지금까지 밝혀진 완전한 유전자 구조를 가진 ‘전장 cDNA’(full-length cDNA)들이다. 이에 반해 녹색 나선으로 ... ...
티코 브라헤와 초신성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페르세우스가 잡고 있는 메두사의 머리를 나타내는 베타(β)별 알골이 있다.알골은 사실
이중
성이며 두 별이 서로를 가려 밝기가 변하는 식변광성이다.2일 21시간마다 2.1등급에서 3.4등급으로 밝기가 뚝 떨어진다.7월에는 자정이 지난 후 북동쪼에서 떠오르는 페르세우스 자리를 볼 수 있다.먼저 ... ...
사이버공간의 또 다른 나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반칙왕’은 주인공의
이중
적 삶을 보여준다. 임대호라는 주인공은 소심하고 무능력한 은행원이다. 그러나 밤이면 타이거 마스크를 쓴 거칠고 격한 레슬러로 변신한다. 주인공이 사는 낮과 밤의 세계는 다르다. 현실과 사이버세계를 오가는 삶은 ‘반칙왕’의 임대호의 삶과 비슷하다. 낮에는 ... ...
만약 이산화탄소가 물에 녹지 않는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그렇지만 외계에 생명체가 있다고 해도 탄소 대신 실리콘을 사용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
이중
결합을 만들지 못하는 실리콘은 이산화탄소같이 적당히 물에 녹는 기체 이산화실리콘을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탄소는 생명을 이루어 가는데 적합하도록 기막히게 고안돼 있는 듯하다.한편 실리콘은 ... ...
보현산의 맥가이버들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태양천문학자들은 태양을 감시하는 초병이면서, 평소에는 태양의 물리현상을 연구하는
이중
적인 일을 수행한다. 특이한 관측데이터를 검출하면 컴퓨터가 즉시 경보음을 울려주므로 연구원들은 자신의 일상연구에 몰두하고 있다가도 즉시 달려와 데이터의 변화를 살필 수 있다. 컴퓨터는 인터넷을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