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절"(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음주 기자 친구의 술 체질 허와 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관련된 유전자도 술버릇을 결정해. 알코올 의존증은 대뇌보상회로와 충동조절회로의 작용으로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어.예를 들어, 중독 물질이 들어와 보상회로에 작용하면 즐거움이 생기고 ‘긍정적 재강화’를 일으켜 계속 중독물질을 찾게 한다는 거지. 알코올은 긍정적 재강화 물질이야. ...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과학동아 l2016년 03호
- 그 힘으로 새로 다시 우주를 시작시키자는 것뿐이다. 그게 내 결론이었다. 우리가 잘 조절한다면, 새로 시작되는 우주는 빛의 속도가 더 빠른 우주로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다. 광속이 더 빠르고, 물질이 조밀할 수 있는 정도는 더 세세하다면 그 새로 생긴 우주에서는 언젠가는, 우리보다 더 큰 ... ...
- [과학뉴스] 아침형 인간의 타고난 유전자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발견됐다. 렘수면과 관련된 유전자(VIP), 수면발전과 연관된 유전자(HCRTR2), 생체주기를 조절하는 유전자(FBXL3) 등에서 동일한 유전서열이 발견된 것이다.허 연구원은 “개인의 행동이나 주변 환경에 따라 생체리듬 유전자가 어떻게 발현되는지 살펴볼 수 있을 것”이라며 “생활유형에 따라 다르게 ... ...
- [Knowledge] 러닝 머신에 올라간 동물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수도 있다는 뜻이다.사냥꾼이 설쳐 대면, 호숫가 오리는 살을 뺀다어떤 동물은 식사량을 조절해 살을 찌우거나 빼기도 한다. 목적은 사람과 좀 다르다. 동물들은 살아남기 위해 체중을 바꾼다. 예를 들어, 다양한 명금류는 겨울을 잘 나기 위해 살을 찌우지만, 아주 많이는 아니다. 포식자를 피해 빨리 ... ...
- [소프트웨어] 팜! 나만의 해피농장수학동아 l2016년 03호
- 같이 그릴 수 있습니다. 게임을 하는 우리는 본능적으로 낚싯줄의 방향과 길이를 조절해 물고기를 잡지만, 소프트웨어에서는 수많은 계산이 이뤄지고 있는 셈입니다.시각+청각+촉각=현실감 있는 농장 한 가지 더 재미있는 점은 낫으로 농작물을 베거나 물고기를 낚을 때, 실제처럼 휘리릭 소리가 ... ...
- 만약에~ 공룡이 멸종 하지 않았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낮지만 당시 평균 기온인 26℃보다는 높았지요.즉, 공룡은 자신의 힘으로 체온을 높이고 조절할 수 있었어요. 과학자들은 공룡이 항온동물과 변온동물의 중간단계인 ‘중온동물’이라고 생각한답니다. 하지만 공룡의 깃털은 얼음으로 덮인 지역까지 견디기는 힘들었을 거예요. 반면 상대적으로 ... ...
- [Knowledge] 과학으로 밝힌 ‘슈퍼푸드’ 커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91-904). 카페인이 단기적으로 혈압을 높이는 것은 맞지만, 장기적으로는 우리 몸이 충분히 조절할 수 있는 수준이고, 알려지지 않은 커피의 다른 장점들이 심혈관계를 보호한 것이다.커피, 건강하게 맛있게 즐기는 법정리해 보자. 몇몇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적당한 커피는 활력을 돋우고 각종 ... ...
- [News & Issue] 자연닮은 생체모방무예, 쿵후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앞발로 상대를 잡거나 강하게 후려치는데, 정확성 또한 상당히 높습니다. 인대의 길이를 조절해 발톱을 넣었다 뺏다 하면서 중요한 무기로 사용하기도 하죠.그래서 호랑이는 팔 공격을 중시하는 홍가권에 제격입니다. 오형권 중 호권 역시 팔로 목을 중심으로 한 상체를 가격합니다. 특히 호랑이가 ... ...
- [Knowledge] 강철이 연료가 되는 세상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이용해 양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금속 연료는 분말 특유의 응집 현상 때문에 양 조절이 쉽지 않다. 마치 밀가루나 설탕 가루를 오래 두면 뭉치는 것과 비슷하다.2005년 미국 오크리지 국립연구소의 ‘철로 달리는 자동차’ 개발 계획은 이런 도전과 실패의 상징이다. 당시 연구소는 휘발유 ... ...
- [Tech & Fun] 썸의 결정적 한 방 그날의 분위기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지속적으로 비춘 시간에 따라 세로토닌의 분비량이 변했다. 세로토닌은 뇌에서 기분을 조절하는 물질로, 분비량이 적으면 우울한 감정을 느낄 수 있다. 논문에 따르면 여름이 겨울보다 약 2배 가량 일조량이 많고, 뇌에서 생성하는 세로토닌 양은 약 7배나 많았다. 일조량이 적으면 쉽게 피곤해질 ... ...
이전9091929394959697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