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일러 프로젝트]앞뒤가 똑같은 대칭수~못 만드는 ‘라이크렐 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3호
- 계산했지만 196은 대칭수가 되지 않았다. 현재 학자들은 196을 대칭수가 되지 않는 최초의 수이자 가장 작은 수로 추정하고 있다. 이번 문제에서는 196을 포함해 대칭수를 찾는 계산을 50번 미만 반복했을 때 대칭수가 나오지 않는 수들을 모두 라이크렐 수로 가정하고 문제를 풀기로 한다. 이제 시작해 ... ...
- [SW 진로체험] 정보보안 이끄는 튜링의 후예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수학자 앨런 튜링은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컴퓨터의 개념을 세계 최초로 생각해내고 디지털 정보 보안 시대를 열었다. 이런 의미에서 현대 정보 보안 기술 전문가들은 튜링의 후예라고 할 수 있다. 수학을 전공한 21세기의 튜링을 만나기 위해 삼성SDS를 찾았다. ●SW와 보안 기술 연구 삼성은 ... ...
- 화면만 터치, 디스플레이 지문인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중국의 스마트폰 제조사 비보(VIVO)가 2017년 6월 상하이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에서 최초로 초음파식 지문인식 센서를 디스플레이에 넣은 스마트폰 모델 ‘X플레이6’을 선보였다. 반년 뒤인 2018년 1월, 비보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18’을 통해 광학식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버려졌던 이론의 재탄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미 해군 전자연구소의 해양학자 로버트 디에츠에 의해 1961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최초로 공식 발표됐고, 해저확장설이라는 이름을 얻었습니다. 사실 맨틀의 대류로 대륙이 이동해간다는 구상 자체는 이보다 앞서 영국의 지질학자 아서 홈즈 등에 의해 제안된 바 있지만, 오늘날 헤스 교수를 ... ...
- 수학으로 흔들어봐! 매스댄스수학동아 l2019년 03호
- 네 분야 중 하나로 지원 가능한데, 수학은 물리학 분야로 지원할 수 있다.2017년 대회 최초로 쟁쟁한 경쟁을 뚫고 수학과 대학원생이 물리학 및 전체 분야의 우승을 차지했다. 주인공은 미국 캘리포니아 샌타바버라대학교 수학과에서 저차원 위상수학을 연구하는 낸시 쉐리치다. 어린 시절 뮤지컬 ... ...
-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받고 듀폰연구소에서 프레온가스 개발에 참여해 공동개발자로 명성을 얻었다. 최초의 엔지니어로 부를만한 오하이오주립대 출신의 이병두(세라믹공학)는 인공 치아 연구로 여러 특허를 취득해 경제적으로도 상당한 성공을 거뒀다. 잊혀진 일제강점기 과학역사 발굴해야당시 조선에서는 자신의 ... ...
- [융복합@파트너@DGIST]정보통신융합전공과학동아 l2019년 03호
- CPS·Cyber-Physical Systems)’이라는 분야가 처음 등장했다. DGIST는 2014년 국내 최초로 ‘고신뢰CPS연구센터’를 개설하고 외부의 악의적 공격이나 내부에 오류가 발생했을 때 빠르게 자율 복원할 수 있는 기술을 서울대, KA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등과 공동으로 연구하고 있다.박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 ...
- 통계로 보는 방탄소년단의 피 땀 눈물수학동아 l2019년 03호
- 뮤직 어워드에 모두 초청받으며 BTS는 글로벌 가수로서의 면모를 공고히 했다. 한국인 최초의 빌보드 200 차트 1위, 빌보드에서 컴백한 첫번째 아시아 가수, 한 달간 트위터에서 가장 많이 리트윗된 가수 1위…. 이제 ‘1’은 BTS를 설명하기에 가장 편리하고 쉬운 숫자가 됐다. BTS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 ...
- [2019 태국탐사대 특명] 숨겨진 보물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카오쌈 러이욧 국립공원은 태국어로 300개의 봉우리라는 뜻으로, 1966년에 태국 최초로 해양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곳이다. 여기서 특히 빼놓을 수 없는 곳이 바로 프라야 나콘 동굴과 그곳에 있는 크하카르핫트 정자다. 하늘로 뚫린 수직동굴 가운데 정자가 하나 있는데, 햇빛이 정자에 내리쬐는 ... ...
- 스티븐 호킹 서거 1주년, 먼지가 된 호킹과의 대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프록시마 b로 탐사선을 보낼 수 있을 지도 모릅니다. Q. 지금으로부터 50년 전 인류가 최초로 달에 착륙했지만, 화성 유인 탐사는 그리 쉬워 보이지 않습니다. 화성에 가기 위해서는 달에 기지를 짓는 것이 우선일수도 있고요. 언제쯤 인류가 달이 아닌 다른 천체에 발을 내딛을까요.제가 예상하기론 ... ...
이전9091929394959697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