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리받이
틀
판
모형
틀거
바퀴
외륜
d라이브러리
"
테
"(으)로 총 1,286건 검색되었습니다.
오존 구멍 회복이 늦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의 일부분이 달 주변에서 벗어나는 순간 밝은 광구가 채층(彩層)과 내부 코로나의 둥근
테
에서 번쩍거려 다이아몬드처럼 보이는 현상 끝에 다이아몬드가 박힌 케이싱(casing ; 파이프)으로 지하의 암석을 뚫고 케이싱 속에서 암석의 시료를 채취하여 조사하는 방법 다이아몬드 비트를 사용하는 회전식 ... ...
국산 기술로 얼음 바다 가르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공간도 확보하고 있다. 25t급 크레인과 10m급의 동력바지선을 탑재해 언제 어디서든지 컨
테
이너 하역이 용이하다. 현장에서 활동이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지원하기 위해 7m급 작업정도 구비하고 있다.국내 5대 조선업체 가운데 하나인 ‘STX조선’에서 수행 중인 쇄빙선 설계가 최종 완료되는 시기는 올 ... ...
닭이 가니 개가 오네~! 십이지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4호
며칠 남지 않았는데, 새해 맞을 준비들은 잘 하고 있나요? 모두들 새해에 대한 기대가 클
테
지만, 왠지 내년에 열세 살이 되는 친구들은 그 기대가 더 클 것 같아요. 왜냐구요? 내년이 바로 개의 해기 때문이죠. (^_^)태어난 해에 따라 가지게 되는 열두 가지 동물의‘십이지’는 어떻게 만들어진 ... ...
아바타 학교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3호
그때 너는 뭘 보고 있었던 걸까? 교실 맨 뒷자리의 장식 없는 나무 의자에 앉아 너는 창밖을 바라보고 있었어. 나는 그러는 너를 바라보고 있었지. 내가 너무 너를 빤히 쳐 ... 나도 왼손으로 하는 게 좋겠지? 방금 허공에 대고 연습도 해 봤어.손을 내밀면, 네가 반갑게 내 손을 잡아 줄
테
야 ... ...
공룡에 관한 여덟 가지 미스터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1호
발견은 공룡과 새의 관계를 연구하는 새로운 바람을 불어 일으켰어요. 그리고 카우티프
테
릭스나 시노니소사우루스와 같은 깃털공룡 화석까지 발견되면서 공룡과 새의 관계는 더욱 뜨거운 논쟁거리가 되었지요. 공룡이새의 조상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들은 시조새의 특징을 비롯해서, 깃털 공룡의 ... ...
달무리가 생기면 비가 내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7호
훤하게 밝히는 자연 조명인 달. 그런데 가끔은 달 주위를 둥그렇게 둘러싸고 있는
테
를 본 적이 있을 거예요. 마치 책상에 올려놓은 스탠드의 갓처럼 말이죠. 그건‘달무리’라고 하는데 옛말에‘달무리가 생기면 비가 온다’는 이야기도 있어요. 달무리는 달빛이 대기 중에 있는 얼음 결정에 ... ...
'요철 발명왕과 떠나는 자동차 과학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4호
미래의 자동차미래에는 어떤 자동차가 나올까?하루에 1500대라…, 그 중에 한 대만 나한
테
공짜로 주면 안 될까? 이히힛! 이제 자동차 견학도 마쳤고, 슬슬 맹물이와 이 요철발명왕이살던 1970년대로 돌아가야 할 텐데…. 온 김에 미래의 자동차 세계를 준비하고 있는 사람들을 만나고 싶어. 왜냐 하면 ... ...
특종! 스파이더맨을 인터뷰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3호
고무찰흙을 많이 만지작거리면 이물질이 묻게 되고 접착력이 떨어지게 되지. 셀로판
테
이프를 여러 번 붙였다 뗐다 하면 잘 붙지 않게 되는 것과 같아. 우리가 즐겨먹는 것들이 접착제가 될 수도 있다?! 친구들은 알고 있었어? 우리가 먹는 음식들도 접착제로 쓸 수 있다는 사실!아이디어 - ... ...
디지털 지휘봉과 뮤지컬 재킷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음악’하면 제일 먼저 뭐가 떠오르는가. 40대라면 정장을 차려입고 콘서트홀에서 우아하게 클래식을 즐기는 장면? 30대라면 중학교 때 처음으로 워크맨을 사고 기뻐 ... 예술가도 여전히 존재할 것이다. 수백년동안 우리를 즐겁게 해준 음악이 하루아침에 없어질 리는 없을
테
니 말이다 ... ...
만년의 빙원에서 꿈을 이룬 극지연구가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끝에 도착한 낯선 하얀 대륙이 ‘평생지기’가 될 줄은 꿈에도 몰랐다. “꼭 다시 돌아올
테
니 한번 두고 보라”며 웃던 미국인 지도 교수의 말은 그대로 들어맞았다. 산과 여행이 너무 좋아 지구를 좀 더 공부해보고 싶어 선택한 전공이었지만 남극 연구는 전혀 예상치 못한 일이었다. 29세였던 한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