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아리
독
병
오직
유일
포트
다만
뉴스
"
단지
"(으)로 총 1,078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유 마시는 사람은 '어른아이'
2015.02.04
우유를 많이 마시는 북서 유럽 사람들은 키가 큽니다. 그런데 이들이 키가 큰 이유가
단지
우유를 많이 마시기 때문인지는 확실하지 않습니다. 우유 속 성분 중에 어떤 성분이 키와 몸집을 키우는지 화학적으로 정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습니다. 칼슘과 단백질을 섭취하기 위해서라는 가설도 ... ...
간편요리 허니버터칩, 직접 만들어보니...
2015.01.30
닮은 입소문 효과 하지만 허니버터칩이 하나의 사회적 신드롬으로 자리매김하기까지
단지
‘맛’으로는 부족했다. 맛이라는 제품의 본질 말고도 하나가 더 있었으니, 그건 바로 ‘입소문’이었다. 허니버터칩의 SNS 언급량 - 수학동아 제공 10월 초까지 트위터, 페이스북, 블로그, 온라인 뉴스 ... ...
대전 연구
단지
새 랜드마크 ‘사이언스컴플랙스’ 출발 전부터 시끌
2015.01.27
유지할 예정이지만 투자 규모가 축소될 경우 컴플렉스 규모 축소도 고려하고 있어 연구
단지
및 대전시 관계자들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대전시와 대전마케팅공사는 26일 민자사업 공모를 통해 업체 선정을 마치고 ‘신세계컨소시엄’과 사이언스컴플렉스 건립 협상을 마무리했다. 협상에는 ... ...
휴머노이드, ‘에이바’가 아닌 ‘헬렌’을 꿈꾸며…
2015.01.26
이런 걱정이 사라지기 때문에 대화에 활력이 넘친다고. 그렇다면 소셜로봇의 윤리학은
단지
행복의 윤리학일까. 꼭 그런 건 아니다. 미국 MIT의 사회학자 셰리 터클은 소셜로봇과의 관계가 본질적으로 ‘속임수’라는 데 문제가 있다고 본다. 앞서 얘기했듯이 이성적으로는 로봇임을 알아도 관계를 ... ...
'머리 큰 아기' 엄마는 괴로워
2015.01.21
인류는 여러모로 유인원처럼 생겼습니다. 머리 크기도 침팬지 머리 크기와 비슷했죠.
단지
직립 보행을 했다는 점만 달랐습니다([인류의 탄생 ②] ‘최초의 인류는 누구’ 기사 참조). 그 후 인류의 머리 크기는 점점 커졌지만 몸 크기는 200만 년 전에서 별로 달라지지 않았습니다. 인류에게 출산이 ... ...
“그녀가 날 사랑하도록 프로그래밍했나요?”
2015.01.18
가볍게 통과한다고 해서 인간에 가까운 진짜 지능을 가졌다고 판단할 수 있을까.
단지
뛰어난 검색 기능을 바탕으로 사람들이 원하는 대답을 들려주도록 프로그램된 것은 아닐까. 이달 21일 개봉하는 영화 ‘엑스 마키나’는 튜링테스트 다음 수준의 시험, 이른바 ‘포스트 튜링테스트’를 다루고 ... ...
오싹~ 추위가 전염된다!
2015.01.14
입 안이 차가워지며 머리까지 찡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그런데 이런 느낌이
단지
기분 때문 만은 아니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차가운 물에 손을 담그는 영상을 보면 실제로 체온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영국 서섹스대 연구팀은 건강한 성인 36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대상자에게 ... ...
아파트에 도시가스 쓰는 연료전지 설치한다면…
2014.12.23
김 교수는 “가스관을 타고 들어오는 천연가스로 전기를 만드는 연료전지를 아파트
단지
마다 설치하면 전기료를 줄이는 것은 물론 여름철 정전과 블랙아웃에도 대비할 수 있을 것”이라며 “2020년이면 가스요금만 내고 보일러 기능과 발전 기능을 모두 갖춘 연료전지가 상용화될 것”이라고 ... ...
안구건조증 비상, 인공눈물은 임시방편 해결책은..
동아닷컴
l
2014.12.19
잘 유지되도록 하는 점안액이다. 하지만 인공누액은 근본적인 치료를 하는 약이 아니고
단지
부족한 눈물을 임시로 보충해주는 역할만을 하기 때문에 증상이 좋아졌다고 해서 마음대로 중단해서는 안되며 의사 지시에 따라야 한다. 안구건조증을 예방하거나 증상을 완화시키려면 충분한 수분의 ... ...
[기자의 눈] ‘체면’과 과학 발전을 맞바꾼 대한민국
2014.12.16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 이 문제는 과학자들도 우려를 표하고 있다. 대덕연구
단지
소재 과학기술출연연 기관장들과 대학 총장 22인은 11일 “최근 재확정된 대전도시철도 2호선 트램 건설방식에 대해 다시금 검토를 촉구한다”는 내용의 성명서를 발표했다. 대전시는 시민 의견 수렴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