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변경
변형
전환
개종
변질
변용
뉴스
"
변환
"(으)로 총 1,012건 검색되었습니다.
해킹용 ‘와이파이’ 한 번에 찾아낸다
2015.06.29
노트북과 통신하기 위해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
시켜 전송한다. 연구진은
변환
된 아날로그 신호가 AP마다 조금씩 차이를 나타낸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얼핏 보기에 똑같은 무선인터넷 신호라도 사실은 조금씩 신호 값에 차이가 있다는 뜻으로 흔히 이를 ‘무선 지문’이라고 부른다. ... ...
실명 환자도 볼 수 있게 해주는 인공망막
2015.06.28
이뤄져 있다. 선글라스에 달린 카메라가 영상을 촬영하면 영상처리장치가 이 신호를
변환
해 무선으로 망막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환자가 흐릿하게나마 사물을 구분할 수 있다. 2011년과 2013년 유럽과 미국에서 시판 승인을 받은 아르구스Ⅱ는 현재 망막색소변성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전문 ... ...
생활 속 버려지는 자기장으로 전기 만든다
2015.06.16
‘에너지하베스팅’ 기술의 일종”이라며 “생활속 자기장 노이즈를 전기에너지로
변환
시킨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 기술은 에너지 분야 학술지 영국왕실화학회 발간 학술지 ‘에너지와 환경과학(Energy and Environmental Science)’ 표지논문으로 게재됐으며, 영국왕실화학회 ... ...
“아이 빌리브 아 캔 플라이(I believe I can fly)”
과학동아
l
2015.05.29
차원(3D) 가상현실 제작 프로그램을 이용해 석굴암을 디지털로
변환
하고 있다. 석굴암 실물(왼쪽)을 3D로 스캔하면 사진 한 장 용량이 수십 MB(메가바이트)에 이르는 만큼(가운데) 입체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용량을 10분의 1로 줄이는 게 핵심이다(오른쪽). - 인디고엔터테인먼트 제공 “우아~, 돌이 ... ...
의-치대 한두 문제로 당락 갈려… 가산점까지 고려해 신중 지원을
동아일보
l
2015.05.14
인문계 자연계를 가리지 않고 선발한 뒤 수능 점수를 보정해 주기 위해 백분위를 활용한
변환
표준점수를 반영하는 대학도 있다. 자연계 학생들이 응시하는 수학B와 과학탐구 과목에 가산점을 주는 대학도 있어 이 부분은 인문계 학생들이 유의하고 핸디캡을 극복해야 한다. 일부 한의예과와 ... ...
뇌 기능 모방해 생각 읽어내는 하드웨어
2015.05.12
사람의 뇌파를 측정하는 경우 뇌파 측정 장치에서 수신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한 뒤 컴퓨터를 이용해서 특징을 분석한다. 하지만 이 방법은 뇌파의 왜곡이 심해서 분석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컴퓨터를 비롯한 전자기기에서 정보를 처리할 때 걸리는 시간을 ... ...
인공 빛이 당신을 살찌게 만든다
2015.05.12
원인도 밝혀냈다. 몸속에서 지방산과 포도당 등 영양소를 열에너지로 바꾸는 에너지
변환
율이 감소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11일자에 실렸다. ... ...
[‘만능 치료제’에 다 건 日] 유도만능줄기세포 임상 최전선, 고베 이화학연구소 르포
2015.04.17
idol@donga.com 제공 다카하시 그룹리더는 환자에게서 피부세포를 채취한 뒤 이를 iPS세포로
변환
시켰다. 그리고 이 iPS세포를 혈관으로 파괴된 황반에 이식하기 위해 색소상피세포로 분화시켰다. 이식수술은 다카하시 그룹리더의 교토대 의대 동기이자 25년 지기인 구리모토 야쓰오(栗本康夫) ... ...
친환경 미래車 에너지효율 올릴 원천기술 찾았다
2015.04.13
GDC는 산소를 잘 전달하는 특성이 있어 수소연료전지를 비롯한 에너지 저장 및
변환
장치 용 전극에 쓰이는 핵심 물질로 꼽힌다. 프렝글린 교수팀은 GDC의 산소 전달 성능을 큰 폭으로 끌어 올렸다. 연료전지 내부에서 전기를 만들 때 열이 발생하는데, 이 때 GDC의 층간에 미세한 균열이 생긴다. 이 ... ...
발전소 전기 모았다가 24시간 활용
2015.04.13
㎾(킬로와트)급 신재생에너지 전력
변환
장치 시험설비’를 구축했으며 신재생에너지 전력
변환
장치 분야 국제공인시험기관(CBTL) 자격 역시 보유하고 있다. 학계에선 ESS 기술을 확보하면 버려지는 신재생에너지 전력을 자유롭게 쓸 수 있어 원전 건설에 맞먹는 전력공급 효과와 온실가스 감축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