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길
대로
거리
길거리
번화가
한길
행로
뉴스
"
큰길
"(으)로 총 1,517건 검색되었습니다.
[2017 노벨화학상] 생체 분자 구조 들여다 보는 기술 개발한 과학자들
2017.10.05
※ 편집자주 동아사이언스는 독자 여러분의 이해를 돕고자 노벨 과학상 수상자가 발표되는 2~4일, 노벨위원회가 수상자 발표와 동시에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는 보도자료 전문을 번역해 공개합니다. 노벨 위원회는 이 보도자료를 통해 수상자 선정 배경과 의미를 자세히 소개하고 있습니다 ☞영 ... ...
새만금 간척지에서 목격된 플라밍고, 어디에서 온 것일까요
과학동아
l
2017.10.04
윤순영 제공 올 여름에는 플라밍고(홍학)가 대유행했습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분홍색 플라밍고 튜브를 탄 피서객들을 쉽게 만날 수 있었죠. 그 인기를 알고 온 것일까요. 우리나라에서 큰홍학이 포착돼 화제입니다. 큰홍학(Phoenicopterus roseus)은 홍학과 홍학 속에 속하는 대형 조류입니다. ... ...
[2017 노벨 물리학상] 100년 전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중력파 검출을 이끈 과학자들
2017.10.04
※편집자주 동아사이언스는 독자 여러분의 이해를 돕고자 노벨 과학상 수상자가 발표되는 2~4일, 노벨위원회가 수상자 발표와 동시에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는 보도자료 전문을 번역해 공개합니다. 노벨 위원회는 이 보도자료를 통해 수상자 선정 배경과 의미를 자세히 소개하고 있습니다. ☞ ... ...
[2017 노벨 물리학상] 노벨상 비껴 간 비운의 학자 로널드 드리버
동아사이언스
l
2017.10.03
이번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명단에서 빠져 안타까움을 자아내게 하는 인물이 있다. 영국 스코틀랜드 출신 실험 물리학자로 레이저간섭계중력파검출기(라이고)의 기술적 모체가 된 레이저 안정화 기술을 공동 개발한 로널드 드리버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 전 명예교수다. 올해 3월 별세한 영 ... ...
[윤신영의 마이너리티 리포트-3] 어느 뇌과학자의 ‘대학원 제도’ 연구소
동아사이언스
l
2017.10.02
*과학과 기술을 다루는 글은 대개 화려합니다. 새로운 발견과 개발을 주도한 학자의 이야기는 언뜻 영웅 서사를 연상하게도 하지요. 하지만 그 과정에서 다뤄지지 않고 묻히는 과학이나 사람 이야기는 없을까요. ‘마이너리티 리포트’에서 과학 주변부를 살펴봅니다. 송민령 씨(KAIST 바이오및뇌 ... ...
“크리스퍼 특허 분쟁, 불리한 상황 아냐” - UC버클리 측 레이첼 하울위츠 CEO
동아사이언스
l
2017.09.29
레이첼 하울위츠 미국 카리보바이오사이언시스 최고경영자(CEO)이자 공동창업자. - IBS 제공 “‘크리스퍼(CRISPR)-Cas9’ 유전자가위 기술에 대한 브로드연구소와의 특허 소송에서 패소하더라도 불리한 상황은 아니라고 봅니다. 브로드연구소가 갖고 있는 특허권은 크리스퍼의 진핵세포 적용에 대한 ... ...
노벨상 유력 연구의 비결...박남규 교수 “모두가 외면해도 가능성 믿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5
21일 수원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 연구실에서 만난 박남규 교수. 안정적인 고체형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세계 최초로 개발해 관련 연구의 물꼬를 튼 공로로 최근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前 톰슨로이터 지적재산과학사업부)가 예측한 ‘노벨상 수상 유력 후보’로 선정됐다. - 수원=송경 ... ...
옷 입고만 다녀도 “스마트폰 충전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2
UNIST ‘웨어러블-열전발전기’ 개발 태양광-열전 발전기술을 개발한 최경진 UNIST 교수(왼쪽)와 정연수 연구원. - UNIST 제공 빛으로 전기를 만드는 태양전지는 규소(Si)를 이용해 만드는 실리콘 태양전지와 각종 화학물질을 섞어 만드는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로 나뉜다. 빛을 쬐어주면 내부에 전기 ... ...
[카드뉴스] 배고플 때 먹는 밥이 더 맛있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9.19
맛있는 음식은 우리를 행복하게 합니다. 맛을 위해서라면 먼 길을 마다않기도 하지요. 이렇게 맛을 좇는 우리들은 미각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요? 단맛은 포도당 등 각종 당분자가 단맛 수용체에 닿았을 때 느껴집니다. 마치 열쇠와 자물쇠처럼 당분자가 수용체에 끼워지면 수용체의 구조가 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예전에는 추석을 앞두고 뉴스에서 벌초나 성묘를 할 때 말벌을 조심하라고 당부했던 것 같은데 며칠 전 TV에서 본 뉴스에서는 말벌 대신 진드기를 언급했다. 그 자체로만 보면 진드기는 말벌에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로 그저 성가신 존재일 뿐이지만 진드기가 옮기는 바이러스 때문이다. 이 바이러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