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과학기술"(으)로 총 1,100건 검색되었습니다.
- ETRI, 스마트TVㆍ방송장비 보고서 2종 발간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ETRI, 스마트TVㆍ방송장비 보고서 2종 발간 - ETRI 제공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스마트TV와 방송장비에 대한 기술전략 보고서가 정부출연연구원 연구진에 의해 발간되어 화제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김흥남)는 30일,『스마트TV 수용도 조사와 시장전망』및『방송장비 해외진출 방안 연구』 ... ...
- “융합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소 세워야”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본부이사 2008년~현재 한국뇌연구원설립추진기획단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와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지원을 받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미래 생명공학정책 설립을 위한 연구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무단 전제, 재배포를 금지하며 허가없이 타 사이트에 게재할 ... ...
- “바이오기술 2012년까지 R&D 15%로 확대…”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복지부는 최근 보건·환경 분야의 신성장 산업에 대한 투자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국가 연구개발(R&D)에서 보건 의료 분야 비중도 점점 높아지고 있다. 2005년 8.3%에 머물던 이들 분야에 대한 투자가 2012년 15%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12일 오후 대전 유성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 열린 ‘제6차 생명공학 ... ...
- “유전체 연구분야 국가위상 높여야…통합조정기관 설립 필수”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현재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는 국가생물자원정보관리센터(KOBIC)가 존재한다. 하지만 교육과학기술부만 관할하고 있다. 보건복지가족부에서도 별도의 유전체 관리사업을 벌이고 있어 부처간 협력이 잘 되지 않고 있다. 이 같은 기관들을 통합해 운영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소규모의 연구팀이 ... ...
- 1억원짜리 독성시험 760만원에 해결...“효과적 지원이 신약사업 키운다”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중앙대 약대학장, 묵현상 메디프론디비티 대표, 신희섭 한국생명공학연구협의회장(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윤엽 목암생명공학연구소장이 참석했으며 현병환 한국생명공학연구원(생명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이 사회를 맡았다. 신희섭 박사가 좌장을 맡은 이날 좌담회에서는 기업과 ... ...
- “‘내셔널 아젠다’ 집중하면 한국 BT 미래 밝아”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대기업 동시에 육성해야 그는 생명공학 연구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도 강조했다. 과학기술에 대한 투자는 오늘을 위해서가 아니라 내일을 위해서라는 것. 특히 박 원장은 “대기업이 연구개발비를 투자해 성과를 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줘야한다”고 강조했다. ‘생명공학의 꽃’으로 불리는 ... ...
- 현장의 목소리로 들어본 한국 생명공학의 미래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과학계 이야기를 알기 쉽게 전해드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독자와 과학기술계와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생생하고 유익한 콘텐츠를 기획해 나갈 예정입니다. 독자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 “기반 기술 ‘나노’, 이제는 산업화에 주력해야”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회복할 수 있도록 사회 전체적인 분위기를 만들었으면 합니다. 지금 같은 분위기에서는 과학기술에 관심이 있는 친구들도 이 분야로 오기 쉽지 않습니다. 부모의 기대, 사회적 편견 등이 그들을 그들이 가지고 있는 적성에 맞는 길이 아니라 다른 길로 이끌 수 있거든요. 그들이 이 이 분야로 와서 ... ...
- “한국 나노산업엔 디딤돌 필요… 색다른 관점으로 상용화 이끌어야”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있는 것입니다.” ● 원천기술을 상용화로 이끄는 별도의 플랫폼 필요 박 단장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광촉매인 이산화티타늄을 꾸준히 연구해온 인물이다. 순수 연구자의 길을 걷던 사람이 산업통상자원부(지식경제부)의 기업나노지원사업인 ‘나노융합2020’ 사업단장을 맡게 된 이유에 ... ...
- 나노 원천기술 개발 비결은? “공동연구가 해법이다”동아사이언스 l2013.04.30
- 함께 참여할 수만 있게 해줘도 나노기술은 크게 발전할 겁니다. 그건 고스란히 국가 과학기술 성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전자·기계기술도 좋지만 생명과학과 시너지 높여야 정 센터장은 현재 국내 나노 정책의 단점을 너무 ‘기계, 전자공학’과의 융합만 생각하는 것이라고 했다. “실제로 ... ...
이전9091929394959697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