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연혁
유래
역사책
과정
역사학
역사과학
스페셜
"
역사
"(으)로 총 1,073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가 품기엔 너무 벅찬 쓰레기
KISTI
l
2015.05.26
) 플라스틱이라는 성분 자체의 분해 주기는 반영구적일만큼 길다는 것이 문제다. 지구
역사
에서 신출내기로 등장한 플라스틱은 지구의 분해자인 미생물들에게는 너무도 낯설어 이들을 분해시키는 능력을 지닌 분해자가 없는 탓이다. 자꾸만 쌓여가는 쓰레기 문제에서 골치 아픈 이들은 아주 ... ...
홍역백신, 없어서 못 맞히고 있어도 안 맞히고
2015.05.18
백신을 섞어 한꺼번에 접종할 수 있게 만든 게 바로 MMR백신이다. 백신에 대한 불신의
역사
야 18세기 천연두 백신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21세기에도 여전히 만연해 있는 게 현실이다. 그런데 이 가운데 대부분은 과학적 근거가 없고 이런 대표적인 예가 바로 홍역 백신이다. 영국 의사이자 ... ...
기후변화협약 청정개발체제 그리고 원전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5.15
개최된 유엔환경개발회의에서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이 채택됐다. 이후 1997년 인류
역사
상 최초로 각국 정부가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법적 제약을 받아들인 교토의정서가 제정됐다. 교토의정서는 온실가스 배출 억제 비용의 최소화를 목표로 하는 협력 메커니즘도 제시했다. 온실가스 배출 ... ...
DDT, 그 영욕(榮辱)의
역사
2015.04.20
결정을 내릴 수밖에 없는 상황을 개탄했다. 아무튼 1972년 DDT 퇴출은 환경론자들에게는
역사
적인 승리로 기억되고 있고 실제 DDT가 사라지면서 멸종위기에 몰렸던 대머리독수리의 개체수가 복원되는 등 바람직한 효과가 나타나기도 했다. 그러나 저자는 책에서 카슨이 살아있었다면(카슨은 1964년 ... ...
전화위복의 계기가 된 스리마일 원자력발전소 사고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5
역사
상 가장 유명한 원자력발전소 사고라면 단연 체르노빌 사고와 후쿠시마 사고다. 이 두 가지 사고는 하나라도 다시 일어나서는 안 되는 끔찍한 피해를 냈으며 복구에서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다행히 전문가들은 두 가지 사고 모두 재현될 가능성이 별로 없을 것으로 내다본다. ... ...
‘비스페놀A 프리’의 진실
2015.04.13
퇴출이 더 해로운 살충제가 널리 퍼지게 된 계기가 된 아이러니를 농약과 독성학의
역사
라는 폭넓은 관점에서 조명하고 있다. ‘(이런) 화학 하나하나를 볼 때마다 혐오감을 감출 수 없지만 그럴수록 화학을 더욱 사랑하는’ 필자이기에 2회에 걸쳐 해설과 서평이 다룬 내용을 소개하면서 화학이 ... ...
원전도 스트레스를 받는다! 원자력발전소 안전을 평가하는 스트레스테스트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6
없지만 기계는 극한 상황에 처하는 일이 자주는 아니더라도 간혹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역사
에서 일어난 큰 사고들은 극한 상황이 일어났을 때 기계가 버티지 못해서 일어난 것이 대부분이다. 흔히들 사용하는 스마트폰을 개발할 때도 이런 종류의 테스트를 한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다가 충격이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는가?
IBS
l
2015.03.26
우주에서는 자연계의 여러 힘이 분리되지 않고 공간과 시간이 분화되지 않았다. 우주의
역사
에서 찰나에 해당하는 이 짧은 시간 동안 어떤 일이 있었는지 알아낸다면 물리학의 성배인 통합이론을 구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림에서 설명하는 윌킨슨 마이크로파 비등방성 탐색위성(WMAP)도 초기 ... ...
과거는 그리 멋지지 않다
KOITA
l
2015.03.06
마땅하다. ● 나폴레옹의 또 다른 유산, 치과 나폴레옹 전쟁은 유럽과 세계의
역사
를 바꾼 사건이다. 이와 함께 또 다른 유산을 남겼으니, 바로 치과 의술이었다. 나폴레옹 전쟁 시기까지 유럽인들에게, 아니, 다른 모든 문화권의 사람들에게도 충치는 아주 성가시고 무서운 질병이었다. ... ...
멍 때려야 뇌가 쌩쌩해진다?!
KISTI
l
2015.03.03
멍하게 있는 것은 비생산적이라는 시각 때문에 다소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역사
적으로 보면 멍 때리는 행동에서 세상을 바꾼 창의적인 아이디어들이 나온 때가 많다.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아르키메데스는 헤론 왕으로부터 자신의 왕관이 정말 순금으로 만들어졌는지 조사해달라는 ... ...
이전
90
91
92
93
94
95
96
97
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