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견
취재
면접
면담
회담
인터뷰우
면회
스페셜
"
인터뷰
"(으)로 총 943건 검색되었습니다.
“BT 기초연구 튼튼해야 상용화도 가능해”
동아사이언스
l
2010.08.10
한 번 국가 주도 R&D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기초가 튼튼해야 빛보는 BT 그럼에도
인터뷰
내내 아쉬움을 내비췄다. 오 교수는 크게 두 가지를 지적했다. 과학기술 컨트롤타워가 없어 여러 부처에서 진행하는 연구가 조율되지 않고 있고, 2~3년 안에 상품화할 수 있는 기술개발을 지나치게 ... ...
“해외 식물 10만종 모으는 게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10.07.28
설명했다. 그러다보니 “내꺼다 라는 생각으로 확실히 챙기게 된다”고 했다. 정 단장은
인터뷰
내내 ‘전문성’을 강조했다. 속된 말로 ‘현장에서 굴러 본’ 전문성이 있어야 일선 연구원들의 고충을 이해해 보다 나은 연구 환경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단장이 해당 분야에 대해 잘 알아야 ... ...
“생물자원 전쟁 이미 시작… 과학적 분류부터 응용까지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10.07.06
자원관이 ‘보전’만하는 곳이 아니라 바이오 연구의 출발점이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인터뷰
를 시작했다. ● 우리나라 생물종의 30% 정도도 아직 분류 안돼 “우리나라의 생명공학 연구와 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우리 영토에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서 정확하게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실 ... ...
“미래혁명 BT세상에서 터질 것… IT도움 절실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0.06.07
서정선 한국바이오협회자은 “2015년경 개인유전체 분석 1000달러 시대가 오면 바이오 혁명이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제공 : 서울의대 “과학과 사회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아요. 미래 혁명은 분명 생명공학기술(BT) 분야에서 터질겁니다. 다만 정보기술(IT)과의 접목이 필수적입니다.” 그의 ... ...
“국내 바이오 기업은 30점, CEO 욕심 버려야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0.04.28
공동으로 진행하고 있는 ‘바이오선진화!’ 기획에서 증권사의 애널리스트를
인터뷰
한 것은 처음이다. 개인투자자를 위해 바이오 기업에 투자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물었다. 가능하면 기업 이름을 ‘딱 찍어’ 달라고 부탁했다. “공식적으로 보고서를 내지 않은 기업의 이름을 언론에 ... ...
“실패한 연구, 발상 바꿨더니 럭키 드러그”
동아사이언스
l
2010.04.13
59) 사장은 최근 5~10년간 세계적으로 바이오산업이 한계에 봉착했다는 말을 하면서
인터뷰
를 시작했다. 서울대 약대에 입학 이래로 현재까지 생명과학계에 몸담았던 김 사장은 “글로벌 바이오산업과 연구의 지도가 변하고 있고 여기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시야를 넓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 ...
“생명공학 신속함 갖춰야… IT와 합하면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10.01.11
파악하고 있는 인물이라는 평가다. ●ETRI 10년 목표는 융복합 통한 신산업 창출 김 원장은
인터뷰
내내 “올해부터 융복합 연구를 통한 미래 신성장동력 창출의 원년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근 “대형 융·복합 사업 발굴을 통한 미래 신성장 동력 창출을 위해 매진해 나가는 것을 첫 번째 ... ...
“여성 연구 인력 많아야 멋진 기업”
동아사이언스
l
2009.10.29
한 뒤 서울대 화학과에서 석사, 미국 휴스톤대에서 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김 교수는
인터뷰
내내 과학이 참 즐거웠다고 강조했다. ‘이것만 해야 하나’하는 생각이 들 때도 있었지만 연구에서 좋은 결과가 나오면 바로 잊어버리고 신이 난다고 한다. “원래 어려움이 있어도 심각하게 ... ...
“부임 첫 해 5000만원 빚내 연구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0.13
연구하는 사람에게 활용방안, 기대효과까지 적어내라고 하는 건 무리”라고 말했다.
인터뷰
가 끝나갈 쯤, 이 교수는 배려를 강조했다. 스타 과학자도 있어야 하겠지만 그 사람 한 명으로 한국 과학계가 대단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는 책상 위에 남아있던 드링크제를 마저 마시며 ... ...
“한국을 역분화 줄기세포 중심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09.09.14
교수는 본격적으로 인간줄기세포를 연구하고 싶었다. 11일 대전 KAIST에서 만난 한 교수는
인터뷰
시작과 동시에 “우리나라 과학계는 줄기세포 연구를 너무도 등한시 하고 있다”는 지적부터 쏟아냈다. 줄기세포 연구 왜하나? 선택 아닌 필수… 최우선 과제는 ‘인력’ “현재 인류가 정복해야 할 ... ...
이전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