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갈이 뜨면 오리온은 지고과학동아 l1998년 07호
- 1등성 알데바란을 가리는 성식을 일으킨다. 서울에서는 이번 성식의 북방한계선 바로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알데바란이 달의 끝에 가까스로 가려지면서 사라진다. 한편 이번 성식의 북방 한계선에 놓인 의정부, 일산, 김포, 인천 영종도를 잇는 선상의 지역에서는 알데바란이 달에 가리지 않고 ... ...
- 생존을 위한 몸부림 동식물의 화학무기과학동아 l1998년 07호
- 알이 유생이나 번데기가 되지 못하게 한다. 토마토의 한 종류는 곤충이 잎을 갉아먹으면 바로 그 자리에 단백질 분해 억제물질을 만들어 잎을 먹어도 소화가 안되게 한다. 그래서 다시는 공격하지 못하게 한다니 어찌 이들을 풀 따위라고 과소평가할 수 있단 말인가.더 지혜로운 식물들도 많다. ... ...
- ② 소호위성이 밝혀낸 태양의 새모습과학동아 l1998년 07호
- 별들 중의 하나일 뿐인데도 위성을 띄워 태양을 연구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그것은 바로 태양이 우리의 별이기 때문이다. 태양의 활동 변화는 고대로부터 인간의 역사에 보이지 않는 많은 영향을 끼쳐 왔다. 태양으로부터 방출되는 에너지가 1백분의 1만 감소해도 지구의 평균 기온이 하강해 ... ...
- 번개과학동아 l1998년 07호
- 재미있는 사실은 세계의 어느 누구보다 벼락을 많이 맞은 사람이 있다는 사실이다. 그는 바로 버지니아주에 살았던 로이 설리번이라는 공원 순찰대원. 이 사람은 1942년 처음으로 벼락을 맞았고, 1977년 6월 25일에는 일곱번째의 충격을 얻었다 ... ...
- 실리콘밸리의 신화과학동아 l1998년 07호
- 야후는 대표적인 인터넷 길잡이의 이름이다. 인터넷을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찾는 곳이 바로 야후 사이트(http://www.yahoo.com, 한국에선 http://www.yahoo.co.kr)다. 제리 양은 1994년 스탠퍼드대 전기공학과 박사과정에 재학 중 28살의 나이로 인터넷 검색도구인 야후 를 개발해 백만장자가 됐다.양이 야후를 ... ...
- 공룡은 먹이를 씹어먹었다?과학동아 l1998년 07호
- 지난 1995년 캐나다의 남서부 사스카체완에서 길이 43cm, 높이 12cm, 두께 15cm의 엄청나게 큰 공룡의 배설물 화석이 발견됐다. 이를 연구해온 과학자들은 최근 이 배설물 화석이 지 ... 확실하게 공룡의 생태와 관련지어진 것은 거의 없었다. 이번의 연구가 주목받는 것이 바로 이 때문이다 ... ...
- ① 수명 1백억년의 거대한 핵융합로과학동아 l1998년 07호
- 소호위성의 관측으로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고 있다.가장 외각에 속하는 태양 대기층은 바로 코로나다. 코로나도 채층처럼 개기일식 때만 관측할 수 있다. 채층 밖으로 보이는 코로나는 수백만km까지 확장돼 있으며, 밝기는 보름 달 밝기의 절반 가량 된다. 적도 근방에서 뻗어 나온 코로나의 부채꼴 ... ...
- ③ 다리 수명 무엇이 결정하나과학동아 l1998년 07호
- 수 있다.대체로 다리 진입 부분에 '40t 이상 진입금지'란 안내판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이미 설계된 다리가 견딜 수 있는 무게를 나타낸다. 그러면 다리를 건설할 때 딱 43.2t만을 견디게 건설하느냐 하면 그런 것은 아니다. 대개 설계할 때는 43.2t의 1.5-2배에 해당하는 86.4t 정도를 견디게 건설한다. ... ...
- 귀신은 왜 여름에 많은가과학동아 l1998년 07호
- 추위그런데 여름에는 왜 그리도 귀신 이야기가 많은 것일까. 이는 등골이 오싹하는 바로 그 느낌 때문이다. 공포를 느끼면 추위가 없는데도 자신도 모르게 몸이 추위를 타는 반응을 하는 것이다.우리 몸에는 온도감각을 느끼는 감각기가 두 군데 있다. 하나는 피부에 있는 감각기이고 다른 하나는 ... ...
- 불치병에 멍에 벗긴 당뇨병 치료제과학동아 l1998년 07호
- 수행한 베스트, 그리고 임상적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인슐린을 정제한 콜립이 바로 그들이다. 이 가운데 누구 한사람이라도 없었다면 위대한 업적이 성취되기까지 훨씬 긴 기간이 필요했을 터이다.인슐린의 임상 효과가 분명히 밝혀진 이듬해인 1923년 노벨상위원회는 밴팅과 ... ...
이전9479489499509519529539549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