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식] 녹아버린 초콜릿에서 영감을 얻다!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예측했다. 맥스웰 방정식이란 전기장과 자기장의 관계를 설명하는 4개의 방정식으로, 이
연구
에서는 전자기파에서 출발한 에너지 중에서 얼마나 열에너지가 되어 음식을 데우고 또 사라지는지를 계산하는 데 쓰였다.이렇게 만든 수학 모델로 버드 교수는 음식을 가장자리에 놓을 때와 중앙에 놓을 ... ...
Part2. 친환경 콩코드 다시 뜰까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공기층이 동체 주변을 부드럽고 깔끔하게 흘러나가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연구
팀은 동체와 엔진 모양을 개선하고 주날개 배치를 바꿔 비행 중 동체 주변의 공기 60%를 이같은 ‘자연층류’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아에리온은 오는 2021년 새로운 날개를 적용한 초음속 여객기를 상용화할 ... ...
[과학뉴스] 허니버터칩 왜 맛있는 거야?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모르는, 제조사도 모르는 허니버터칩의 또 다른 비밀이 있을지 모른다. 류미라 한국식품
연구
원 박사는 “고메버터의 발효향과 꿀의 단맛, 감자칩 특유의 알싸한 짠맛이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시너지를 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류 박사는 소고기와 마늘을 예로 들며 “소고기와 마늘을 넣고 오래 ... ...
[과학뉴스] 공룡의 직계 후손은 닭?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수각류(이족 보행한 용반류) 공룡으로부터 조류가 진화했다는 가설은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1990년대 중국 랴오닝성 등지에서 깃털 달린 공룡 ... 이는 명금류(songbird)와 그 친척 종들이 빠른 속도로 종이 분화한 사실과 일치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BMC유전학저널’ 12월 11일자에 발표됐다 ... ...
[과학뉴스] 더 자연스러워진 ‘생각으로 움직이는 로봇 팔’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움직이는 축)를 기존 7개에서 10개로 늘렸다고 ‘신경공학저널’ 12월 1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
팀은 환자가 로봇 팔 조절능력을 훈련하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에 가상의 물체를 넣어 물건을 잡는 훈련을 시켰다. 환자는 이를 통해 팔을 더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었다 ... ...
[과학뉴스] 2014년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수상자 발표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2014년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수상자로 함시현 숙명여대 화학과 교수(아래 사진 왼쪽)와 임혜숙 이화여대 전자공학과 교수(가운 ... 인재의 과학기술계 진출을 유도하기 위해 2001년 마련됐다. 그동안 김빛내리 기초과학
연구
원(IBS) 단장(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등 총 38명이 수상했다 ... ...
[Hot Issue] 두 발 괴물, 빅풋은 없었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회벨만스도 말했다. “신비동물학을 하기 위해서는 동물학 학위가 필요하다”고. 이번
연구
의 진짜 의의는 바로 빅풋 신봉자와 과학자들을 연결해줬다는 데 있을지도 모른다. 우리에게 얼굴을 드러내지 않았을 뿐, 어둡고 습한 숲 어딘가에 웅크리고 앉아 있을지도 모르는 미확인동물의 존재를 ... ...
[Life & Tech] 전자담배 해롭긴 마찬가지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표기조차 돼 있지 않은 경우가 많아 심각한부작용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 부
연구
위원도 “매년 우리나라에 새롭게 출시되는 전자담배를 꾸준히 감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 ...
[Knowledge] 3할 타자는 최고의 타자일까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차이는 하늘과 땅이라고 하지 않나. 하지만 통계로 야구를 살펴보는 세이버매트릭스
연구
자들의 입장은 조금 다르다. 타율로 타자를 평가하는 것은 장님이 코끼리 다리 만지는 격이라는 것이다.2001년 미국 메이저리그에 데뷔한 한 신인 선수가 ‘타율 논쟁’에 불을 붙였다. 이 선수는 첫해부터 ... ...
Part 3. 도시의 녹지는 섬처럼 조각조각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악조건에서 억지로 버티고 있는 셈이야.2011년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곽정인 박사가
연구
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시의 녹지는 대부분 ‘천이’가 중단된 상태라고 해. 천이는 한 지역의 주요 식물이 계속 바뀌며 울창한 숲을 가꿔가는 자연적인 흐름을 말해. 척박한 환경 위에 잘 사는 토끼풀, 덩굴 ... ...
이전
947
948
949
950
951
952
953
954
9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