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초의 미사일 박물관 은퇴한 무기의 거인 TATAN Ⅱ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타이탄에 대한 브리핑을 받고 관제센터부터 구경한다. 이곳에는 3톤이나 되는 투명문을
사이
에 두고 관제요원이 핵탄두와 미사일에 눈을 떼지 않는다. 관제센터에는 현대적 통신장치가 갖추어져 있으며 이 장치의 주요기능의 하나는 전쟁이 일어났을때 대통령의 발사명령을 수령하는 일이다. ... ...
국내최초로 문 연 유물전시관 중부고속도로에서 나온 유적·유물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발굴, 복원노력 덕분. 최근 개통된 중부고속도로의 중부휴게소(일죽과 음성
사이
)에 만들어진 유물전시관이 바로 '과거를 엿볼 수 있는' 화제의 현장이다. 국내최초의 고속도로 유물전시 정면 7간에 기와지붕을 얹은 고풍어린 93평 크기의 이 유물전시관은 자칫 고속도로공사작업으로 인해 영원히 ... ...
가속기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가속기는 에너지가 비교적 낮아서 이용범위가 그만큼 제한된다. 원자력병원에 설치된
사이
클로트론은 최대에너지가 50MeV, 전류의 세기가 최대 70㎂로서 암환자를 위한 중성자 치료용이다. 따라서 기초과학연구에 이용하기에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다. 이런 시점에서 포항공대는 국내최초로 방사광 ... ...
흥미있는 컴퓨터 체스 2천3백점대의 챔피언 「하이테크」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것이다. 하지만 C는 누가 진실을 말하는지 모르므로 계속 더 질문해야만 한다.벽을
사이
에 두고 직접 대화를 하면 음색으로 판가름이 나므로 텔리타이프 라이터나 중개인을 통해 대화하도록 한다. 자 그러면, 대화 도중에 A를 기계로 대치하면 어떻게 될까? C는 A를 기계로 바꾸지 않았을 때만큼 ... ...
세계에서 처음으로 실용화 성공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성공하여 지난 9월부터 실용화하고 있다. 폴리아닐린의 화학구조는 벤젠이 질소를
사이
에 두고 나란히 되어있다. 이상태로는 속의 전자가 움질일수 없는 절연체이다. 그러나 질소의 전자는 전압을 가함으로써 폴리아닐린 밖으로 쉽게 들어낼수 있다(충전). 이때 폴리아닐린의 전자는 움직이기 쉽게 ... ...
책의 혁명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표시될 수 있는 화면을 포함하는 장치가 없이는 읽혀질 수가 없다. 이것은 페이지
사이
를 앞으로 뒤로 움직이고, 특별한 한 페이지를 재빨리 찾는 등등의 조종 장치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장치도 역시 존재하고 대략 보통 책 하나의 크기이다. 이러한 판독기는 몇 주의 읽을거리를 나타내는 ... ...
하늘에 가장 가까운 나라 티베트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문은 열리다 국경의 거리 '잔무'는 티베트의 새로운 얼굴이다. 잔무와 초모란마
사이
에 '난파라'의 고개길이라는 빙설의 히말라야를 가로지르는 길이 있다. 옛날부터의 중요한 교역로로 1960년대에 중·인국경문제로 긴장되었을 때도 끊어진적이 없었다. 그리고 1960년대 말에는 중국·네팔 ... ...
해발 4천2백m 화와이 마우나 케어 망원경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사진의 망원경이름은 제임스맥스웰 클라크. 이 망원경은 적외선파와 무선전신파
사이
의 mm이하의 파장으로 조작이 된다. 감수성은 대단히 예민해 달위의 돌멩이까지도 볼수있고 우주공간의 분자구조까지 밝혀낼 수 있다고. 망원경의 핵심부분은 직경 15m의 '접시'부분으로 이것은 50미크론의 ... ...
정부와 학계의 견해, 어떻게 다른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정부가 지난 85년 책정한 7백50억원도 사실은 40~50억원밖에 지불되지는 않았으며 최근 3년
사이
2배이상이나 교수수가 증가했는데도 연구비지원규모는 답보상태에 있다. 결국 이같이 대학교육이 등한시되다보면 한국의 과학기술은 모래탑이 될수 밖에 없으며 첨단의 응용기술로 도포된 속빈 강정이 ... ...
낙동강하구와 한강서울수역 철새는 보금자리를 잃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개발 후에는 유일하게 남겼던 안식처-밤섬에 한하여 모여들고 있으며 그밖의 교각
사이
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으리만치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즉 지난 날에는 얕았던 물이나 산재한 모래톱 중주(中洲) 등지와 하안(河岸)의 부지에서 쉬어가며 잠도 잤으며 특히 무자맥질 하여 취식하였던 취식지 ... ...
이전
948
949
950
951
952
953
954
955
9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