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인화성탐사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형성하는 동시에 동 태평양상에서는 고압부를 형성하는데, 그 기압차는 5-10 hPa
정도
로 계절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남방 진동지수(Southern Oscillation Index, SOI)는 남위 17도와 서경 1백50도에 위치하는 타히티섬과 호주 대륙 다윈의 월 평균 기압의 편차로 나타낸다 남방 진동지수는 평상시에는 양의 값을 ... ...
인공미생물 탄생 머지않았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탄생의 길은 아직 멀어 보인다. 박테리아의 게놈은 바이러스와는 비교가 안 될
정도
로 크다. 벤터 박사는 약 30만개의 염기로 이뤄진 박테리아 게놈을 합성할 계획인데, 산술적으로만 봐도 지난해 합성한 박테리오파지 게놈 50개 이상이 모여야 하는 규모다. 설사 게놈을 합성했다 하더라도 이것이 ... ...
과학계 초대 얼짱은 초상화 덕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뉴턴은 장갑을 손에 쥐고 칼까지 찬 우아한 신사의 모습으로 묘사돼있습니다. 이
정도
그림을 넣기 위해선 책을 최고급으로 만들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계산을 한 것입니다. 또 왕립학회 회장 시절에는 금으로 ‘회장 아이작 뉴턴’이라고 쓴 대형 초상화를 내걸었다고 합니다. 마치 관공서에 대통령 ... ...
인간 로봇 혼성 축구팀 창단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로봇의 역할은 인간이 하기 힘든 일을 대신하는
정도
에 머물렀다. 최근 스포츠 경기를 통해 인간과 로봇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독특한 프로젝트가 시작됐다.미국 매사추세스공대에서 발행되는 ‘테크놀로지리뷰’ 1월호는 카네기 멜론대 연구들이 인간과 로봇들로 단일 축구팀을 꾸려 경기 중에 ... ...
풍선 타고 우주 향하는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두사람이 처음으로 기구를 타고 세계일주에 성공했다. 이들의 기록은 포셋보다 6.5일
정도
길었다(과학동아 1999년 11월 ‘2백16년만의 세계일주’ 참고). 여기에서 피카드는 최초로 성층권 진입에 성공한 피카드의 후손이다. 피카드가(家)는 모험가 집안으로 전세계적으로 유명하다.세계일주 기록은 ... ...
광우병 그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국의 산발형 크로이츠펠트 야콥병 발생 빈도가 1백만명당 1명
정도
로 낮기 때문에 양의 스크래피가 사람에게 직접 감염될 가능성은 희박해 보였다. 또 지금까지 수십만 마리의 소가 광우병에 걸려 죽은 것과 달리 인간 광우병 발병 건수는 지난해까지 약 1백명 남짓이다 ... ...
세계 최고 볍씨 발굴 이융조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체질은 기본조사방법입니다.수양개 조사에서는 어려움이 없으셨나요?처음에는 백평
정도
의 밭에서 탐사를 시작했어요. 그런데 거기에서 유물이 상당히 많이 나오더군요. 그래서 더 넓게 조사를 해보려고 도청과 수자원공사를 찾아갔어요. 그곳에서 더이상 못한다고 하더군요. 왜 못하냐니까 ... ...
전자파 잡음 없는 반도체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진행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김 교수는 국제학회에 매년 20여편의 논문을 발표할
정도
로 상당한 성과를 내고 있다.김 교수는“아직 대중화가 된 기술은 아니지만, 전자제품을 잘 팔려면 반드시 필요한 분야”라고 강조한다. 더욱이 기존 칩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전자파가 성능 한계를 돌파하는데 ... ...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시간을 알았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우리나라 시간은 동경 1백35°의 표준시다. 대전은 동경 약 1백27°이므로 표준시와 약 30분
정도
차이가 있다. 따라서 앙부일구에서 읽은 시간에 30분을 더해야 현재의 시간과 같아지는 것이다.우리 조상들이 언제부터 시계를 이용해 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했는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삼국사기 ... ...
05. [시간과 생체] 우리몸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특정 시간대에 그 치료효과가 증가한다고 한다. 치료 약물의 흡수, 대사과정 및 분비되는
정도
가 생체시계의 리듬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따라서 생체시계의 작동방식을 정확히 이해하고, 이들 신호전달경로나 전달물질의 발견이 선행된다면 새로운 차원의 신약이 개발될 수 있다. 생체시계를 ... ...
이전
951
952
953
954
955
956
957
958
9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