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치레
족장
꾸미기
허위
체하기
호주
주인
뉴스
"
가장
"(으)로 총 16,193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려대 20대 총장에 정진택 기계공학과 교수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18.12.21
등 3명을 최종 후보로 선정해 학교법인에 추천했다. 총추위 투표에서는 최 교수가
가장
많은 표를 받았고 이 교수와 정 교수가 같은 수를 득표했다. 총추위는 다만 득표수를 공개하지는 않았다. 법인 심사에서는 총추위 투표 결과는 반영되지 않고 면접 등 심사를 거쳐 총장을 선출한다. 정 ... ...
이달의 KIST인상에 김익재 단장, 김수민 선임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8.12.21
가스막, 필터, 센서 등에 응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달의 KIST인상은 KIST의 발전에
가장
창조적, 혁신적으로 기여한 우수 직원을 발굴해 포상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선정한다. 이번 시상식은 21일 KIST 서울 본원에서 개최됐다. ... ...
“VR 아바타가 내 표정이랑 똑같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1
수학을 도입하고 분석 방법을 바꿔 정확도는 비슷하면서 단 한 번의 표정 등록으로
가장
많은 표정을 재현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 기술은 응용 가능성이 높은 데다 세계적으로도 아직 상용화에 성공한 곳이 없어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으로 선정돼 지원을 받고 있다. 임 교수는 ... ...
배아 발생 과정 동영상처럼 보는 기술, 올해 최고 과학 성과
2018.12.21
등을 연구할 때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독자들이 꼽은 2018년
가장
중요한 과학 뉴스 2위(가운데)는 희귀 간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RNA 간섭 약’의 첫 판매 승인이다. 사진 제공 사이언스 2위를 차지한 RNA 간섭 약물은 세포가 DNA 기능을 조절하는 기초 연구가 20년 만에 ... ...
"우주 비밀 간직한 '운석의 보고' 극지, 현장연구에 답이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서식하는 생명체 연구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문 양은 극지방 생물들은 지구온난화로
가장
크게 타격을 받고 있다. 하지만 빠른 속도로 사라지는 생물도 있지만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종도 있다. 문 양은 “점점 악화되고 있는 지구 환경에 맞서 생명체가 버티는 방법에서 인류가 우주에서 ... ...
유전자가위와 나노 접목한 새 유전자 진단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새로운 방법으로 목표로 하는 유전자를 분류하는 기술을 연구했다. 먼저 유전자교정에
가장
널리 쓰이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CRISPR-Cas9)에서 DNA를 자르는 기능을 없앤 크리스퍼 디(d)캐스9’을 만들었다. 원래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30억 쌍에 이르는 긴 염기서열로 이뤄진 전체 DNA에서 목표로 ... ...
메뚜기 점프원리 규명·아이언맨 소재 발굴…美육군 과학자들이 뽑은 연구 10選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위해 노력중이다. 보든(BODN)의 화학식.-미국육군연구소 제공 미 육군 과학자들이
가장
많이 쓰이는 폭탄인 티엔티(TNT)를 대체할 새로운 폭탄을 개발했다. ‘보든(BODN)’은 TNT보다 50% 더 강력한 폭발력을 가지고 있다. 자체적으로 분자를 안정시키는 특성이 있다. 만들기도 쉽고 TNT와 다르게 ... ...
사상 최악 산불·포퓰리즘의 위협·유전자 조작 아기…네이처가 뽑은 올해 과학사건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85명이 숨졌다. 단일 산불로는 피해 규모가
가장
크다. 세계 최대 재보험사 '스위스 리'는 18일(현지시간) 올해 발생한 자연재해 및 인재로 약 174조4800억원의 피해가 났다고 발표했다. 과학자들은 지구 곳곳에서 나타나는 폭염과 한파는 기후변화 ... ...
'IS로부터 학생 구출'…스웨덴 룬드대 화학과의 비밀작전 4년만에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공격해 모든 남자를 죽이고 여성을 노예로 데려갔다는 말을 듣고 그 길로 이라크로 가는
가장
빠른 비행기표를 끊었다. 하지만 그도 홀로 가족을 구출할 능력은 없었다. 가족과 만나는 데는 성공했지만 빠져나오기에는 너무 늦었다. IS가 이미 주변 지역을 모두 점령했기 때문이다. 주마 박사와 ... ...
알츠하이머성 치매, 전염 가능성 높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국제학술지 ‘네이처’ 13일자에 발표했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으로, 1907년 독일의 정신과 의사인 알로이스 알츠하이머 박사가 최초로 보고했다. 베타 아밀로이드와 타우 단백질은 보통 알츠하이머병에 걸린 환자 뇌에서 발견된다. 베타 아밀로이드는 ... ...
이전
952
953
954
955
956
957
958
959
9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