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88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폐열의 빛으로 전기 만든다
2020.03.24
역시 태양광발전과는 비교가 안 된다. 적외선 광자가 반도체 전자 이동시켜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이달 20일 미국 샌디아국립연구소의 과학자들이 기발한 장치를 고안해 폐열의 적외선 복사로 전기를 만드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는 논문이 실렸다. 어려운 물리이론이라 이해하는 데는 ... ...
"한 시간에 균 99.9% 제거" 항균 효력 높인 은나노 소재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3.24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연구팀은 기대했다. 연구 결과는 생체재료 분야 국제
학술
지 ‘미국화학회(ACS) 응용생체재료’ 8일자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 ...
코로나19 완치 후 재감염 가능성 낮다…하지만 면역력 유지는 '미지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3.24
일부는 면역력을 잃기도 했다. 중국 베이징미생물학및유행병연구소 연구팀은 2011년 국제
학술
지 ‘면역학회지’에 사스에 감염된 환자 23명을 6년간 추적조사했다. 그 결과 14명만 면역을 담당하는 T세포가 사스 바이러스를 기억하고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하기도 했다. 방 센터장은 ... ...
[과학게시판] GIST-프랑스 레오나르도 다빈치대 공대 인재 교류 협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3.23
학술
진흥상과 펠로십 두 부문으로 나뉜다.
학술
진흥상은 국내 여성과학자 중 활발한
학술
활동을 하거나 뛰어난 연구업적을 보유한 자로, 국제 과학 영역에 기여할 잠재력을 갖췄거나 국내 과학분야에서 여성과학자의 역할과 위상 제고에 기여한 여성과학자 한 명에게 수여된다. 펠로십은 ... ...
곤충 눈 닮고 동전보다 얇은 초박형 카메라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23
장치 소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확신한다”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광학 분야 국제
학술
지 ‘빛 : 과학과 응용’ 2월 27일자에 발표됐다. 상용 소형 카메라로 찍은 사진(왼쪽 위 작은 사진)과 초박형 카메라로 찍은 사진을 비교했다. 하나의 미세렌즈가 찍은 영상은 흐릿하다(가운데 여럿 찍힌 ... ...
연구 홍보하고 컴퓨터언어 배우라…코로나 사태로 재택하는 과학자를 위한 10가지 제안
동아사이언스
l
2020.03.23
늘면서 실험실에서 수행해야 할 각종 연구계획이 미뤄지는 상황이다.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한 전문가를 인용해 이런 시기일수록 과학자들이 이 시기를 연구에 필요한 기술을 배우고 장기 계획을 세우는 기회로 활용할 것을 조언했다. 사이언스는 16일 과학자들을 위한 강연과 세미나를 ... ...
WHO가 꼽은 유망 코로나19 치료약 4종…전 세계 환자와 의사 연대가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23
함께 실험한다. WHO는 이 네가지 약물을 가장 유망한 코로나19 치료제로 보고있다.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이달 20일 WHO가 이들 코로나19 치료제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유망한 4개 치료제를 활용한 범 국제 프로젝트를 발표했다고 22일(현지시간) 전했다. 프로젝트의 이름은 ‘솔리대리티(Solidarity ... ...
800년 전 노트르담을 되살려라
동아사이언스
l
2020.03.23
잡히기도 전 오는 2024년까지 노트르담 성당 복원하겠다고 공언했다.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이달 13일 노트르담 성당 복원에 나선 프랑스 역사유적보존연구소(LRMH)와 국립과학연구원(CNRS) 과학자 100명의 지난 1년간 활약상을 소개했다. 사이언스는 성당 복원에 필요한 연구가 어느 정도가 ... ...
'약물 표적' 코로나19 바이러스 복제 효소 3D 정밀 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22
4~5마이크로몰(μM)로 나타났다. 중국과학원 우한바이러스연구소 연구팀이 지난달 국제
학술
지 ‘셀 리서치’에 보고한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 치료 후보들로 꼽히는 에볼라 치료제 렘데시비르의 EC₅₀는 0.77μM, 항말라리아제인 클로로퀸은 1.13μM로 측정됐다. 하지만 두 약물은 부작용이 있다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킹펭귄 90만 마리는 어디로 사라졌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3.22
제공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는 20일 홀로 떠다니는 해빙 조각의 모습을 표지에 실었다. 과거 남극 대륙을 구성하고 있었을 해빙은 이제 기후변화로 인해 떨어져 나가 녹아 없어질 때를 기다리는 신세가 됐다. 사이언스는 기후변화로 인한 남극 대륙의 급격한 변화를 조망한 세 개의 리뷰 논문과 ... ...
이전
955
956
957
958
959
960
961
962
9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