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궤도"(으)로 총 1,6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정월대보름 올해 가장 큰 달 뜬다과학동아 l200102
- 기울기가 비슷하기 때문에 하늘에서 비슷한 길, 즉 황도(하늘에 투영된 지구공전궤도)상에 나타난다. 목성도 예외가 아닌데, 해마다 황도상의 12 별자리 중 하나 정도씩 옮겨간다. 왜냐하면 목성이 태양 주위를 한바퀴 도는데 약 11년이 걸리기 때문이다.그리고 지구에서 보는 목성의 상대적 위치가 ... ...
- 1. 미르 태평양에 평안히 잠들라과학동아 l200102
- 최장기간 동안 우주궤도에 머물렀다. 1986년 2월부터 2001년 2월까지 15년 동안 미르는 지구궤도를 8만7천여 바퀴나 돌았다. 최초의 탑승자는 1986년 3월 러시아의 레오니드 키짐과 블라디미르 솔로보프이고 최후의 탑승자는 2000년 4월에서 6월까지 머문 러시아 우주인 세르게이 잘료틴과 알렉산데르 ... ...
- 미르의 사고일지와 태평양 수장 시나리오과학동아 l200102
- 속도를 줄인다.마지막 역분사가 이뤄져 초당 17.3m의 속도로 미르의 속도를 줄이면 미르의 궤도는 점점 더 낮아지고, 이와 함께 지구대기권의 인력에 잡혀버린다. 이어 미르는 급 강하를 하게 되는데, 이때 마찰열로 미르의 동체는 파괴된다. 하지만 일부 튼튼한 덩어리들은 없어지지 않은 채 지상까지 ... ...
- 2. 쓰레기로 몸살 앓는 우주공간과학동아 l200102
- 비롯해 미국이나 동남아시아에서 사용하다 수명이 다한 위성들이 버려져 있다.정지궤도에 있는 방송통신위성들은 마지막에 우주쓰레기장인 ‘고려장지’까지 이동할 추진제를 꼭 남겨두었다가 이곳까지 이동한 후 일생을 깨끗하게 마감하게 되는 것이다. 죽은 위성들은 고철이 됐지만 3만6천km ... ...
- 1.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 발견의 비화과학동아 l200101
- 삼았다. 다음 전체 궤도(보통은 타원모양)에서 조그만 호에 대한 정보만으로도 전체 궤도를 계산해낼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고안해냈다. 이것은 가우스법이라고 해서 지금도 사용되고 있다. 그는 11월에야 자신의 계산을 끝냈고 문제의 천체가 6주 동안 처음 위치에서 3° 정도 이동했음을 구해냈다. ... ...
- 2. 지구 위협하는 블랙리스트 300과학동아 l200101
- 부여받는다. 예를 들면 소행성 ‘세종’(Sejong)은 ‘1996 QV1’이라는 명칭이 부여된 이후 궤도를 확인, ‘7365’라는 이름으로 확정됐다. 즉 7천3백65번째로 등록된 소행성이라는 뜻.이제 발견자 본인이 붙이고 싶은 이름을 MPC에 제안할 수 있다. 발견자는 이름이 갖는 의미, 또 그렇게 명명하는 이유를 ... ...
- 1. 차세대 컴퓨터 주역 쟁탈전과학동아 l200101
- 입체 홀로그램으로 표현돼 실제 사람이 움직이는 것과 동일한 모습을 보여준다.지구 정지궤도를 돌고 있는 수백개의 통신위성을 통해 24시간 끊임없이 소통되는 정보는 전세계 모든 도로 정보, 건물 정보, 사람의 위치 등을 알려준다. 잃어버린 아이도 위치 추적장치로 곧바로 찾을 수 있고, 외국인과 ... ...
- 2001년을 여는 장엄한 개기월식과학동아 l200101
- 볼 수 없다. 왜 해질 녘이나 해뜰 무렵에만 보이는 것일까. 이것은 금성이 지구 안쪽 궤도를 공전하기 때문인데, 이런 상황을 가만히 그려보면 지구에서 보는 금성이 해에서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 가장 멀리 떨어졌을 때에도 각도는 약 47˚이다. 이때를‘최대이각’이라고 한다. 최대이각은 두번 ... ...
- 3. 태양계에서 노다지 캐는 미래 우주벤처과학동아 l200101
- 파괴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문제의 소행성을 작은 조각들로 쪼개 피해를 경감시키거나 궤도를 빗겨나가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방법은 영화 속에서 등장한 해결방법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때 쪼개진 조각들의 크기가 75m보다 큰 경우 지구와 다시 충돌을 일으켜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물론 ... ...
- 좀생이별이 들러리 선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과학동아 l200012
- 위성들이 목성 주위를 좌우로 일직선으로 움직이는데 비해 토성의 위성들은 원형의 궤도가 고리와 같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타우너형으로 돌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그래서 종종 토성의 북쪽이나 고리 아래에 떨어져 있어 별과 혼동하기 쉬운 탓에 세삼하게 관찰해야 한다 ... ...
이전919293949596979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