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으)로 총 3,668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린이과학동아와 함께 멸종위기 동식물 구출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213
- 0~120㎝정도야. 꽃줄기 끝에 짙은 자주색 꽃이 3개씩 달리고 타원형 열매를 맺어. 중국과 일본, 시베리아에도 살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지리산한 곳에서 적은 개체수가 자생하고 있단다. 가시오갈피나무는 강원과 지리산 등에서 사는데 키가 2~3m로 작은 편이야.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줄기에 가시가 ... ...
- 별빛이 폭포수가 되어과학동아 l201212
- 성단의 별은 사실 온도가 3만℃나 된다.원제 별 얼음폭포 | 미야사카 마사히로 | 일본질서와 무질서밤하늘을 카메라 셔터를 열고 찍은 사진으로, 별이 그린 규칙적인 호와 반딧불 떼가 그린 불규칙적인 흔적이 대조를 이룬다. 별과 자연, 그리고 인공 빛이 하나의 사진에 담겼다. ‘지구와 우주’ 부문 ... ...
- 저선량 방사선은 몸에 좋다? 나쁘다?과학동아 l201212
- 사우스캐롤라이나대 생물학과 교수팀은 이란, 케냐, 프랑스 등 46개 연구를 모아 살펴본 결과 “돌연변이나 면역학 상의 부정적인 효과가 나타나며 호메시스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당분간 저선량 방사선을 둘러싼 논쟁은 계속될 예정이다 ... ...
- 함께 사는 지구, 그런데 왜 부자만 건강할까과학동아 l201212
- 정도 높아졌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캐나다 환자 7816명을 대상으로 1년 내 사망률을 알아본 2012년 ‘미국신경학회지’의 연구 결과는 오직 수입만 비교했다. 여기에서는 저소득층이 고소득층보다 18%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치료도 마찬가지다. 미국심장협회가 발간하는 의학 저널 ‘뇌졸중’지의 201 ... ...
- 단백질 어떻게 보시나요? 3D로 봅니다!과학동아 l201212
- 분석해 구조를 유추하는 방법으로, 움직이지 않는 고체 시료만 관찰이 가능하다. 3D로 본 단백질의 구조는 모두 X선 결정학으로 알아낸 것이다.X선 결정학은 1895년 빌헬름 뢴트겐이 X선을 처음 발견한 이후 생물학 발전에 꾸준히 기여해왔다. 196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제임스 왓슨, 프랜시스 크릭, ... ...
- 꿈을 담은 피규어어린이과학동아 l201212
- 영화에 등장하는 캐릭터를 피규어로 만나 본 적이 있나요?화면 속에 있던 캐릭터가 화면 밖으로 튀어 나왔을 때의 느낌은 참 색다르답니다. 피규어는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궁금증을 품은 두 열혈독자가 직접 나서서 피규어를 취재하고 왔어요.한 번 만나볼까요? 강선아, 이 피규어들 정말 멋있지 ... ...
- PART 2. 친구 따라 투표장 가는 ‘페이스북 법칙’과학동아 l201212
- 없기 때문에(동전이 휘지 않았다) 신뢰성, 안정성 등 ‘정보로서의 가치’가 높다고 본다. 다시 말해 여론을 더 잘 반영한다.박 교수가 지난 11월 3일 ‘문재인’, ‘박근혜’, ‘안철수’, ‘대통령’이라는 네 단어가 들어간 데이터를 구글 API 서비스를 이용해 모은 뒤(일부 항목은 수십억 개에 이를 ... ...
- 화학자가 본 플루오린화 수소 유출 사고의 진실과학동아 l201212
- 제대로 반영했다면 ‘형소(螢素)’라는 이름이 더 적절했을 것이다. 대한화학회에서는 일본에서만 통용되는 ‘弗素’ 대신 국제순수응용화학연합(IUPAC)에서 사용하는 ‘플루오린’을 그대로 사용하기로 결정했다.저장 탱크 연결하고 작업한 게 원인이번 사고에서는 누출된 가스가 10여m 높이까지 ... ...
- 수학콘서트의 재미는 우리에게 맡겨라! 아빠와 아들수학동아 l201212
- 개그맨이 되기 위해 어렸을 때부터 개그를 연습할 필요는 없거든요. 학창시절에는 학생 본연의 생활을 충실히 하는 것이 중요해요. 개그맨이 꼭 되고 싶다는 마음만 변하지 않는다면, 성인이 된 다음에 준비해도 되거든요. 그때까지 사람들을 즐겁게 해 주고 싶다는 마음을 지키는 게 가장 큰 준비일 ... ...
- 영국 매스투어1탄, 위대한 수학 유산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212
- 최초의 나선형 계단으로 유명해요.그런데 가만 보니, 이 계단의 나선 구조를 어디서 많이 본 것 같네요? 아하! 소라 고둥이나 앵무조개, 은하계에서도 발견할 수 있는 나선 구조와 같아요. 계단을 계속 올려다 보자, 점점 좁아드는 듯한 착각이 들었어요. 하지만 사실 계단은 바닥부터 윗부분까지 ... ...
이전919293949596979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