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우주의 진화지도를 그리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중 지구로부터 10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이 현상을 발견했지요. 연구에 참여한 레이 노리스 교수는 “사진 속 두 은하와 소용돌이에 대한 정밀한 정보를 알아내기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개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답니다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보세요. 이 영상은 독수리 등에 360° VR 카메라를 달아 촬영했어요. 화면을 터치해 원하는 곳의 모습을 살펴보면 마치 독수리가 된 것 같아요. 독수리의 목적지는 어디였을까요? 이것이 바로 진화의 증거! 조회수 : 3758 회채널명 : LGScienceLand (구독자 수 : 7.69만 명)오늘은 진화의 증거 중 몇 가지를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하죠. 그러니 천둥, 번개, 벼락이 칠 땐 외부 활동을 자제하고, 대신 건물 안이나 안전한 곳으로 대피해야 한답니다. Q비타민을 먹으면 오줌이 노래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A소변을 봤는데, 레몬 빛깔의 오줌을 보곤 건강에 이상이 생긴 건 아닐까 걱정한 친구들이 있을 거예요. 아마 그날 아침 ... ...
- [특집] 세탁연구소 지구를 위한 패션 끝판왕, 빨지 않고 사지 않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체감상 반으로 줄었다”고 밝혔어요. 또 다른 참가자도 “세탁 대신 통풍이 잘되는 곳에 널어두면 냄새가 사라져 다시 입을 수 있다”고 기록했습니다.왜 세탁을 줄이려고 하는 걸까요? 2016년 영국 플리머스대학교 연구팀은 가정용 세탁기에서 배출되는 미세플라스틱의 양을 측정했어요. 그 결과 ... ...
- [기획] 한국의 갯벌 세계자연유산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살아 숨 쉬는 곳으로,전 세계에 수백 마리만 존재하는 넓적부리도요도 매해 찾는 귀중한 곳입니다. 세계자연유산이 된 한국의 갯벌은 어떤 매력이 있는지 지금부터 알아볼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기획] 한국의 갯벌 세계자연유산 되다!Part1. [기획] 세계자연유산 된 갯벌 직접 ... ...
- [기획] 세계자연유산 된 갯벌! 직접 다녀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갯벌도 계절마다 모습이 다르고, 특히 이곳 고창갯벌이 그런 변화를 잘 볼 수 있는 곳”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평균수심 1680m, 최대 수심 4000m에 달하는 동해와 달리, 서해는 평균 수심이 44m로 매우 얕습니다. 얕은 바다는 보통 육지에서 밀려온 퇴적물이 쌓여 만들어지는데, 서해는 1만 1000년 전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코딩으로 N서울타워를 뚝딱!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7, 방향은 y좌표로 바꾸세요. 중심 s좌표는 화면과 같이 바꾸세요. y좌푯값이 79인 곳에서부터 원기둥이 만들어져요.⑪ Alt+Tab을 눌러 마인크래프트로 돌아가 채팅명령어 ‘5’를 실행하세요. 세 번째 첨탑 건축하기 건축물의 마지막은 뾰족한 첨탑으로 장식해 봐요. ‘선 모양 만들기’를 ... ...
- [기획] 유네스코의 결정 아쉬운 점도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될까요? 갯벌이 가진 경제적 가치는 정말 큽니다. 우리 식탁을 풍요롭게 해주는 고마운 곳이기도 하죠. 한 예로 20여 년 전 간척공사가 한창일 때 경기도 화성갯벌에서 가리맛조개를 채취했어요. 3시간 걸려 1m3 퇴적물 안에 사는 가리맛조개를 모두 잡았는데, 무려 200마리였어요(그림a). 이 ... ...
- [이재형 천문대장]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태양과 달 다음으로 밝은 금성을 볼 수 있어요. 그리고 그 옆에 지평선과 좀 더 가까운 곳엔 수성이 있지요. 수성은 해가 진 직후에 볼 수 있답니다. 날이 본격적으로 어두워지면 남쪽 하늘엔 목성과 토성이, 동쪽엔 천왕성이 보일 거예요. 날씨가 좋다면 소형 망원경으로도 목성의 줄무늬와 토성의 ... ...
- [가상 인터뷰] 고원우는토끼의 식량은 야크 똥?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7호
- 상대적으로 찾기 쉬운 야크 똥을 식량으로 쓰는 거야. 연구팀은 “왜 야크를 많이 키우는 곳에서 고원우는토끼가 많이 발견되는지 설명해 줄 수 있을 것”이라 얘기했어 ... ...
이전919293949596979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