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우주 속 은하는 1000억 개가 아닌 1조 개!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이른 것으로 파악됐다. 또 은하의 분포도 우주 전역에 균일하지 않았다. 연구팀은 현재
관측
가능한 우주에는 이전까지 추정했던 것보다 10배 이상 많은, 1조 개가 넘는 은하가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콘셀라이스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로 우주의 구조가 어떻게 형성돼 왔는지 확인할 수 ... ...
[News & Issue] 떠다니는 해양과학연구소 이사부호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300억 원의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이사부호 갑판에는 해양 기상을 실시간
관측
할 수 있는
관측
장비가 실려 있다. 또 이것을 육상으로 실시간 전송하는 시스템도 갖췄다. 이사부호는 앞으로 태풍을 초근접 거리에서 조사하면서 슈퍼태풍의 등급과 상륙지점을 정밀하게 예측해낼 계획이다. 찾아라 ... ...
[Info] “ 한반도 지진 제대로 알려면 역사 속 지진도 연구해야”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성능 향상 때문에 미세한 지진이 검출된 결과일 뿐”이라며 “규모 3 이상의 큰 지진
관측
횟수는 거의 일정하다”고 잘라 말했다.과학동아 카페는 과학동아가 연 8회 이상 개최하는 과학 강연 겸 토크콘서트다. 매달 표지 및 공지사항을 통해 주제와 개최 일시를 독자에게 알린다. 유료(2만 원) ... ...
[Tech & Fun] 러시아 과학원 레베데프 물리연구소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규모나 설비는 여전히 어마어마합니다. 전파 천문학을 연구하기 위해 연구소 시설 중에
관측
소가 따로 있고요, 연구소에 서 사용할 실험 기기를 만드는 전용 공장이 30km 거리에 따로 있을 정도입니다. 또 1990년대 이후에 해외로 이직한 연구원들이 꽤 많았다고 하는데도 여전히 수천 명의 연구원 ... ...
[Tech & Fun] 과학은 네트워크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지구가 지금의 지구인 데는 이유가 있다. 수많은 천체와 힘겨루기를 한 결과다. 액체 물로 된 바다, 생명력을 주는 바람과 비, 발 딛고 설 단단한 토양 등 지구가 원래 가진 속성이라기보다 우주라는 네트워크가 만든 우연한 결과다. 만약 우주를 이루는 요소 중 하나가 갑자기 사라지면 그 이후 지구 ... ...
[수학동아클리닉] 별이 숨어있는 도형, 스타돔 만들기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때문에 기둥이 없어도 돼 내부 공간을 넓게 사용할 수 있다.그래서 천체의 운행을
관측
하는 ‘플라네타륨’이나 운동 경기장을 지을 때 많이 활용한다. 플라네타륨은 정이십면체를 변형해 만든 ‘지오데식 돔’이다.지오데식 돔은 보통 정이십면체의 각 모서리를 n등분(n은 임의의 자연수)하여 각 ... ...
[과학뉴스] 프록시마 센타우리는 태양을 닮았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100여 개의 흑점이 11년 주기로 생겨나는 것처럼 프록시마 센타우리 표면에서도 별점이
관측
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연구팀은 프록시마 센타우리의 별점은 행성 표면의 5분의 1을 덮을 정도로 크다고 밝혔다. 별점은 전체적으로 태양의 흑점보다 크고 나타나는 수도 더 많았다.와젤린 교수는 “태양 ... ...
[수학뉴스] 거대한 원형 돌기둥은 5000년 전 천문대!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해와 달이 뜨고 지는 시간에 따라 돌기둥을 세운 사실을 밝혀냈습니다. 이것으로 천문
관측
이 5000년전부터 이뤄졌다고 말할 수 있게 됐습니다.연구 결과는 ‘고고학 국제 학술지’ 8월 8일자 온라인 판에 실렸습니다 ... ...
[핫이슈] 지진 대비! 집을 지키는 수학!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위치였습니다.48분 만에 11배 강한 지진이!우리나라에 지진이 여러 차례 발생했지만
관측
사상 규모가 5.8이나 되는 지진은 처음입니다. 규모는 암석이 끊어지면서 일으키는 진동에너지의 단위입니다. 1935년에 미국의 지진학자 찰스 리히터가 동료인 베노 구텐베르크와 함께 만든 ‘리히터 규모’에 ... ...
[과학뉴스] 태양광 무인기, 성층권 나는 데 성공!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은 자체 개발한 태양광 무인기가 지상으로부터 18.5km 높은 성층권에서 비행하는 데 성공했다고 8월 25일 ... 임무 일부를 대체하는 수단으로 각광받을 전망이다. 항우연은 실시간 영상 전송과 기상
관측
등 다양한 임무를 시험하고 기술을 실용화할 계획이다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