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억"(으)로 총 3,721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선지에 숨은 비밀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단독 콘서트 ‘PERSONA’’. 과연 팬들은 어떻게 암호를 푼 걸까요?지금부터 이 표를 잘 기억해 주세요. 7개의 이탈리아식 음이름 라, 시, 도, 레, 미, 파, 솔은 영어식으로 쓰면 A, B, C, D, E, F, G입니다. 영어식 계이름과 알파벳을 대응시켜 만든 것입니다.그런데 음계는 7개뿐인데, 알파벳은 26개입니다. A~G ... ...
- [에디터 노트] 에디터 토크 4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장수의 비밀은 알았는지?최 : 그건 기사를 읽으세요. 인트로, 1, 2, 3, 4파트 강추.편 : …기억에 남는 장면은?최 : 할머니를 웃으시게 하려고 사진작가, 나, 디자이너, 편집장이 사방에서 재롱(?)을 부렸는데, 희한하게 꼭 편집장 쪽만 보시면 웃음을 뚝 그치시더라?편 :최 : 집쟝님 때문이라고는 안 ... ...
- [과학뉴스] 온도에 따라 움직이는 꽃 로봇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연구원 팀은 ‘온도에 따라 모양이 바뀌는 직물’을 개발했다. 온도에 반응하는 형상기억합금에 피복 섬유를 감싸 지능형 와이어를 만든 다음, 일반 섬유와 함께 털실로 뜨개질을 하듯이 짜서 만들었다.지능형 와이어는 온도가 달라지는 것만으로도 움직인다. 여기에 전류를 흘려보내면 온도와 ... ...
- [Culture] 각자의 시간 속에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때였습니다. 그 때 정미나 손님은 나이가 아주 많았습니다. 300살이 넘었던 것으로 기억해요. 제가 직접 등록하고 숙소를 잡아드렸지요.”“혹시 수원을 찾고 있던가요?”미나가 떠보았다.“아뇨, 그보다는 의미있는 일을 하고 계셨지요.”여울 소리의 말투가 살짝 바뀌었다. 손님맞이용 부드러운 ... ...
- [과학뉴스] 교통사고 생존자, 응급실에서 테트리스를?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통합되는 과정을 방해한 것”이라며“이처럼 간단한 행동 개입만으로 고통스러운 기억을 줄일 수 있다면 수많은 사람들에게 큰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학술지 ‘분자정신의학’ 온라인판 3월 28일자에 실렸다. doi:10.1038/mp.2017.2 ... ...
- [Issue] 어느 물리학자의 일기장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사랑한 남편’ 김덕주의 삶을 그렸다.평생 자신의 이론을 연구한 뚝심과 용기“지금까지 기억하고 있는 것은, ‘나는 절대로 지지 않는다. 져서야 견딜 수 있나’던 그의 입버릇이다.” - 정승공 미국 웨스트미시간대 물리학과 교수 1934년 4월 18일 일본 오사카에서 출생1956년 일본 ... ...
- Part 1. 기대수명 90세는 통계의 환상?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이 사람이 50세라는 기록을 가지고 있다. 마치 나무의 나이테처럼 모든 세포들이 나이를 기억하고 있다.연구팀이 찾아낸 부위의 DNA 메틸화 정도를 보면 역으로 나이를 추적할 수 있다. 연구팀의 실험 결과 나이와 메틸화 정도 사이의 통계적 상관관계는 96%였다. 호바스 교수는 네이처 2014년 4월 8일자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밝혀지는 음모수학동아 l2017년 05호
- 결국 네가 태어나는 것도 볼 수 없었지. 네가 태어나면 들려주겠다며 이야기를 만들던 기억도 나는구나.‘게으른 개를 뛰어넘은 재빠른 갈색 여우’라는 제목의 동화였어. 어느날 갈색 여우가 사람이 가장 많이 모이는 기차역에 갈 일이 있었어. 그래서 길을 가는 도중에 게으른 개를 마주친 거야. ... ...
- [과학뉴스] 뇌처럼 작동하는 전자회로 나왔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결과 완성된 인공두뇌시스템은 수만 번의 반복 학습을 통해 서로 다른 필기체 이미지를 기억하고 구별할 수 있었다. 특히 사람 필기체를 인식하는 정확도가 80% 정도로 나타났다. 또 전력소모도 기존 대비 100분의 1 이하로 크게 줄어들었다.김성호 교수는 “하드웨어 자체가 인간의 뇌처럼 동작하는 ... ...
- 뇌 속 내비게이션의 길 찾기 전략 4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격자세포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로얄 연구원은 “장소를 기억 못하는 대표적인 질병인 노인성치매 치료와 관련있어 사회적인 관심도 높은 연구분야”라고 덧붙였다. +더 읽을거리CM과 LV, 두 가지 장소세포 doi:10.1038/ncomms14531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 ...
이전919293949596979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