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높이"(으)로 총 3,269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심형 싱크홀, 인공위성으로 잡는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탑재한 위성은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지상으로 쏴 반사되는 시간을 분석해 지표면의 높이를 계산한다. 연구팀은 이런 데이터를 수년간 쌓으면 지표가 서서히 침하하는 현상, 즉 싱크홀의 전조현상을 찾아낼 수 있다는 데 착안했다. 김 교수는 “위성의 공간 해상도가 수 cm 정도로 높아져 복잡한 도심 ... ...
- 달에서 씽씽 달려라~! 한국형 달 탐사 로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수 있게 한 거죠. 그래야 장애물을 만났을 때도 로버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거든요. 이 높이를 ‘지상고’라고 하는데, 로버의 지상고는 10cm 정도랍니다.Q . 달 탐사를 마친 로버는 지구로 돌아오나요?A . 탐사를 마친 후에도 지구로 돌아오지 않고 달에 남아 있을 거예요. 그래서 50년 쯤 뒤에 달 ...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허블보다 1000배나 높은 집광력과 분해능을 자랑할 것으로 보여요. 이건 무려 지상 4만km 높이에서 지표면에 있는 토끼 한 마리까지 볼 수 있는 성능이에요.NASA와 콜로레도대 연구팀은 올해 1월부터 본격적으로 아라고를 설계하기 시작했어요. 아라고가 완성되면 허블이나 제임스 웹이 보지 못한 ... ...
- Part 3. 강함을 배운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물총새의 사냥 장면을 보고 힌트를 찾았다. 물총새는 먹이를 잡기 위해 수십m 높이에서 빠른 속도로 물에 다이빙을 하는데 신기하게도 물이 거의 튀지 않는다. 부리가 완벽한 대칭에 가까운 쐐기 모양이기 때문이다. 부리 끝 한 점에서 시작해 머리쪽으로 갈수록 정확한 비율로 반경이 늘어난다. ... ...
- [생활] 어벤져스 vs인공지능 울트론 인류 생존을 건 전쟁의 승자는?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영화관에서 영화를 가장 생생하게 감상할 수 있는 최적의 자리를 계산했다. 화면의 높이와 화면으로부터 좌석까지의 길이, 좌석에서 화면을 올려다봤을 때의 각도 등을 고려한 것이다.이때 페르난데스 교수는 좌석에 앉아 있는 사람의 눈이 좌석 바닥으로부터 수직으로 약 4피트(약 1.2m) 떨어져 ... ...
- Part 2.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나온 것이 아니다!). 새는 척추동물 가운데 시력이 가장 뛰어나다. 물수리는 바다 위 60~90m 높이에서도 작은 물고기를 덮쳐 사냥한다. 황조롱이는 나무가 빽빽한 숲속을 활공하며 나뭇가지에 앉은 작은 새를 낚아 채는 묘기(?)를 부린다. 도대체 녀석들의 눈에는 세상이 어떻게 보일까!그 해답은 ... ...
- [Hot Issue] 뇌진탕 위험으로부터 미식축구 선수를 구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05호
- 가속을 막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잘못된 안전조사 기준 때문이다. 헬멧을 일정한 높이에서 떨어뜨렸을 때 헬멧이 가속량을 얼마나 줄일 수 있는지가 현재 안전기준이다. 이 방법으로는 회전 가속이 충분히 발생하지도 않고 측정도 어렵다.실제로 스포츠 신경학 플로리다센터의 프랭크 코니리 ... ...
- 2115년 인류 화성 정착기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적다.3.69m/s²화성의 중력가속도다. 지구의 3분 1 정도다. 같은 힘으로 지구에서보다 훨씬 높이 뛸 수 있다. 마냥 좋아할 일은 아니다. 약한 중력은 근육과 뼈를 약하게 한다. 지구에서 보다 운동을 훨씬 더 많이 해야 한다.95% vs 0.13%화성의 대기 중 이산화탄소와 산소의 비율이다. 지구에선 각각 0.038%, 21 ... ...
- PART2. 소년이여, 신화가 되어라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이걸 들고 전투에 나가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배터리 경량화가 시급하다.싱크로율을 높이자내장배터리 크기를 줄일 때까진 일단 코드를 꼽고 다니자. 시급한 다른 문제가 있다. 중2병에 걸린 조종사를 훈련시키는 일? 아니다. 그것도 큰일이지만 조종사와 에바를 싱크(신경접속)시키는 일에 비하면 ... ...
- [생활] 겉은 바삭~ 속은 촉촉~ 크루아상이 맛있는 비결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있는 반죽을 위쪽으로 밀었다. 그 결과 한 번 반죽을 밀고 반으로 접었을 때, 처음 버터의 높이 x가 어떻게 바뀌는지를 식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f(x)는 버터의 나중 높이). 아무리 늘여도 반죽은 2를 넘지 않고, 2가 되면 다시 반으로 접어 1이 된다. 이를 여러 번 되풀이하면 버터 입자들이 아주 ... ...
이전919293949596979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