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덕분"(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교과서] 용궁이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주지요. 또, 산호초가 아름다운 색을 띠는 이유도 다양한 색을 갖는 심바이오디니움 조류 덕분이에요. 조류의 색에 따라 산호초의 색이 결정되거든요. 하지만 이 둘의 공생은 바닷물의 온도가 29℃ 이하일 때만 가능해요. 바닷물의 온도가 29℃ 이상 올라가면 심바이이오디니움에 이상이 생겨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로 간 심장외과 의사, 무카이 치아키(向井 千秋)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특징은 당시 77세였던, 미국 유인 우주 역사의 산 증인인 존 글렌이 함께 했다는 점이다. 덕분에 우주인들의 연령 분포가 확대됐고, 무중력 환경에서 신체변화가 나이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지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무카이 박사는 그 후로도 우주왕복선 비행 중 수행할 과학 실험을 지원하는 ... ...
- 아름다운 우주를 만든 작은 것들을 위한 時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계속돼 왔습니다.결국 다체문제의 근사해를 찾는 수학 모형을 적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덕분에 왜소은하가 은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알려지게 된 것이죠. 그리고 실제로 관측 증거들이 발견되면서 왜소은하가 모여 큰 은하를 이룬다는 이론에 힘이 실리게 된 겁니다. 질량비로 ... ...
- [과학뉴스] 심해어에겐 초시력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어두운 방에서 흐릿하게 형체를 구분할 수 있는 건 ‘옵신’이라는 단백질 덕분이에요. 최근 스위스 바젤대학교 연구팀 101종의 물고기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물고기는 한두 종류의 옵신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반면, 심해어는 최대 38종의 옵신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었어요.연구를 이끈 ... ...
- 이변은 없었다 2019 노벨상 리포트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이르기까지 리튬이온전지가 인류의 삶에 미친 파급력을 고려하면 더욱 그렇다. 덕분에(?) 올해 97세인 구디너프 교수는 역대 최고령 노벨상 수상자가 됐다. 지난해 초정밀 레이저 활용 기술을 개발해 물리학상을 받은 아서 애슈킨 미국 벨연구소 전 연구원이 96세에 수상하면서 최고령 수상자였는데, ... ...
- 인공지능을 둘러싼 쟁점 I SF에 묻는다 ❹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보호합니다. 도시 시설과 사회 시스템이 완벽하게 굴러가도록 관리하는 역할입니다. 덕분에 다이어스퍼는 엄청나게 오랜 시간 동안 붕괴하지 않을 수 있었습니다. 앨빈과 같은 유니크조차 인간이 영원한 정체 상태에 빠지지 않게끔 마련해둔 장치였지요.마더는 인간과 비슷한 형태를 지닌 로봇 몸을 ... ...
- 시각, 청각, 촉각 로봇에게 가장 중요한 감각은?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친구에게 ‘괜찮다’는 말을 하게 시킬 겁니다.이런 모든 일은 촉각과 힘을 느끼는 근육 덕분에 이뤄집니다. 그리고 우리는 이런 행동을 통해서 서로에게 위험한 행동을 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만약 실수로 다른 사람과 부딪치거나 다른 사람의 발이라도 밟는다면 빨리 상황을 수습하고 사과를 하는 ... ...
- 좌충우돌 보드게임 제작기수학동아 l2019년 11호
- 할 줄만 알았지, 직접 만드는 건 태어나 처음이었어요. 하지만 평소 ‘수학’을 좋아한 덕분에 성공적으로 도전을 마칠 수 있었답니다. 1단계. 보드게임 즐기며 형식 찾기 #규칙_찾기각자 경험한 여러 종류의 보드게임 중에서 가장 재밌었던 것 딱 세 가지만 떠올려 보세요. 예를 들어 부루마블, ... ...
- 노트르담 지킴이, 앤드루 탤런 교수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탤런 교수가 노트르담 대성당에 레이저를 쏘아 얻은 점 데이터는 10억 개가 넘지요. 덕분에 화재로 사라진 노트르담 대성당의 모습을 복원하는 데에 앤드루 탤런 교수의 자료가 귀중하게 사용될 전망이랍니다. 한편에서는 무너진 첨탑과 지붕을 원래 모습이 아닌 새로운 모습으로 복원하자는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내 맘대로 플레이 스틱, 스틱 폭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생겨요. 하지만 자국이 평생 남지 않는 이유는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려는 피부의 탄성 덕분이지요. 시간이 지나면 눌린 자국은 자연스레 사라져요. 반대로 힘이 없어져도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지 못하는 경우도 있어요. 힘을 받아 형태가 변한 물체가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가지 않는 성질을 ... ...
이전919293949596979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