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학
문화
d라이브러리
"
문화과학
"(으)로 총 1,89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비교체험 KAIST vs. 포스텍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그의 질주는 계속된다_뜨거운 햇볕이 모든 것을 녹여버릴듯 이글대는 7월의 오후. “안전운전하십시오”라는 GPS 음성이 흘러나오기 무섭게 운동장을 박차고 달리는 자동차 한 대가 있다. 레이서는 바로 KAIST 산업디자인학과 3학년 조대용(21) 씨. 그에겐 KAIST도, 세계도 127만km2다. 대한민국 이공계의 ... ...
PART2 있다! 없다! BEST 5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KAIST1. 세계가 주목하는 스타과학자가 있다! 세계의 수학계에 필즈메달이 있다면 우리나라의 과학계에는 ‘젊은 과학자상’이 있다. 이 상은 필즈메달과 마찬가지로 수상자의 자격을 ‘40세 이하’로 제한하므로 과학계의 신인상이라고도 할 수 있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교수는 바로 ‘젊 ... ...
신석기 식물에 봄이 왔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3과연 7000년 전 식물에서 싹이 튼 걸까요?예맥문화재연구원이 최근 진귀한 식물을 보고해 화제가 되고 있어요. 이 식물은 강원도 신석기 시대 유적에서 나온 건데 둥근 뿌리만 남아 있었답니다. 그런데 이 뿌리를 증류수 (불순물이 없는 순수한 물)에 넣자 자연적으로 파란 싹이 2개나 돋아났대요. 이 ... ...
PART3 선배가 말하는 우리 대학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KAIST인 유전자:‘자유’로 꿈틀대는 ‘상상’ 에너지예술가로 변신한 과학자이진원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교수KAIST 출신이 예술가로 거듭나다니 이색적인 경력이 아닐 수 없다. 이진원 교수는 경기과학고 재학 시절 열정적이었던 화학 선생님에게 매료돼 자연스레 화학을 전공한 ‘100% 과 ... ...
조선시대 천문학 스파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얼마 전 한국과학사의 개척자 전상운 선생의 책을 영어로 번역한 내용을 점검한 적이 있다. 안타깝게도 미국인의 번역문에는 오역이 여럿 눈에 띄었다. 전상운 선생은 앙부일구라는 해시계를 모양대로 ‘오목해시계’라고 불렀는데, 번역자는 절기선과 시간선이 그려진 면이 바둑판 같다고 여겨 ... ...
태권V의 완벽한 부활!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로보트태권V는 1976년에 태어나 우리나라의 ‘국민로봇’으로 자리매김한 로봇 캐릭터다. 하지만 일본의 마징가Z나 미국의 트랜스포머처럼 ‘호사’를 누려보지 못한 비운의 주인공이었다. 그동안 변변한 완구 하나 나온 적이 없기 때문이다.하지만 이런 아쉬움을 시원하게 날려줄 기쁜 소식이 있 ... ...
'과학세상'으로 소풍오세요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독수리의 날개에 등을 대고 양팔을 옆으로 쭉 뻗는다. 독수리의 날개와 나의 팔을 비교한다. 독수리의 날개가 1m 정도 된다는 사실을 처음 안 순간이다. 등에 날개를 달자 마치 독수리가 된 듯하다. 항상 머릿속에서 상상으로만 그렸던 새였기에 감회가 새로웠다. 독수리가 하늘에서 땅을 내려다보면 ... ...
매클롱 강과 인간의 공생 전략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30초 동안 상대방의 엄지손가락을 몇 번이나 누를 수 있는지 세 보세요.”참가자들은 태국 마히돌대 시라폴 신투나와 교수의 말에 따라 상대방과 오른손을 맞잡고 엄지손가락을 곧추세운 채로 마주 앉았다. “시작!” 소리와 함께 엄지손가락들이 바쁘게 움직인다. 앞 다퉈 손가락을 누르려는 통 ... ...
남이섬 환경학교 '기후캠프'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아~ 더워! 찜질방이 따로 없네!”바람을 가득 넣은 투명한 비닐 공에 들어간 지 5분이 지났을까. 왕환윤(경기 안성중 3년 ) 군의 이마에는 땀이 송골송골 맺혔다. 왕 군은 6월 15일~17일까지 경기도 가평 남이섬에서 열린 ‘기후캠프’에 참가한 청소년 기후대사 후보 40명 중 한명이다.“여러분은 지 ... ...
전기도 무선으로 전송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미국 MIT 과학자들이 전기선 없이도 전원에서 2m 떨어져 있는 전구의 불을밝히는 실험에 성공했다. MIT는 이 기술에 '무선전기' (wireless electricity)를 줄인 '와이트리시티'(WiTricity)라는 이름을 붙였다.염료분자와 크롬 등 금속이온이 착염의 형태로 결합된 가용성(可溶性) 아조염료 보통 금속착염 염료는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