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까락
손꾸락
둘째손가락
둘째
수지
d라이브러리
"
손가락
"(으)로 총 1,374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비의 피의순환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아귀가 맞는다. 하비는 해부를 통해 대정맥을 묶거나 누르면 심장 아래로는 혈관이 막혀
손가락
과 심장 사이의 피가 빠져나가 텅 비어버리는 현상을 관찰했다.또 동맥을 묶으면 동맥과 심장 사이에 피가 가득 차서 혈관 색깔이 진해지고 터져버릴 듯 팽창하는 현상도 관찰했다. 하비는 이런 실험을 ... ...
헌혈은 정맥, 맥박은 동맥 - 혈관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노동맥은 손목의 옆부분을 비롯해
손가락
을 쫙 폈을 때 엄지
손가락
과 손목 사이에 생기는 고랑에서 만질 수 있다. 해부학에서는 이 고랑을 ‘해부학코담배갑’이라고 한다. 노동맥과 자동맥은 손바닥에서 서로 연결돼 있다.혈압을 잴 때는 위팔동맥을 쓴다. 혈압은 위팔에 ... ...
컴퓨터와 네트워크가 여는 행복한 미래생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만나 까페에 들렀다. 자리에 앉으니 모니터가 올라온다. 나는 까페라떼, 친구는 녹차.
손가락
으로 스크린만 누르면 된다. 따로 돈을 내지 않아도 은행 계좌에서 알아서 빠져나간다. 친구와 수다를 떨고 있자니 바퀴 달린 로봇이 주문한 커피와 녹차를 가져왔다. 이럴 때 로봇에게 팁을 줘야 하나?까페 ... ...
그림자 마왕 '네가 머래도 다비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아주 간단한 문제지. 하지만 그림자의 모습이 그리 간단하지만은 않을~걸! 켈켈켈~.”
손가락
그림자의 정체!“오호…. 썰렁 홈즈의 실력이 줄지 않았군. 그렇다면 썰렁 홈즈가 풀기 어려운 문제를 내지. 아마 절대 풀지 못할 거야. 신체 구조상 말이지. 켈켈켈~! 여기 그림자를 보라. 정말 아름답지? ... ...
단백질 네 속을 보여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바위, 보.” 이긴 아이가
손가락
으로 돌멩이를 먼저 튕긴다. 바닥에는 흰 분필 선이 여기저기 그려져 있다. “세 번에 못 들어왔지? 이제 내 차례야.” 어린 시절 동네 뒷골목에서 친구들과 한번쯤은 해봤음직한 땅따먹기 놀이다.요즘에는 땅따먹기 놀이를 온라인으로도 즐길 수 있다. 다만 이름이 ... ...
부드러운 남자는 집게
손가락
이 길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집게
손가락
이 넷째
손가락
보다 더 짧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었다. 허드 박사는 “
손가락
길이는 공격성의 5% 정도를 설명할 뿐이므로 이를 보고 상대방을 평가해서는 안된다”고 충고했다 ... ...
4. 디자인은 배려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가위의 손잡이를 상부에서 누르는 것만으로 가위를 조작할 수 있으며,
손가락
걸이에
손가락
이나 손바닥을 끼워서 손에 가위를 걸칠수 있기 때문에 손의 기능이 각기 다른 이용자도 각자의 능력에 맞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트라이포드디자인의 ‘핸디버디’ 유니버설디자인 제품 개발과 ... ...
사람 피부같은 촉각 센서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1월 30일 밝혔다.이 촉각센서는 한국의 휴보(HUBO)나 일본의 아시모 같은 인간형 로봇의
손가락
에 사람과 비슷한 수준의 기능을 하는 인공 피부를 입힐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윤 교수팀의 촉각센서는 지난해 말 일본 도쿄대에서 발표한 촉각센서보다 더 부드러운 재질을 이용해 외부 ... ...
손목이 자유롭게 움직이는 이유 - 손목뼈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anatomical snuffbox) 부위가 부어오르고 통증을 느끼게 된다. 손을 쫙 폈을 때 엄지
손가락
과 손목 사이에 생기는 고랑을 해부학코담배갑이라고 한다. 팔에서 손으로 가는 동맥이 2개가 있는데, 해부학코담배갑에서는 그 중 하나를 쉽게 만질 수 있다 ... ...
450만년전 인류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아파르 지역에서 최초의 인류 조상 중 하나로 추정되는 원시인류 9명의 치아, 턱, 발 및
손가락
뼈 화석 30여 점을 발견했다고 과학 학술지 ‘네이처’ 1월 20일자에 발표했다. 이 화석들은 10년 전 처음 학계에 보고된 ‘아르디피테쿠스 라미두스’(Ardi pithecus ramidus)에 속한다.아르디피테쿠스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