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스템"(으)로 총 4,562건 검색되었습니다.
- 심판이 볼 수 없다면 수학이 본다! 심판 판정 돕는 기술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서브 속도가 순간 시속 200km를 넘어가는 테니스에서 ‘호크아이’라는 라인 판독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으며, 야구와 배구 역시 애매한 순간을 정확히 판단하고자 심판의 판정을 보조하는 비디오 판독 기술을 사용합니다. 축구 역시 오심 논란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종목 입니다. 걸리지도 않았는데 ... ...
- [시사과학 뉴스] 전세계는 지금 비트코인 열풍!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있어요.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일부 온라인 쇼핑몰에서 암호화폐로 지불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겠다고 밝혔지요. 하지만 암호화폐가 기존의 화폐를 대신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많아요. 우선 암호화폐의 가격이 1초마다 급격히 변해서 화폐로서 기능을 하기 어려워요. 기존 화폐에 ... ...
- [Future] DNA에 사진 담고 원자에 영화 담는 차세대 메모리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만들었다. 연구진은 이렇게 만든 DNA 가닥을 대장균에 넣었고, 대장균에 존재하는 면역 시스템인 ‘크리스퍼(CRISPR)’에 의해 외부 DNA가 대장균의 유전체에 쉽게 삽입됐다. 대장균은 외부 바이러스가 들어오면 바이러스 유전자의 일부를 잘라 크리스퍼 서열에 삽입한다. 그 바이러스가 다시 들어오면 ... ...
- [Future] 오페라 무대 선 로봇 디바 ‘에버’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흡사한 표정을 찾아내는 기술이다. 이는 에버의 표정 구현에 적용했던 얼굴움직임부호화시스템과는 다른 접근법이다. 현재 에버의 행복한 표정은 AI가 학습한 사람의 행복한 표정을 절반 정도 구현한 수준이다. 연구팀은 시선 처리도 최대한 사람에 가깝게 만드는 중이다. 사람이 대화를 할 때 ... ...
- [Issue] 중국이 옮길 혁신이라는 산(山)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나아가 전 세계 GPS를 구축하는 것이다. 이에 성공하면 미국과 러시아에 이어 글로벌 GPS 시스템을 구축한 세 번째 국가가 된다. 3년 내 해상도 50cm 이하의 위치확인 정확도를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2030년 중국이 보유한 독자 GPS 체계와 4차 산업혁명 기술이 결합된다면 도시에는 혁신적인 변화가 ... ...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최대&최강 교수진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교수가 가장 많다. 65명의 교수진은 반도체와 통신, 제어, 전자물리, 컴퓨터, 전기에너지시스템, 그리고 최근 뜨고 있는 바이오 전자공학까지 크게는 총 7개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22개 분야까지 나뉜다. 4차 산업혁명과 함께 가장 많이 거론되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 ...
- Part 3. 집에서도 즐기는 인생맛집수학동아 l2018년 04호
- 동작을 똑같이 따라합니다. 요리사의 모습을 흉내 내는 게 가능한 건 모션 캡쳐 시스템 덕분입니다. 모션 캡쳐란 몸에 센서를 부착해 사람의 움직임을 디지털 형태로 기록하는 작업입니다. 센서의 위치값을 이용해 가상캐릭터가 사람과 똑같은 동작으로 움직일 수 있지요. 몰리는 요리사가 ... ...
- Part 2. 장비‘빨’ 제대로 받자!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스톤을 밀 때 정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스톤의 궤적과 속도를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시스템도 있다. 센서를 스톤이 지나가는 길 옆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한다. 스톤이 센서의 앞을 지나가면 센서는 시각을 기록한다. 각 센서 사이의 거리를 스톤이 지나간 시간으로 나누면 스톤의 속도를 알 수 ... ...
- [Issue] 머스크의 ‘팰컨헤비’ 드디어 우주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BFR)’도 설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팰컨헤비는 NASA의 차세대 로켓인 ‘우주발사시스템(SLS)’이 완성될 때까지는 최고 자리를 유지할 전망이다. SLS는 탑재 중량이 팰컨헤비의 2배에 이르는 127t을 지구 저궤도까지 올려놓는 게 목표다. 첫 발사는 당초 2017년이었지만 계속 연기됐고, 2020년 ... ...
- [Future] K팝과 인공지능의 만남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조정하면 10~30초 뒤 자신의 취향을 그대로 반영한 노래 한 곡이 나온다. 쥬크덱은 이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 저작권에 저촉되지 않는 1970년대 이전 음악들을 인공지능에게 학습시켰다. 그리고 인간의 두뇌를 닮은 인공신경망을 구축해 음악의 구조와 규칙을 알고리즘으로 번역했다. 옛날 노래를 ... ...
이전9192939495969798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