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d라이브러리
"
알
"(으)로 총 8,223건 검색되었습니다.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라면을 직접 만드는 고생 외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1호
보고나면 우리가 평소 쉽게 끓여먹던 라면이 얼마나 복잡한 과정으로 만들어지는지
알
수 있을 거예요 ● 황제펭귄을 지키는 아델리 펭귄 조회수 : 23만 회채널명 : BBC 스튜디오 코리아 (구독자 수 : 9천 명)새끼 황제펭귄 무리가 위기에 처했어요! 큰풀마갈매기가 황제펭귄 새끼를 노리고 공격을 ... ...
DBTI로 내 동물 부캐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커요. 야생에서의 생태를 이해해야 동물원에 사는 동물이 행복하려면 무엇이 필요한지
알
수 있어요. 동물이 본성을 발휘할 수 있게 해주는 게 행복의 첫 번째 조건이거든요. 그래서 마승애 수의사와 함께 한국 동물원에 흔히 보이는 동물 10종의 생태를 담아 DBTI(Dongmul Bukae Type Indicator, 동물 부캐 ... ...
[인터뷰] “한반도 백악기 지층은 세계 최고의 화석 산지…1억 년 전 동물 생태 생생히 복원”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로클리 교수는 “발자국 화석은 살아있는 동물의 증거로, 동물의 생전 움직임과 행동을
알
수 있게 해준다”며 “죽음을 말해주는 뼈와는 또 다른 고유한 가치가 있다”고 했다.투포환 선수 출신인 그는 1980년대부터 남해안 발굴 현장에서도 매일 아침 조깅을 하며 체력을 키운 것으로 유명하다. ... ...
창원대, 제조혁신 주역 ‘스마트산단’의 스페셜리스트 꿈꾼다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수집하고 분석할 경우 몇 번째 공정에서 오류가 발생했는지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예측
알
고리즘을 이용하면 몇 번째 공정에서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얼마인지까지 사전에 확인해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조 교수는 스마트공장이 불러올 가장 큰 효과로 ‘효율’을 꼽는다. 조 교수는 “ICT 기술을 ... ...
'궁극의 질문'을 함께 풀어봐요!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가지다 보면 정의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학자들이 어떤 방법을 사용했는지
알
아낼 수 있다.해결의 길잡이 각 정수 n이 선택될 확률을 Pn이라 하면 확률의 합은 1이므로 당연히 Pn=1이고, Pn이 자연수를 뽑을 확률이다. Pn=c로 두고 c가 양수일 때와 0일 때를 가정해서 자연수를 뽑을 확률을 ... ...
[과동프렌즈] 99%를 100%로...과학계 논쟁 해결하는 과학자가 꿈
과학동아
l
2021년 01호
과학과 수학에서 항상 좋은 성적을 냈다”며 “기사를 통해 교과서 속 과학 개념을
알
수 있어서 책을 읽는 것만으로 자연스럽게 공부가 됐다”고 말했다. 이렇게 익힌 과학 지식은 과학고 진학에도 큰 도움이 됐다. 김 군은 “면접에서 과학동아에 소개된 새로운 기술과 연구를 연관 지어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1화. 꿈에 그리던 수석 졸업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1호
도무지 무슨 영문인지
알
수가 없었지만, 아직도 몸을 꼼짝할 수 없었습니다. “
알
겠습니다, 선장님.”‘응? 선장님? 저건 페가수스 선장님 목소리가 아닌데?’그때 그 사람이 우렁찬 목소리로 외쳤습니다. “다들 준비! 해롱 호 발진!”딱지는 가슴이 철렁 내려앉았습니다. * 용어정리 격납고 ... ...
[특집] 취향저격수가 되는 첫걸음 ‘벡터’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뒤 ‘여성’ 벡터를 빼면 ‘여왕’이라는 결과를 내놓습니다. 이런 식으로 기계학습
알
고리듬은 벡터로 학습한 정보를 연산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시한답니다 ... ...
영재교육 전문가도 깜짝 놀란 ‘궁극의 질문’을 소개합니다!
수학동아
l
2021년 01호
길이 1과 2가 같은 것인가?’라는 질문과 비교해보면 왜 ①의 증명이 말이 안 되는지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습니다.특히 서 교수님은 무한의 개념에 관해 질문한 조은호 학생을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격려했습니다. “①과 ②가 다른 이유는 함수의 수렴과 관련한 이론이나 극한에 관한 ... ...
[통합과학 교과서] 실러캔스의 보은을 원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1호
해요. 이번 발견을 통해 기생동물의 시작이 절취기생동물 형태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답니다. 에필로그“당신이 살려준 실러캔스는 용왕님의 대선배입니다. 나이가 수억 살이나 많아서 용왕님도큰절을 올려야 하는 분이죠.” 꿀록 탐정이 상황을 설명해도 어부는 여전히 억울했어요. 그런데 그날 ... ...
이전
91
92
93
94
95
96
97
98
99
다음
공지사항